다윗과 골리앗 - 강자를 이기는 약자의 기술
말콤 글래드웰 지음, 선대인 옮김 / 21세기북스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난이도 : ★

 

1. 

 

자본주의. 이 시대의 골리앗은 전 세계 부의 절반을 차지하는 1%의 사람. 혹은 전 세계의 부의 86%를 차지하는 10%의 사람들이다. 자본주의 구조에 맞춰서 진화한 우리 시대의 골리앗은 힘을 유지하기 위해서 그들의 후손이 태어나자마자 통장을 만들어주고. 억대의 주식을 물려준다.   

 

말콤 글래드웰의 <다윗과 골리앗>에서는 '뒤집힌 U자 곡선형'이라는 중용의 개념을 통해서 가난한 사람뿐 아니라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돈을 가진 사람도 성공하지 못(?)하거나 불행해 질 것이라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그들의 자녀들은 독립심을 가지지 않아도.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부유하게 살 수 있기 때문에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서 간절하게 꿈꾸고 노력할 수 없는 인간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당연히 그럴 수도 있고, 그런 사람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다.   

 

솔직하게 나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후손은 재벌 2세로서 경영을 이어받거나. 아니면 재벌 출신의 연예인이라는 타이틀로 대중의 선망을 받고, 그런 사람의 인생 혹은 그런 내용을 다룬 드라마가 대중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자본주의와 같은 의미를 가진 돈의 힘이 계속 세상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시간이 지속되는 한. 그들이 유산으로 남기는 자본의 힘은 그들의 후손을 자본의 힘을 가진 골리앗으로 만들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자본의 골리앗은 지난번에 읽은 <다보스 이야기>의 다보스 포럼 같은 상위 몇 %의 귀족 모임에 참여하여. 경제, 문화, 사회에 관련된 최신 정보를 얻고, 골리앗의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평등한 세상에 대하여 논하고, 그런 대화를 통해서 그들의 생각대로 세상을 재편하려는 노력을 이어간다. 21세기의 골리앗은 과거의 골리앗처럼 둔하지는 않은가 보다. 

 

그런데 슬픈 사실은 21세기 자본의 골리앗(재벌)을 이길 수 있는 존재를 현실에서 찾기를 포기한 어느 드라마 작가는 골리앗의 대항마로 400년 동안 늙지 않고, 시간을 멈추게 할 수 있고, 공간을 뛰어넘을 수 있고, 다른 사람의 말을 엿들을 수 있고, 천리안을 가진. 그리고 게다가 잘 생기고 머리까지 좋은 외계인을 창조했다는 것이다.  

 

2.

 

<다윗과 골리앗>은 인간에게 숨겨진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고 판단한다. 말콤 글래드웰은 인간의 자아실현 가능성을 매우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긍정을 통해서 성공할 확률을 높인다 하더라도. 가능성은 어디까지나 가능성이요. 실패의 가능성 역시. 빛과 그림자처럼 공존하고 있음을 피할 수 없다. 작가도 그 점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 측면은 163쪽에서부터 166쪽을 요약한 다음 문단에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163~166 요약. 우리는 끔찍하고 충격적인 무엇인가에 대한 반응이 딱 한 가지 종류밖에는 없을 것이라고 쉽게 결론을 내리는 잘못을 저지른다. 그렇지 않다 반응은 두 가지다. 빗맞은 목표물에게는 정신적 외상이 그대로 남는다. 반면, 폭탄이 멀리 빗나간 사람들은 스스로를 천하무적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 무엇도 우리를 해칠 수 없을 것이라는 느낌이 들게 한다. 이처럼 공포를 극복하면 희열을 얻는다.

 

충격적인 시련과 고난을 앞에 두고. 인간은 두려워하게 마련이다. 그런데 그 두려움을 이겨내거나. 두려움이 생각했던 것보다 작게 느껴질 때, 인간은 용기와 희열감을 얻는다. 하지만 폭탄이 날아오는 순간. 폭탄이 자신이 있는 곳에서 멀리 빗나가서 안도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폭탄을 맞고 숨진. 그래서 우리들에게 어떠한 말도 하지 못하는 이들도 있었음을 인정해야 한다. 

 

그러므로 다윗이 골리앗을 이기는 것은 목숨을 담보로 한 확률 싸움이요. 싸움을 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충족시켜야 할 조건은 두려움을 참고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꿈과 신념이 정말로 자신의 목숨을 걸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알아야 할 것이다. 

 

3. 

 

<다윗과 골리앗>의 내용과 연관지을 수 있는 흥미로운 인터뷰를 본 기억이 있어서 정확한 기록을 찾아서 인터넷을 뒤졌다. 꽃보다 누나 8회의 "다시 스무 살로 돌아간다면 해보고 싶은 일이 있나요?" 라는 질문이었다. 그런데 나의 예상과는 달리 그 질문을 받은 배우들은 아무도 과거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그중 배우 김희애 씨는 이렇게 대답했다. 

 

“다시 돌아가라면 절대 싫다. 지금이 정말 좋다. 영화 한 편 다 찍었는데 처음부터 다시 찍으라면 좋겠느냐. 밤새고 울고불고 다했는데 처음부터 다시 찍으라면 싫다. 지금에 행복하고 감사하다.”

 

그들은 그들에게 다가왔던 고난과 두려움의 확률을 뚫어냈고, 그 기억을 시간 저편에 묻어두었다. 그들이 고난을 마주했을 때, 다행히 폭탄이 자신이 있는 곳에서 비켜나가서. 혹은 폭탄을 피해 목숨을 걸고 달려온 결과 지금의 자리에 있다고 해석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그들에게 다시 폭탄을 퍼붓겠다고 하니. 다시 그들 앞에 닥친 확률 싸움에서 이길 수 있다고 확신하지 못하는 그들은 모두 과거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손사래를 치는 것이 아닐까? 

 

4. 

 

그런 의미에서 나는 솔직히 말해서 예기치 못한 고난. 혹은 사서 하는 고생처럼 자기 자신에게압력을 가하고, 채찍질하고, 궁지로 몰아넣는 배수진의 방식보다는 미하이 칙센트미하이의 몰입이론처럼 우리가 무언가를 가장 즐겁게 할 수 있는 적절한 난이도를 제공하는 자극 속에서 인생을 살고 싶다는 생각이 굴뚝같다. 

 

그게 뭐 내 마음대로 되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