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명이 품은 한국사 여섯 번째 이야기 : 지명유래 서울.호남편 지명이 품은 한국사 6
이은식 지음 / 타오름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자 및 한자어를 좋아하고 아이들을 가르치다 보니 자연스레 한자어가 나오면 무슨 뜻인지를 먼저 유추해 보게 된다.아울러 서울을 비롯하여 산간 오지의 동네에 이르기까지 그 명칭과 유래는 그냥 지어진 것이 아니다.신화와 전설,인물과 비사,산과 강 등 자연과 연계하여 지어졌으리라 생각한다.초기에는 지역명,동네명 등이 순수한 한글이었다가 시대가 변천하면서 행정구역명도 대부분 한자어로 개명되었을 것이다.

 

 자동차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주 전철을 이용하여 볼 일을 보게 된다.전철역명이 대부분 한자어이기에 아는 것은 물론이고 모르는 것들도 포털 사이트에 들어가 그 유래와 비사 등을 알아 내곤 하는데 개인적으론 지역명,동네명을 하나 둘씩 알아 가면서 우리의 지난 역사를 훑어 가는 재미와 학습적인 효과마저 있어 일석이조라고 생각한다.지하철 6호선을 타고 가다 '광흥창(廣興倉)'역을 지나치게 되었다.과연 광흥창의 유래가 무엇이고 한자의 구성은 무엇일까를 궁금해서 포털 사이트에 접속,확인해보니 조선의 행정기관으로서 태조1년에 문무벽관의 녹봉의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던 관청이고 호조 소속이었다.

 

 '타오름'출판사에서 지명이 품은 한국사시리즈를 여섯번째 내놓게 되었다.첫번째 지명유래부터 읽기 시작하다 보니 어느덧 서가에는 시리즈물로 단정하게 비치가 되어 있어 자부심까지 든다.자주는 보지 않지만 한국역사와 관련한 도서를 읽다 지명이 나오게 되면 해당지역의 도서를 꺼내어 일별하기도 하고 음미해 보기도 한다.그러면서 (당연한 얘기이지만)한국인으로서 지난 역사의 흔적과 선조들의 삶이 희미하게나마 연상된다.한국은 중국의 한자가 들어오면서 이두문자를 사용하고 한글이 창제되었지만 오랜 기간 한자 및 한자어는 꼭 이해하고 유추하는 능력을 기르는 자세를 갖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모든 분야가 한자어(70% 이상)로 되어 있기에 당연 어린시절부터 한자를 익히고 지역유래 등은 부모가 먼저 알고 그 의미와 가치를 전달해 주는 부모교육도 중요하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한다.

 

 서울 지역의 지명은 종로구부터 서원천동,행당동,홍익동,금호동,용답동,왕십리동,사근동,송정동,성수동,도선동,미아동 등이 있으며 동작구의 지명은 한강과 연관한 나루터 그리고 서원과 슬픈 역사,설화 등을 자세하게 소개해 주고 있다.나아가 관악구 지명은 양녕대군과 무학대사에 얽힌 풍수설이 인상이 깊었고 이은식저자께서 두 발로 답사를 하면서 꼼꼼하게 서술해 주고 있어 한국역사의 단면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무척이나 든든하기만 하다.조선왕조의 주요 간선도로가 통과해야 하는 한강에는 많은 나루터가 있는데,광나루(광진),삼밭나무(삼전도),노들나루(노량진),삼개나루(마포진) 등이 있으며 사람과 물자를 건네주는 도선장(渡船場)이 있었다.한양이 한때 4대문을 중심으로 성곽과 커다란 대문이 있었기에 예전에는 경기도 고양군,00리였는데 1914년 일제강점기때 일본에 의해 서울의 행정구역이 대폭 바뀌게 되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되었다.

 

 호남권은 주로 전라남도의 지명유래를 중심으로 서술하고 있다.광주광역시,담양,나주,목포,장성,영광,해남,무안,영암,광양,진도,곡성,구례,장흥 등을 소개하고 있으며,전라북도는 순창과 정읍만 단촐하게 소개하고 있어 약간 지역소개에 대한 균형과 조화가 미흡하다는 생각이 든다.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사람이 살터를 잡는 데에 지세가 좋아야 하고 아름다운 산수가 있어야 한다고 했다.특히 지세에 있어서는 먼저 물길을 본 후 들판의 형세,산악의 모양 등을 살펴야 한다고 하였다.아마 이것은 당시 풍수지리에 입각하여 거주지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던 것으로 보여진다.그가 살 만한 곳으로 꼽는 곳이 평양.춘천.여주를 들고 있는데 물길과 들녘,산악의 모양이 골고루 균형을 이루어 있다는 생각이 든다.

 

 흐믓한 얘기로는 가문을 더럽히지 않고 일신의 명예를 수치스럽게 않기 위해 젊은 나이에 자신을 희생하고 가시밭길을 꿋꿋이 수절하신 간아지 할머님의 장하신 지조를 높이 평가한 중종 임금은 "국가 장래를 걱정하고 자신을 희생하며 사회와 국가를 위해 희생한 충신,호자와 열부(熱婦)를 찾아 기록에 남기고 비문에 새겨 천추에 길이 빛나도록 하라"고 예조에 명했다는 것이다.이렇게 지명유래 및 훈훈한 비사는 얼마든지 있다는 것인데 이를 사료와 기록물,구전 등을 토대로 인물과 역사의 유래를 찾아 후세들에게 교육적인 면에서 든든하기만 하다.한반도가 통일이 되어 북한의 지명유래까지 알게 된다면 이보다 더 좋은 역사학습이 어디에 있을까라는 생각마저 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