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퇴계에게 공부법을 배우다
설 흔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연암의 아들에게 전달된 정체불명의 책 한권. 그리고 그것을 매개로한 과거로의 여행. 그 속에서 펼쳐지는 글쓰기의 결정 우려내기는 ‘아! 실용소설이라더니, 이렇게 글을 쓸 수도 있구나.’라는 생각을 절로 불러일으키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설흔님의 전작 <연암에게 글쓰기를 배우다>를 이처럼 인상 깊게 읽었던 나에게 <퇴계에게 공부법을 배우다>의 출간 소식은 엄청난 기대감은 안겨다 주었다. <연암...>에서 느꼈던 저자의 필력은 글쓰기의 비법도 비법이지만, 상당히 간결한 문체와 더불어 소설로만 내놓아도 손색이 없을 성싶은 탄탄한 이야기의 구성이 나를 매료시켰던 것이다.
<퇴계에게...>는 어떨까? 솔직히 말한다면 이 책 역시 “공부를 왜 하는가?”라는 질문에 훌륭한 답을 줄 수 있는 책임에는 틀림없다. 그리고 몇 가지의 복선을 깔아두어 위대한 성리학자 퇴계 이황의 학문의 경지가 어느 정도에까지 이르렀는지, 우리에게 알려준다.
책에 등장하는 주인공. 돌석이 퇴계를 업었을 때, 왜 함형에게 스승의 모습이 보이지 않았는지. 그리고 온 고을에 효심이 자자하다고 소문난 이가 왜 퇴계가 지나는 것을 보지 못하고 그냥 지나갔는지. 책의 마지막을 읽어나가다 보면 우리는 자연스레 그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고, 정말 그런것이 가능할까? 라는 미심쩍은 시선을 던져볼지도 모르겠다.
나 같은 경우에는, 이런 신기한 사건을 바라보면서 퇴계의 존재 자체가 허상이 아닐까? 라는 어림짐작을 해보았지만 결과는 역시 얕은 짐작에 불과했다. 실제 저자가 이야기 하고 싶었던 정답에 근접해보기 위해, 한 가지 힌트를 준다면 책의 제목이 주는 “<공부법>을 통달한 퇴계가 어떤 단계에 이르렀을까?” 를 생각해본다면 쉽게 알아맞힐 수 있을 듯싶다.
만약 나에게 단순히 <연암...>과 <퇴계...>. 두 권의 책 중 어떤 책이 우수한가를 꼽아보라고 한다면 나는 주저 없이 <연암...>의 손을 들어줄 것 같다. 왜냐하면 <연암...>은 '실용소설'을 완벽하게 표현해냈다고 생각하지만, <퇴계...>같은 경우에는 그가 추구하는 실용소설의 ‘실용’과 ‘소설’ 중에서 ‘실용’에 상당히 많이 치우친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이 책이 영 실망스럽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단지 이 책은 ‘실용소설’이 가진 운영의 묘 가운데서 ‘실용’이라는 요소를 부각시켰기 때문에, 우리가 항상 궁금해 마지않는 ‘공부란 무엇’이며, 그것을 ‘왜 하는가?’ 에 대한 실마리를 구체적으로 파헤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게다가 돌석이 쉽게 그들의 이야기를 요약 해놓기까지 했으므로 우리는 이 책을 통해서 공부라는 것을 새롭게 바라볼 수 있고 또한 지금 각자가 하고 있는 공부에 대해서 상당한 동기부여 효과를 얻을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해본다.
그래서 나는 이 책을 읽기 전에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한다. 특히, 돌석이가 정리해놓은 가르침의 정리를 보기 전에, 각자 돌석이 된 것과 같은 느낌으로 퇴계에게 숙제검사를 맡는다는 기분으로 먼저 이야기들을 정리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왜냐하면 솔직히 말해서 책이 너무 쉽게 읽히는지라 정리를 하지 않고, 그저 페이지가 넘어가는 대로 술술 넘기다보면 ‘아 좋은 책이구나!’라는 느낌과 ‘공부는 이런 것이구나’ 라는 단순하고도 어렴풋한 이미지만이 허무하게 남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사실 책을 다 읽고 나서 다시 처음부터 읽기가 망설여진다면 돌석의 메모만을 따로 읽어나가면서 앞의 이야기들을 되짚어 나가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 테지만, 그래도 그 유용한 정보를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선 우선 각자가 먼저 정리해서 비교해보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을 읽을 때, ‘나는 돌석이다.’라는 마음가짐으로 읽어나갔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