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지구영웅전설, 카스테라.
박민규의 소설 세권 중 삼미가 가장 재밌다.
이 책 읽기 전까지 나는 내 몸에 안맞는 옷이라도 입은양
세상을 비아냥되며 힘들게 자신만만하게 폼잡으며 살고 있었다.
근데 왜 이놈의 책을 접하게 되었는지?
지금 생각하면 후회가 막심하다.
성공처세서들이 가르쳐준 길로 무한정 나달리기 시작한 내게
1할2푼5리의 인생에 대한 매력을 듬뿍 안겨준 소설은
투덜거리기만 하기엔 너무 매력적이다.
지하철 타고 다니다 읽는 책 중에 입가에 웃음을 머금게 하는 책은 있어도
이 책처럼 노골적으로 킥킥거리게 만드는 책은 소설책 중엔 없었다. (만화책 중엔 삐리리 불어라 재규어 외 다수 존재.)
물론 중간중간 눈물을 흘리게도 한다.
프로로 성공하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은 시대의 금서다.
절대 손도 대지 마라!!!
미리 경고한다.
'치기 힘든 공은 치지 않고, 잡기 힘든 공은 잡지 않는다.'
우리 기억 속에 기억되어 있는 꼴찌팀 삼미슈퍼스타즈의 야구 신조다.
프로의 세계에서 유일하게 자신만의 야구를 했던 팀.
프로의 삶을 꿈꾸며 '가정을 버려야 직장에서 살아남는다'라는 신념으로 가득찬
주인공도 결국 직장에서 잘린 자신의 처지가
투스트라이크 쓰리볼 상황에서 스트라이크 아웃된게 아니라
투스트라이크 포볼로 진루해야 된다는 걸 깨닫는다.
이 때부터 주인공은 삼미처럼 자신만의 삶을 살기 시작한다.
친구놈은 우유배달등 하루 3시간만 일하고 21시간을 자신의 시간으로 만들었지만,
주인공은 퇴직금을 까먹으며 24시간 그냥 논다.
시간은 차고 흘러넘친다.
하지만 프로의 세계는
쉬지 않는다.
쉬는 법이 없다.
쉴 줄 모른다.
그렇게 길러져왔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렇게 기른 자식들이 역시나 그들의 뒤를 잇는다.
쉬지 않을수록
쉬는 법이 없을수록
쉴 줄 모를수록
훌륭히, 잘 컸다는 얘기를 들을 것이다.
완벽하고 멋진 프랜차이즈다.
신은 사실 인간이 감당키 어려울 만큼이나 긴 시간을 누구에게나 주고 있었다.
시간이 없다는 것은, 시간에 쫓긴다는 것은-돈을 대가로 누군가에게 자신의 시간을
팔고 있기 때문이다. 돌이켜 보니 지난 5년간 내가 팔았던 것은 나의 능력이 아니었다.
그것은 나의 시간, 나의 삶이었던 것이다.
알고 보면, 인생의 모든 날은 휴일이다.
- 삼미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262~265 쪽-
정답이 하나인 것 같지만, 그건 사회가 요구하는 정답이 하나이기 때문이다.
내가 다시 불온해졌다. 이게 다 이 책 때문이다.
그래도 그다지 기분 나쁘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