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쓰기의 전략 - Reading & Writing
정희모.이재성 지음 / 들녘 / 2005년 10월
평점 :
글쓰기.... 아....
도깨비 방망이 질을 뚝딱 한 것처럼 쭉쭉 나오면 좋으련만...
제리 맥과이어가 하룻 밤만에 완성시킨 그 기획서처럼 나 스스로를 만족 시켜주면 좋으련만...
현실은 이와는 다르게 내 머리 속에서는 쥐 한마리씩을 계속해서 잉태하고 있습니다. 이제서야 저는 글은 쓸 수 있되 좋은 글이라는 것은 한순간에 갑자기 나오는 것은 아님을 깨닫게 됩니다.
<글쓰기의 전략>을 만난 것은 순수하게 글쓰기의 전략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 때문이었습니다. 네이버 책에서 '글쓰기'라는 단어를 입력한 후에 가장 많이 팔린 순서대로 정렬했을 때 제일 윗자리에서 만날 수 있을만큼 이 책의 유명세는 상당한 수준이었습니다.
그렇지만 <글쓰기의 전략>은 제 예샹과는 달리 글쓰기의 기술보다는 글의 전체적인 짜임새(?)라고 할까요? 문장의 자연스러운 흐름을 이야기하는 책이었습니다.
글쓰기는 노동이다.
<글쓰기의 전략>에서는 글쓰기를 노동에 비유합니다. 평생을 국문학과 글쓰기에 바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정희모, 이재성 두 교수님의 이야기를 통해 저는 안도의 한숨을 내쉴 수 있게 됩니다. '아 나만 그런 것이 아니었구나' 라고 말이죠. 나만 도무지 시작을 할 수 없어서 고민했던 것이 아니었구나 하고 말이죠...
여담입니다만 한비야님의 <그건, 사랑이었네>를 읽다 보면 그녀 역시도 독자들에게 술술 읽히는 글을 제공하기 위해 엄청난 글쓰기의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녀가 들려주는 비법은 다독, 다상량, 다작 외에도 메모하는 습관이라고 고백하는데요. 파견나간 곳에서의 활약상이 실제로 보이는 것처럼 전달할 수 있었던 비결은 그녀가 겪은 장면을 한 순간도 놓치지 않고 쓸어담은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의 전략>에서는 글쓰기에 필요한 요소로 지식, 구성력, 문장력을 꼽고 있습니다. 이 요소들을 한비야님이 작성하시는 글들에 접목시켜본다면 메모한 이야기들(경험적 이야기들이 바탕이 됨)이 글쓰기의 지식이 되는 동시에 결정적인 단서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성력은 이런 메모된 이야기들은 적절히 조합하는 그녀만의 아이디어가 될 것이고, 문장력은 그녀가 머리를 쥐어뜯으면서 수도 없이 고쳐쓰는 과정에서 나오는 힘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글쓰기는 자연스러워야 한다.
<글쓰기의 전략>을 살펴보면 잘된 예문을 제일 앞쪽에 위치시킨 후에 그것이 왜 잘 씌여진 문장인지 분석하면서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서평을 보고 <글쓰기의 전략>을 읽어 보고 싶으신 분들 이 계신다면 예문을 읽은 뒤 잠시 책을 덮고나서 이 글이 왜 실려있는지에 대해서 스스로 생각한 다음에 저자의 견해를 읽어보는 방법을 추천드립니다.
책에서 제시한 대로 문장 분석을 하나하나 읽어나가다 보면 발상, 계획, 구성, 서두, 결말, 단락, 문장에 관련된 많은 지식을 손쉽게 흡수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나친 자신감으로 조금 더 글을 세련되게 만들어보고자 이 책에서 소개된 방법들을 억지로 적용시킬 필요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내가 사용하는 방법이 1번의 방법인데 조금 다르게 쓰기 위해 3번의 방법을 쓸 수 있겠지만 이것이 글의 흐름을 방해하면 안됩니다. 즉,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의 하나는 자연스러운 글의 흐름이라는 주장이 제일 우선시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글쓰기의 전략>과 함께 글을...
<글쓰기의 전략>에서 알려주는 대로 글에는 어떤 지식이 들어가 있고, 핵심내용은 무엇이며, 구성방법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문장표현은 어떻게 되어 있는지 확실이 이해하고 써보면 어떨까요? 참, 그것을 분석하기 전에 가장 먼저 자연스러운지도 따져봐야겠죠?
책을 한 권 보고 나서 갑자기 글이 잘 써지는 일은 결코 없습니다. 꾸준히 글을 읽고, 생각하고, 쓰는 과정에서 자신만의 글쓰기 성격이 드러나고, 이것이 시작을 의미한다는 것을 깨닫습니다. 그리고 그 시작이 동시에 발전하는 것이라는 것을 알게됩니다. <글쓰기의 전략>은 다른 사람의 글쓰기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해주는 좋은 도구가 되어주었던 것 같습니다. 글을 잘 쓴것 같은데 도통 이유를 모르시는 분들. 이 책을 한번 읽어 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