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센트 반 고흐, 내 영혼의 자서전
민길호 지음 / 학고재 / 2000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빈센트 반 고흐, 내 영혼의 자서전/민길호/ 학고사


이틀만에 ‘고흐의 자서전’을 단숨에 읽어들였다. 그것도 주말과 주일에 걸친 대장정term...

에 말이다. 독서의 쐐기를 이렇게 긴박하고도 강렬하게 당길 수 있을까 싶다.

예술의 문외한인 내가 고흐를 읽고 그의 삶과 인생, 예술사를 보면서 흥분을 감추지 못했고 공감했고 즐거워했고 울부짖었으며 애도했는지...당신은 모른다.

가슴, 심장이 벌떡벌떡 뛰어 올랐었다. 그 누구의 만족도 아닌 자기 자신의 만족을 위해서 화가의 길을 숙명적으로 걸어갔고 그길을 위해 어떠한 고통과 슬픔과 상처도 감내해야했던 고흐...진정한 예술의 구도자의 길로 인해서 평생 남동생 테오에게 경제적인 빚을 지면서 가난과 싸워가야 했던 고흐. 그러한 경제적인 빈궁함으로 인해 고흐는 결혼을 생각할 수도 없었다. 그가 조금 더 일찍 세상에 알려졌더라면 그의 삶이 조금 더 나아졌을까? 어쩌면 그렇게 무명시절의 화가로 평생 지냈던 고흐의 삶은 어쩌면 숙명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러기에 인기와 명예에 신경쓰지 않고 오직 순수한 예술가의 길을 걸었는지도 모른다. 고흐와 테오는 예술적 동반자였다. 고흐가 정신병으로 인해 결국 권총자살로 목숨을 잃고 난 후 테오는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1년 후에 정신병으로 죽게 된다.

그의 비극적인 삶과 예술이 미개봉되어진 채 소각되었다면 얼마나 그의 삶이 아쉬웠을까? 神은 고흐의 진지함과 예술혼에 손을 들어주었고 그로 인해 고흐는 사후에 화가, 『진정한 화가』로 등극하게 된다. 그는 정말 ‘진정한 예술가’였다.

자기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귀를 잘라버릴 정도로 강렬한 피(血)의 소유자였다. 평생 행복해 보지도 못했지만 오직 ‘인간에 대한 사랑과 예술혼’은 나의 가슴에 불을 질렀다. 그렇게 자신의 소명을 위해 삶을 불태운 고흐가 너무나 자랑스러웠고 자기 자신만읜 satisfaction을 위해 피를 흘린 그 예술가가 정말 너무나 존경스러울 따름이다.

너무나 종교적인 그가

너무나 세속적인 방탕을 구가하면서도

너무나 자연친화적인 삶 가운데

자기의 그림세계를 구축했다는 것...삶을 이토록 비극적으로 살아간 화가...예술가...입이 쩍 벌어진다.

그를 읽으면서 나를 보았고 내 삶을 둘러보면서 안정을 되찾았다면 그에 대한 모독일까? 찬사일까?

한 진정한 예술가의 피묻은 절규가 내 삶을 정화시키고 진정한 영혼의 울림에 대해 더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면 그것 또한 고흐의 예술이 아닌 고흐의 삶이 내게 선사하는 웅장한 울림, 떨림이 아닐까?

고흐...당신을 숭배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