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방의 법칙 - 사회는 모방이며 모방은 일종의 몽유 상태다
가브리엘 타르드 지음, 이상률 옮김 / 문예출판사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의 문명이 시작되고 진보되면서 지식과 지혜가 축적되어 오고 있다.그 지식과 지혜는 한사람의 힘에 의해 축적된 것이 아닌 선현들이 남겨 놓은 지식과 지혜를 아로새겨 재창조되어 온 것에 다름없다고 생각한다.그러한 재창조가 때로는 관습으로 남겨지기도 하고 모방의 형태로 이어져 가기도 한다.그러기에 지구상에 존재하는 인간이 이룩해 놓은 모든 결과물 내지 새로이 탄생될 예정인 것들은 독자적이고 독보적인 것들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앞에서 이룩해 놓은 것들을 토대로 흉내내고 재창조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19세기말 프랑스의 사회학계를 대표하고 철학 교수를 지낸 가브리엘 타르드저자는 사회현상을 지배하는 온갖 창조물,유행,진보가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닌 모방에 의해 재탄생 내재 재창조되어 가고 있다고 사회심리학 차원에서 분석하고 들려주고 있다.

 

그가 말하는 모방에서는 사회학적 관점에서 서술하고 있는데 보편적 반복,사회적 유사와 모방,고고학과 통계학,모방의 논리적 법칙,논리 외적인 영향으로 나뉘어 설명하고 있다.보편적 반복에는 물리학과 생물학,사회학 차원에서 유사한 법칙이 존재하고,모방에 의하지 않은 사회적 유사와 생식에 의하지 않은 생물의 유사를 보여 주고 있다.모방이 없어도 동식물의 본능에 의한 유사의 법칙이 있음을 알게 된다.

 

권력,명예,부와 같은 것들은 믿음이나 욕망의 형태로 모방이 이루어지며 그 속에는 결투와 결합 등의 형태가 보여지며,논리 외적인 모방에는 언어,종교,통치,법률,관례와 욕구,도덕과 예술 등도 널리 분포되어 행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역사 속의 굵직굵직한 사건들도 결국은 보이지 않은 모방에 의해 탄생되기를 반복하는 것은 인간의 뇌 속에는 관행적이고 관성적인 것들을 선호한다는 것을 새삼스레 알게 된다.

 

이러한 사회적 지배를 하고 있는 창조,유행,진보는 정치,경제,사회,문화,심리 등의 전반에 걸쳐 개인 내지 사회의 토양과 이해관계에 맞춰 믿음과 욕망을 바탕으로 조직되며,발명과 모방도 동일하게 진정한 사회적 양이 된다.사회가 조직되는 것은 서로를 강화하거나 제약하는 믿음의 일치나 대립에 의해서이다.이러한 믿음은 종교적인 믿음을 비롯하여 도덕적 믿음,법률적,정치적,언어학적 믿음에 이르기까지 사회를 형성하는 힘의 원천이기도 하다.

 

발명이나 발견의 경우는 어느 정도는 사회 논리에 의해 정해지고 숙명적이며 돌이킬 수 없는데,그것은 문명화 과정에서 사회적 우월성의 계열을 이루는 것이다.어떤 특정한 시대와 나라에서 다수가 연속적으로 추구하는 사회적 재화의 계열에 의해 지배되는데,그 형태는 다양하며 여러 갈래로 변하는 특징이 있다.

 

 

보편적 반복 형태의 하나인 관습 정신은 생물계가 제시하는 유사를 통해 유사 정신에서 관습 정신으로 돌아가는데,여기에는 파동,생식,모방이 자리잡고 있다.이것은 처음에는 그 자신을 생기게 한 이전 형태와 관계있고 또 그 이전 형태를 따르면서 출현하지만,그 다음에는 거기에서 벗어나 그 이전 형태를 자신에게 복종시키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이것은 유전자 법칙 및 종의 기원 등을 깊게 연구하고 사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제일거 같다.

 

이 글은 방대한 양이고 저자의 해설이 깊게 녹아져 있기에 약간은 지루한 느낌도 없지 않았다.인류의 문명 속에는 반복의 형태를 띠다 관습과 체제가 이루어지고,이러한 것이 사회적 지배를 형성하고 있는 창조,유행,진보와 같은 모방의 메커니즘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았으며,19세기말에 지어진 글이 현대 및 미래에도 그대로 통용될 수 있는 사회심리학의 역작이라고 판단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