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진실에 대한 이야기의 이야기 -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문명의 붕괴>에 이르기까지
앤 커소이스.존 도커 지음, 김민수 옮김 / 작가정신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개인적으로는 편독을 하지 않으려 하고 있다.연령대에 따라 관심 분야가 조금씩 달라지고 있기는하지만 균형 잡힌 독서를 통해 이성과 논리,감성 등의 내면적인 면을 발전시켜 보고 싶고 넓은 세상에 대한 안목과 시각을 넓히려는 생각도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그런데 역사분야 만큼 사실에 입각한 사건과 인물의 생각과 감정,작가의 풍부한 상상력과 개인적인 예리한 통찰력이 있는 역사 읽기는 재미와 유익함을 동시에 안겨 준다.

 

기원전의 역사 이야기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역사 이야기는 글을 쓴 역사학자 및 문학작가에 의해 어느 정도 상상력과 추리,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 등을 반영하고 있기에 다소 허구적일 수도 있어 독자들에겐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의 균형감각을 잃을 수도 있으리라 판단된다.그러하기에 역사 이야기를 읽는 독자가 어떠한 관점,어디에 초점을 둘 것인가를 두고 읽을 것인가를 염두에 두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나 역시 역사학습이 될 만한 것들은 꼼꼼하게 읽으려 하고,픽션에 바탕을 둔 것들은 역사적 배경을 염두에 두고 나름대로의 상상력과 개연성을 갖고 읽는 편이다.

 

앤커소이스.존도커 두 분이 쓴 이 도서는 역사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헤로도토스의 <역사>와 투키디데스의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얽힌 간략한 소개와 그들이 밝히고 있는 역사 이야기에 대한 관점과 해석으로부터 <문명의 붕괴>를 쓴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이야기까지 다양한 관점과 해석을 밝히고 있다.단연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가 역사 이야기의 물꼬를 틔운 분들이라면 그 뒤를 이은 역사학자 및 철학자들은 이 두 분들의 영향을 받았다든지 아니면 역사학의 이론을 새롭게 펼쳐역사를 바라보는 시각과 관점을 다양하게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역사는 역사적 진실의 문제,역사가와 과거의 관계,사실과 가치,해석의 문제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 - 본문 -

 

서구 역사기술의 기틀릉 확립한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는 각각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전쟁사<역사>와 아테네와 스파르타 사이에 벌어진 <펠로폰네소스 전쟁사>를 다루고 있는데,헤로도토스는 카니발적 열정과 우울한 정서,풍자적 유머와 이야기하기 자체의 즐거움에 이르는 다양한 장르와 분위기를 통해 시의 경직성에 도전하고 그것을 전복시키고 있는가 하면,투키디데스는 전개가 빠르고 정확성을 추구하며,글의 방향성도 뚜렷하다.다분히 분석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헤로도토스는 이야기 자체를 즐기고 이를 신화적이고 허구적인 관점이 많다면 투키디데스는 철저하게 연대기적 서술방법을 활용하면서 사건을 연도,계절별로 구분하고 기록했다는 점이 대조적라고 할 수가 있다.

 

그 뒤를 이은 랑케,부르크하르트,니체,액턴,크로체,마르크스,월터 스콧 경,푸코,스팀슨,토인비,딜릭,다이아몬드 등의 작품을 해석하고 있다.역사가 단순히 허구적일 수도 있지만 각각의 역사는 삶과 연관지어 인간에 대한 믿음,세대와 세대 간의 위대함이 일시적인 것이 아닌 결속력과 지속성을 띠어야 한다는 대목도 인상적이다.특히 니체는 역사를 기념비적 역사,고고학적 역사,비판적 역사 등으로 구분하고 있는데 충분한 증거,자료에 의거한 역사일지라도 역사 이야기를 저술한 학자의 견해,당대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것이라면 비객관적이어 왜곡된 역사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즉 권력자의 편에 서서 역사 이야기를 쓴다면 후대들의 삶에 커다란 인지 부조화와 오류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인류의 진화와 역사,그리고 사회의 변화 속에서가부장적 사회제도하에서 억압되었던 여성들의 사회.문화 참여가 두드러지고,지배 권력을 비판하고,국가에 맞서 반대의견을 펼치기도 하며,2차세계대전 막바지 히로시마 원폭투하는 미국이 러시아와의 냉전 외교를 위한 최초의 주요작전이었다는 증언,개별 문명에 초점을 맞춘 토인비와 대조를 이루는 맥닐은 각 문명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이 커다란 차이점이다.나아가 재레드 다이아몬드가 인류의 운명에 우려와 관심을 표명하면서 <문명의 붕괴>에서는 사회의 붕괴 원인을 환경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 있다는 것을 커다란 줄거리로 내세울 수가 있다.

 

기원전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역사학자들에 의해 역사 이야기가 쓰여지고 있다.흔히 역사 바로 세우기라는 말이 있는데,역사는 증거와 사료에 바탕을 두되 어느 정도 학자의 상상력과 통찰력이 가미될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든다.나아가 현대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기후 변화,자연 생태계 파괴,자원 고갈 등의 문제를 직시하고 "지구의 이익을 위한 인류의 협동에 기여한다"라는 슬로건으로 인류 상생의 역사 이야기가 전개되었으면 한다.역사는 허구와 과학의 중간점에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보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