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이란 말은 참 듣기 좋은 어감과 뉘앙스를 가지고 있다.
‘영‘을 발음하다가 ‘웅‘자가 발음될 때 무언가 하나가 날아가는, 비상하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이러한 것은 표피적인 차원에서이고 진정한 『영웅』, 그 말 한 마디만 들어도 대단히 설레고 떨리고 그러한 긍정적인 긴장감은 참으로 기분 좋은 일이 아닐 수 없다.


영웅...
영웅이 사라진지는 오래되었기 때문에 우리들은 어쩌면 영웅에 대한 향수nostalgia에 더 목 매는지도 모른다.
영웅의 이야기를 언급하면 우리는 현대의 Context라는 시대성을 떠나서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중세나 고대나 그런 과거로 타임머신을 타고 되추적해야만 우린 우리의 영웅의 얼굴Mask을 볼 수가 있다.


왜냐하면 우리 시대는, 현대는 영웅이 없기 때문not exist이다.
오스 기니스(Os Guinness)라는 기독교 사상가는
현대에 영웅주의, 영웅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를 두 가지로 들고 있다.


하나는 남을 헐뜯는 현대인들의 습관이다.


솔제니친은, 스탈린이 너무나 의심하기 좋아하는 인물이어서 ˝불신이 그의 세계관이었다˝고 묘사했다. 하지만 현대인들 모두다 니체, 마르크스, 프로이트의 영향을 받아서 의심의 대가들로 군림하고 불신의 습관들에 길들여져 있다. 따라서 영웅주의는 자동적으로 의심받게 된다.

우리는 매스 미디어의 영향을 너무나 받아서 다들 뉴스앵커나 기자로 둔갑해 버렸다. 사소한 술자리에서도 우리는 우리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사건과 환경과 삶에 대해 비판하고 비난하기를 얼마나 좋아하는가?


또 하나는, 실제로 영웅이 이전보다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과거에는 영웅적인 자질이 어떤 영예로운 성취와 연계되어 있었다.
진정한 성취나 업적을 이룩한 영웅의 자질-그것이 인격이든, 덕이든, 지혜이든, 예술이든, 스포츠든, 전쟁이든 간에-에 영예가 부여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매체, 멀티미디어가 유명세를 얻을 수 있는 지름길을 제공한다. 즉, 진정한 위대함에 수반되는, 예를 들면 글래디에이터에서 ‘막시무스‘가 가진 힘, 전투능력, 사람에 대한 믿음, 아내와 자식에 대한 신앙,목숨을 내건 검투사로서의 싸움...이러한 것들이 없이도 순식간에 가공된 명성을 선사하는 것이다.


그 결과로 영웅이 아닌 유명인사의 부류the famed로서,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에 널리 알려진‘ 인물로 유명할 뿐이다.
매체는 그 사람의 인격과 다른 어떠한 위업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그의 외적인 이미지에 무게중심을 더 둔다는 것이다.


이제, 영화의 이야기를 끄집어 내어볼까 한다.
영화 ‘글래디에이터GLADIATOR‘는 영웅주의를 다룬 영화이다.


로마제국의 번성기의 한 인물, ‘막시무스‘라는 한 전쟁영웅(장군)이 제국의 황제인 시저(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에게 왕권을 은연중에 승계 받지만 이를 안 시저의 아들 코모두스의 계락으로 막시무스는 죽음의 직전까지 갔다가 처절한 검투사의 노예생활로 전락하게 되고, 코모두스가 황제가 되는 대립구도는 영화의 흥미를 더 해준다.
영화에서는 막시무스의 인격, 전쟁능력, 리더쉽, 진정한 영웅의 자질, 황제의 자리에 욕심을 두기보다는 선왕(先王)의 뜻에 더 큰 대의(大義)를 두는 범상치 않은 자질,
그리고 볼거리-영화를 감상하는 관객에게 있어 최고의 관심-를 제공해준다. 스펙타클한 전쟁scene, 원형경기장에서의 결투scene...그리고 이 영화의 감독이 리들리 스콧트Ridley Scott임을 기억하자.


군중심리...변덕스러움이 그들의 특징이다.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실 때도 유대백성들의 군중심리가 한 몫을 한 것을 부인할래야 부인할 수가 없다. ‘글래디에이터‘에서도 그러한 모습은 등장한다. 그 군중심리를 교묘히 이용하고자하는 황제는 결국 막시무스와의 결투에 지고, 선은 악을 이긴다.
막시무스도 결국 유명을 달리하는데 그가 그토록 바랬던 아내와 아들이 있는 그 곳으로 가게 된 것이다.

마치 바람이 갈대밭을 만지작거리면서 부는 것처럼
막시무스가 갈대 숲을 손으로 헤치면서 움직이는 그 첫 장면과 마지막장면은 참 인상적이다.


영웅부재시대의 영웅주의의 아름다운 영화를 한 편 감상한 기분이 멋쩍다. 우리 시대는 과연 영웅이 존재할 수 있을지 회의의 미소만이 감돌뿐이다.


우리 시대에 진정한 영웅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여론과 매체의 영향에 의지하지 않고 자신만이 가진 진정한 소명the call-글레디에이터의 ‘막시무스‘처럼-에 따라 살아가는 것이리라.

영웅이 되고자하는 사람이라면 여론에 먼저 무감각해지는 훈련을 해야할 것이다.여론은 절대 중립적이지 않다. 자본과 권력과 상업성에 의해 언제나 치우치는 것이 여론이다. 그 여론에 의존하지 않고 삶을 거닐 수 있는 조건은 오로지 ‘소명‘뿐 일 것이다.
그러한 자는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의 고백처럼-윈스턴 처칠이 한 번은 동료 국회 의원의 악한 공격을 받는데도 왜 고통스러워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내가 그 사람을 존경한다면 그의 의견에 신경을 쓰겠지요.
그러나 그를 존경하지 않는다면 신경 쓸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라고 대답했다고 한다-자기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규정하고 자신의 삶과 삶의 방향the call을 감당하리라.


˝내게는 단 한 분의 청중the audience of one밖에 없다.
네 앞에서는 내가 입증해야 할 것도,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다.˝


이 모토motto는 영화 ‘글래디에이터‘의 주인공 막시무스에게 너무나 적절한 말이 아닐 수 없다.
난 이 영화를 보고 난 후, 요즘 읽고있는 오스 기니스의 ‘소명the call‘이란 내용과 너무나 오버랩O.L이 되어서 책과 영화를 오락가락하며 글을 쓸 수밖에 없었다...

2007년에 적은 듯한데, 적절성이 있는지 모르겠다! 일단 텍스트는 날 떠나겠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