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S - EDITOR (잡스 - 에디터) - 에디터 : 좋아하는 것으로부터 좋은 것을 골라내는 사람 잡스 시리즈 1
매거진 B 편집부 지음 / REFERENCE BY B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에 소개된 사람들은 모두 잡지를 만들었거나 현재 만들고 있는 사람들이다.


제러미 랭미드의 미스터 포터, 이 책에서 말하는 그리고 내가 생각하는 현재형 에디터십의 모델 그 자체다. 잡지는 콘텐츠 기획편집의 총아다. '잡지' 편집이란 것이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기획력이 뒷받침되는 팀워크형 작업이다. 원고를 취재해서 직접 만들기 때문에 저자의 역할과 가까우면서도, 발행인과 편집장의 리더십이 존재하고, 주간/월간 단위로 정기 발행된다는 점에서 보통의 저술 작업과 차이가 난다. 잡지란 이름에도 그만큼 서로 다른 다양한 콘텐츠를 한데 엮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기존에 우리가 알던 잡지 시장은 망한 지 오래다. 광고를 통해 벌던 수익의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대안이 되는 비즈니스 모델을 지금 제러미 랭미드가 미스터 포터에서 전개하고 성과를 내고 있다. 국내에선 무신사와 같은 사이트가 비슷한 비즈니스 모델이고, 세계적으로 비슷한 콘텐츠-비즈니스 연계 모델이 많이 운영되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제러미 랭미드의 미스터 포터 사이트를 보았을 때, 과거와 현재가 참으로 깔끔하게 잘 정리되어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 '라이프스타일 저널리즘'을 바탕으로 올드 미디어인 '인쇄 잡지'에서 발원했음이 분명한 유려한 편집 역량이 눈에 띄었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SEO'팀과 함께 일한다는 점이다.


이와 자연스럽게 연계되어 뉴스픽스의 사사키 노리히코의 작업은 내가 실제 참고할 부분이 있었다. 일찌기 한국의 출판인들이 일본의 출판 아이템이나 프로세스를 많이 참고한 바 있다. 그래서인지 일본은 한국과 출판 사정이 유사한 편이고, 디지털 시대 출판이 어떻게 자기 변신을 꾀할 것인지에 대해 실제 사례가 되어 주엇다. 책에는 사실 인물과 회사를 간단히 소개한 정도로 정보가 너무 부족햇다. 검색해봐도 그다지 정보가 없다. 좀더 조사가 필요한 서비스와 미디어다.


조퇴계의 브로드컬리, 퇴사하고 창업하는 사람들에 대한 동경과 실제. 내가 궁금한 것을 추구한다. '잡지'에 접근하는 방식이 상당히 개인적이다. 잡지는 많은 노동력과 자본을 요구하는 분야였으나, 최근 출간되는 독립잡지들은 개인의 호기심이나 희생을 바탕으로 제작된다. 조퇴계의 브로드컬리가 앞서 소개된 제러미 랭미드나 사사키 노리히코와 다른 부분이다. 그래서 얼마나 오래 갈 수 있을까?

종이 잡지로 만드는 방식이 유효한가? 이런 콘셉트/기획을 모아 생산비를 줄여 제공하는 서비스가 퍼블리나 북저널리즘과 같은 유료 서비스다. 브런치는 다음의 서비스로 좀 다른 플랫폼으로 접근해야 할 것 같다.


황선우 작가, 잡지계의 선수. 그녀의 글을 읽으면 한국에서 일 잘한다는 잡지 기자의 모습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있다.


정문정 작가, 디지털 미디어 에디터의 핵심 능력은 독자의 다음을 예측하는 설계자가 되는 것이다. 다양한 채널에서 콘텐츠를 만들고 유통하는 연습.


브루터스의 니시다 젠타, 주관적이고 감각적인 방식이 잡지다움을 만듭니다. '아주 조금만 방향을 틀어보면 어때요?' '요 며칠 계속해서 찾던 게 혹시 이거 아닌가요?' 사람은 높게 잡아도 자기 욕망의 30%밖에 인식하지 못한다. <브루터스> 만의 관점으로 모든 것을 다룬다. 시야는 넓되 관점은 좁고 명확하게. '편집'으로 엮기 전에 철저한 콜렉터가 먼저 되어야 한다. <<브루터스>> 잡지를 보고 싶은데 일본어를 못한다.... 퍼블리의 관련 기사 정도만 참고해야 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