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들의 부부싸움 - 조선의 운명을 결정한
이성주 지음 / 애플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절판


 

 

 

 

조선의 운명을 결정한 왕과 왕비의 알력과 암투는 제목 자체만으로 흥미를 끌기에 충분하다.오늘날에도 돈과 권력을 쥔 자들은 아무리 서로가 좋아 혼인을 맺는다 해도 양가의 재산,학벌,좋은 DNA 찾기 등으로 짝을 이루어 두 개의 성이 결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조선 시대와 같이 봉건적이고 보수적인 시대에서는 왕비를 선택하는 데에는 몇 명의 왕비 후보군을 결집시켜 그 가운데 가장 무난하고 국정의 파트너로 적합한 인물을 간택하기까지는 여러 가지 환경적 요소,물리적 요소 등이 작용하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왕비는 국모(國母)인 만큼 국정의 대소사를 직간접적인 입김이 작용했을 테고 때로는 수렴청정을 하기도 하고 실세로서 막강한 권력행사를 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왕과 왕비 그 자리가 아니라면 그들 역시 일반 자연인과 다를 것이 없는 남과 여가 만나 결합한 부부의 관계이고 삶의 동반자에 지나지 않겠지만 왕과 왕비는 극도로 봉건적이고 엄격한 왕조 체제하에서 알콩달콩한 관계는 그리 많지 않았을 것이다.막강한 권력을 쥐고 있는 군주,왕에 의해 정사가 결정되고(지금도 그러하지만) 은밀한 방사(房事)도 대를 잇기 위한 방편이었을지 모른다.오늘날 흔히 말하는 꽃피는 봄날 부부가 손을 잡고 소풍을 가는 정겨운 모습이 과연 조선시대에 있었을지는 미지수이다.

 

이 글은 <조선왕조실록>이라는 사료에 바탕을 두고 왕과 왕비의 관계를 고증하고 있다.주로 역사적 사건,정치적 쟁점과 연계된 부부생활이 주가 되고 있으며 왕비의 입김과 군주의 흐린 판단에 의해 정비(正妃)보다는 후궁을 더 귀여워 하기도 한다.후궁에게 싫증이 나면 또 다시 정비에게 다가 오는 등 군주의 지조없는 행동은 정치적인 쟁점과도 깊게 맞물리기도 한다.정비를 내치고 다시 맞아 들인 후궁이 인척들을 동원하여 한 자리 해먹을려다 척살되는 경우도 있다.조선 후기에 들어와서는 극심한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의연하고 근엄한 군주의 모습은 사라지고 체통마저 잃는 경우도 있다.

 

조선시대는 왕이 정비를 비롯하여 여러 명의 후궁과 궁녀들을 거느리고 다산을 통해 국통을 잇고 왕권의 체통과 전통을 잇는 것이 다반사였다는 것을 새롭게 알게 된다.특히 왕권을 누가 이어가느냐에 첨예한 의견 대립과 불상사가 다발하고 있는 점이 그 시대의 특징이라고 보여진다.당연히 정비의 맏이인 적장자(嫡長子)가 왕위를 계승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맏이의 행실이 좋지 않다는 분분한 여론은 둘째나 셋째 또는 후궁에서 난 자식이 왕위를 계승하는 경우도 있다.(조선왕조 27명 중에서 적장자 승계 원칙을 지킨 경우는 문종,단종,연산군,인종,현종,숙종뿐이다)

 

왕비는 왕의 그림자와 같은 존재이기에 왕이 하라는 대로 따라 가는 것이 순리이고 분위기였지만 태종의 부인 원경왕후의 경우에는 자신의 친정 식구들이 왕권에 깊게 간여하다 보니 태종은 이를 외척발호로 여기고 권력누수를 염려한 나머지 원경왕후의 인척들을 모두 죽음으로 몰아 넣고 왕권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기도 했다.나아가 조선은 군약신강(君弱臣强)의 나라로 왕의 권력이 절대적으로 약했는데 성종은 그 군약신강의 대표적인 왕이었다.이러한 모습을 보고 자란 연산군은 치세 내내 대간 세력들과의 싸움이 끊일 날이 없었던 것이다.

 

나쁜 남자 태종,파파보이 세종,여자를 멀리한 문종,폭군 아들을 낳은 성종,속을 알 수 없는 중종,아들을 질투한 선조,권력 앞에 냉정한 숙종이 이 글의 주인공들이다.그들은 부부라는 겉궁합과 속궁합으로 살아 가던 모습이 아니었다.일종의 규방암투(閨房暗鬪)의 수준을 넘어 피비린 내 나는 척살과 독살,정치적인 모략과 부적,방화의 횡행 등이 조선의 궁궐 안에서 벌어졌던 것이다.'권력은 자식하고도 나누지 않는다'는 말이 이 글을 통해 얻은 교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