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십자가 1
김종록 지음 / 김영사 / 201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역사소설을 읽어 가면서 느끼는 점은 객관적이고 신빙성 있는 역사적 사료와 증거물을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기에 역사학습이 가능하다는 점과 작가마다의 지난 역사에 대한 해석과 풍부하고 서정적인 감성과 상상력이 글 요소요소에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가 있다.개인적으로는 TV 및 영상물을 거의 보지 않다 보니 역사소설을 읽어 가면서 한 편의 역사극을 관람하는 것과 같은 몰입과 착각지경으로 빠져 들곤 한다.그리고 역사소설을 읽어 왔던 경험은 대부분이 조선시대의 인물과 사건,대외관계 등이 주가 되었다.문명이 발달되지 않았던 한 세기 이전의 조선시대의 왕조와 신권,사회상을 엿볼 수가 있어 매우 유익하고 흥미로웠다.

 

 이번 고려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접하게 되었는데 역시 작가의 탄탄한 상상력과 스토리텔링 그리고 역사적 사료와 증거물,관련 사건에 대한 청취 등을 바탕으로 전개하고 있는 <붓다의 십자가>는 놀랍기도 하고 신선하기도 했다.그만큼 김종록작가의 빼어난 스토리텔링이 두드러졌다는 점이고,고려시대의 정치,사회상을 어느 정도 가늠할 수가 있어 역사학습적인 면에서도 손색이 없었다.또한 친절하게도 등장인물들에 대한 소개를 실어 놓고 있어 등장인물의 역할과 성격,특징을 머리 속에 그려 가면서 읽는 재미와 곧 일어날 일에 대한 예측도 가능했다.김종록작가는 처음이라 생소하지만 어투가 동향(同鄕)말이 간간히 섞여 있어 마치 지인의 글을 읽는 듯한 감각마저 들게 했다.

 

 고려시대는 문인보다는 최씨 무인정권이 강했고 대외관계에서는 거란과 몽고의 침입이 잦았던 시대였다.최충헌의 시대가 끝나고 최이가 그 뒤를 이으면서 고려는 몽고의 침입으로 국토는 쑥대밭이 되고 수도 개경에서 강도(江島)로 천도를 해야 하는 상황 속에서 백성들의 삶은 문자 그대로 도탄에 빠져 버렸다.불국토라 일컬어지던 고려시대에 무인과 승려는 무능한 황권을 제치고 그들의 힘과 권력,사리사욕을 채우기에 바빴다.특히 불교의 중심교리가 중생구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승려들은 수많은 토지를 갖고 백성들에겐 도지(賭只)의 형식으로 논과 밭을 경작하게 한다음 일종의 약간의 싹을 주고 나머지는 수탈해 갔던 것으로 보여진다.그런고로 백성들의 삶은 나아지기는 커녕 가물,재해로 인해 흉년이라도 들면 굶어 죽을 수 밖에 없는 실정이었고 이에 비분강개한 백성들이 들고 일어나기도 했던 것이다.

 

 1232년 몽고의 침입을 받은 고려는 초조대장경이 불태워지면서 재조대장경 사업을 진두지휘하던 지밀 승경을 주인공으로 내세우고 강화도 선원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놀라운 것은 초조대장경이 불태워지던 광경을 목도했던 각수장이 김승은 대장경에 새겨진 십자가 모양을 보았을 것이기에 지밀 승경은 그를 찾아 곰소항(지금의 부안 변산)으로 가는 모습과 <동명왕편>을 쓴 이규보와 <삼국유사>를 찬술한 일연 스님도 소개되고 있다.아울러 몽고군에 끌려갔다 돌아온 환향녀인 여옥과 어린 예수의 화신인 가온이 등장함으로써 밋밋하고 건조한 역사극에 윤활유를 부어 넣는 듯한 로맨스 요소가 살아나 가독성이 배가 되었다.

 

 일본 후쿠오카 겐코(元寇) 사료관에 전시된 몽골군 갑옷에 십자가가 새겨져 있고,경주 불구사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돌에 십자가 문양이 발견되고 있는 점 그리고 초조대장경상에 교열한 흔적(已極諸悉-->已極 谙悉,이미 아주 잘 익히고 모두 다-->이미 아주 잘 익히고 다 기억하면)을 통해 불국토 나라인 고려에서 십자가의 형상과 그에 대한 의문은 작가의 해석을 통해 쉽게 이해가 갔다.

 

 고려는 불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면서도 어찌하여 대장경 및 갑옷,돌에 십자가 문양이 새겨져 있었던 것일까.그것은 당나라에서 들어 온 자료를 통해 알 수가 있다.<지현안락경>,<서청미시소경>,<경교삼위몽도찬>,<존경> 등이다.당나라는 화려한 실크로드 역사를 통해 서역국과 왕래가 잦았는데 대식국(이란),대진국(로마)과도 교역이 있었기에 그들을 통해 예수 및 마리아를 믿는 경교(景敎)가 당나라에 들어 오면서 자연스레 고구려,고려에도 경교의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불국토를 삼으면서 대장경을 통해 국난을 극복하려 대장경을 만들었던 고려는 몽고의 침입으로 인해 초조대장경이 소실되지만 지밀 승경에 의해 재조대장경 판각사업을 이루어 나가려던 당시의 상황을 풍부한 상상력과 통찰력 있는 문체로 독자들의 호기심과 가독성을 이끌어 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