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세자의 고백
이덕일 지음 / 휴머니스트 / 200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사도세자 사건은 내게 엄청난 울분과 분노로 점철된다. ‘누가 왕을 죽였는가?’에서 보았던 조선왕조의 역사 가운데 제왕의 길을 타고난 사도세자의 비극...

아버지 영조의 ‘삼종의 혈맥’이라는 명분과 ‘경종독살설의 콤플렉스’...

영조는 그 콤플렉스를 벗어나려고 노력했지만 벗어나기는커녕 자신의 외아들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두어 죽이는 꼴이 되버렸다. 영조는 오랜 세월 집권하여 탕평을 시도하려 했지만 ‘나주벽서사건’이후 그는 완전히 노론의 허수아비에 불과했고 일종의 정신병적인 광기로 사도세자를 죽이게 만들었는데 이는 역시 영조의 complex였고 딜레마dilemma였다. 사회적으로 완전히 고립될 수 밖에 없었던 사도세자...그 옆에 혜경궁 홍씨라도 같이 했다면.

혜경궁 홍씨는 외척에 너무 집착한 나머지 남편을 죽음으로 몰았지만 정조만큼은 버리지 못한 것이 그녀의 딜레마였다. 사도세자가 일찍 즉위했더라면 조선의 방향은 많이 엇갈릴수 있었으리라. 제왕감이었던 그의 꿈은 북벌이었고 이는 물론 당시 조잡한 당파싸움의 정치판에서 시선을 뗄 수 있는 위대한 Kingwork였고 Keyword였다. 물론 조선은 당파와 당쟁의 나라이므로 쉽지만은 않았으리라. 정조 또한 제왕이었지만 결국 노론에 의해 독살 당한 혐의를 소재하고 있으니 말이다.

정조는 사도세자의 기품을 이어받아 참으로 빛나는 정치를 추구했지만 애석하게도 미완의 꿈일 뿐이었다.

조선의 파란만장한 역사는 정조 이후 순조부터 퇴색되어진다. 권력에 찌든 외척과 사대부들의 세도정치는 걷잡을 수 없게 되었고 이로 말미암아 조선은 일제의 악어 같은 입에 삼키게 되고 만다.

영조...정조...그리고 그 가운데 사도세자...

참으로 많은 업적을 남긴 동시에 많은 뒷담화를 남긴 3代이다.

사도세자의 원혼을 위로하고 싶다.

문(文)과 무(武)를 동시에 겸하였고 자신의 적성엔 무가 더 적합했던 사도세자...
정조는 ‘나는 사도세자의 아들이다!’라고 외치고서 시작했던 개혁revolution의 역사...

아쉬운 조선의 역사이다.

그 수많은 당쟁과 당파싸움은 그 시대에 팽배했듯이 그 피를 이어받아 대한민국 정치판에서 고스란히 재현되고 있다. 이 역겨운 정피와 권력의 역사여!

사도세자는 영웅이 될 수 있었는데...

Written By Karl2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