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의 강 메콩에서
김이기 지음 / 시간여행 / 201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세계가 경제개발,산업화로 인하여 산과 강이 황폐해져 가고 있다.인간은 자연의 환경에 절대적으로 의지해 살아가는 극히 미약한 존재이건만 영민함과 문명의 힘으로 자연파괴를 일삼고 있어 앞일이 캄캄하기만 하다.자연에 의지하여 살아갈 수 밖에 없도록 만들어진 인간이 자연의 은혜를 원수로 되갚는다는 생각마저 들게 한다.이는 후대를 살아가는 후손들에게 커다란 재앙을 안겨줄 것이며 후손들은 선조들을 어떻게 생각할 것인지는 명약관화이다.

 

메콩강 유역의 나라들

 

 

 중국 운남성에서 발원하여 미얀마,타이,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을 잇는 메콩강은 태국어로 '모든 강의 어머니'라는 품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베트남에서는 아홉 갈래로 갈라져 물길이 아홉 마리의 용이 바다를 향해 물을 뿜어내는 형상이라 하여 꾸을릉 강(九龍江)라 부르기도 한다.총 길이 4,200km로서 유량은 약 4,750억이다.한국의 4대강인 한강,낙동강,금강,영산강의 총 유량 415억t의 열두 배에 가까우니 메콩강을 끼고 도는 6개국은 메콩강이 허브이자 젖줄이기도 하다.

 

 <EBS 다큐 프라임>제작을 위해 메콩 강 유역을 2년 동안 탐사 취재한 김이기작가와 함께 인도의 동쪽,중국의 남쪽 인도차이나반도,힌두문화와 불교문화가 어우러진 3억 명의 인구를 품고 있는 메콩 강은 오늘날 산업화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산하를 다시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하게 하고 자연생태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되어 주었다.숲과 강은 이제 형질이 바뀌면서 숲과 강에 서식하던 먹이 사슬은 온데 간데 없는 자본주의의 냄새로 진동하고 있는 점도 눈에 띄곤 했는데 물질문명의 발달과 인간의 삶의 풍요로움을 위해서 꼭 이렇게까지 해야 하나 싶을 정도이다.다만 메콩강은 아직까지는 물질문명의 침투가 심하지는 않아 다행스럽지만 국가의 지도자의 정책에 따라 메콩강의 자연생태계가 훼손되는 것은 시간 문제일 수도 있다는 위기감마저 들게 했다.특히 국가의 기간산업인 수력발전소의 건설은 메콩강 주위의 자연생태계 파손이 크게 우려된다.

 

 

수중 생태계의 파수꾼인 맹그로브

 

 

 길고도 긴 메콩강에는 농사를 짓는 농부들의 요람이 되기도 하고 수상생활을 하는 이들에게는 생계의 보금자리가 되어 주기도 한다.인도차이나 반도에 있는 나라들은 아열대기후이다 보니 3모작의 벼농사가 가능하고 갖가지 민물고기,과일,야채가 풍성하기만 하다.특히 수상에서 생활하는 이들은 수로를 따라 신선한 야채와 과일,생선을 팔아 생계 및 자식들의 교육에 힘을 쓰기도 하는데 이들은 매우 육체적으로는 고단한 삶이지만 자연을 벗삼아 살아가기에 욕망과 욕구가 크지는 않다.각박하지 않게 자급자족 형태의 생활이 무척이나 인상적이다.

 

 김이재저자는 자연생태계의 현장을 취재하는 한편 메콩강의 발원지인 중국 운남성의 소수민족의 불교사원에 대해서도 각별하게 전해주고 있다.이들은 대부분 수도승 각자의 계발과 깨달음을 목표로 삼기에 한국과 같은 대중적인 불교와는 거리가 멀다.하루 아침 일용할 양식을 탁발하고 전심전력으로 수도에 힘쓴다.또한 소수민족의 믿음은 자연신앙에 가까워서인지 모든 물건에 영혼이 깃들어 있다는 믿는 원시 종교에 근원을 두기도 한다.

 

 

 똔레삽호수의 수상가옥 풍경

 

 언론매체를 통해 자주 들었던 차마고도 및 앙코르와트 사원,루앙프라방의 사찰,메콩강 델타(삼각주) 등이 잘 보존되어 있어 찬란했던 시절를 되새겨 보고 천혜의 자연생태계가 이렇게 유려하고 축복서린 땅이라는 것이 선망과 동경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한 번 망가지고 사라져 버린 생태계 훼손과 인공의 흔적은 비록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할지언정 그로 인한 댓가는 돈으로 환산할 수도 없는 인류의 삶의 가치와 의미를 무색하게 하는 행위에 다름없다고 생각한다.비록 불편하고 수고스럽겠지만 자연생태계를 잘 보전해야 자연은 인간에게 보다 많은 것을 베풀고 그 후광에 힘입어 인간의 삶의 질은 더욱 풍요로워지지 않을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