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과 권력의 역사 - 인간 문명 그리고 시간의 문화사
외르크 뤼프케 지음, 김용현 옮김 / 알마 / 2011년 12월
평점 :
절판


 

 

 

인간이 살아가면서 달력과 시간 개념이 없다면 어떻게 살아갈까? 참 답답하다 못해 원시인마냥 해가 뜨니 낮이고 어두워지니 밤일 것이다라고 멍청하게 살아가지 않을까 한다.달력에 생일과 기념일,해야 할 중요행사,만남,계획 등을 세우고 시간을 통해 일분 일초를 다투는 직업의 세계에선 시간이 없다면 맥이 풀릴 것이다.복잡하게 돌아가는 현대세계에서 달력과 시간은 반드시 일반인의 생활에 깊게 관련이 있지만 그 역사는 권력과도 깊게 관련이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기원전 1세기의 60년대, 독재다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46년에 행하 율링스 개혁이 있기 20년에 완성된 달력은 태양력과 태음력을 이용하고 1년 354일을 365일로 만들기 위해 4년에 한 번씩 2월에 윤일로 만들었던 것이다.또한 1,3,5,7,8,10,12월을 31일로 하고 짝수달 및 9,11월을 30일로 만든 것도 신기한 느낌으로 다가온다.달력이 고대 중부 이탈리아의 농경사회에서 현재의 세계화된 후기 산업사회에 이르기까지 똑같은 모습으로 남아 있는 이유가 뭔지도 호기심 가득차게 다가온다.

 

 

콘스탄티누스가 제정한 일요일에 관한 법은 <테오도시우스 법전>과 <유스티니아누스 법전>에 잘 나타나 있고 이는 로마의 축제일 결정에서 공식화하는데 이르기까지 먼 고대에서 이어져 온 것으로 보여진다.그래서 일요일은 공휴일이 아닌 법정이 휴정하는 날로도 결정되었던 것이다.

 

 

달력으로 역사를 쓴 아우구스투스 시대의 시인에는 오비드의 <축제력>과 <사랑의 노래>,<사랑의 기술>,<변신 이야기>,<비탄의 노래>,<흑해에서 온 편지> 등이 있다.오비드는 달력으로 역사를 쓴 댓가로 흑해 연안으로 추방된 유배자라는 개인적인 비극을 맛보게 된 사실도 있다.나아가 17세기 후반에는 뉘른베르크에서 발행된 달력 제작자 마르쿠스 프로인트의 <시간과 기적의 달력>은 널리 보급디고 배열 방법을 잘 보여주는데 달력을 통해 영국인과 네덜란드 사이의 모든 전투와 점령 그리고 몇 개으 대화재를 진실하게 기술할 것을 밝혔다고 한다.또한 기적과 영웅 이야기 그리고 살인행위에 대한 예도 달력을 통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시간의 중립성은 시간을 정하는 행위가 당사자에게 가장 중요한 활동의 여지가 되는 불안한 상황에서 결졍을 내릴 때는바람직하지 않을지도 모른다.택일, 즉 행동할 날짜를 예언적으로 결정하는 일도 자세하게 나와 있으며 이에 대한 근거를 금요일이나 13일처럼 그 순환으로 제공되기도 하는데 출판물로 대중화된 점성술을 통해 보완되기도 했다.99년 9월 9일 혹은 05년 04월 03일의 결혼은 점성술적인 도움을 대신하기도 한다.숫자 '0으로 끝나느 수'는 연례 기념일과 관련하고 어떤 동기나 계기를 만들기에 안성맞춤이다.

 

달력은 복수로 등장하는데 고대의 월력은 행정이나 상업,여행객의 커뮤니케이션을 단순화하기 위해 상이한 달력 목록의 색인을 제공했고 로마의 유대인들은 유대인 교회 시나고그와 관련된 카타콤의 비석에 율리우스력으로 날짜를 기입했으며 ㅣ칠리아 섬 타우로메니온의 로마 식민지 거주자들은 제정기에도 그리스의 태음태양력으로 일정을 기록했다고 한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달력과 시간을 잊고 살 수는 없다.그렇다고 달력과 시간에 지배되어 종속적인 피지배자가 되어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가족,집단,조직을 위한 개별적인 달력과 야간과 일요일 근무,특정 요일 오전의 자유시간 등과 같이 달력의 시간을 광범위하게 이용하는 것도 센스있는 지혜라고 생각한다.권력을 갖은 이들은 자신의 입맛에 맞게 시간과 날짜를 달력을 통해 교묘하게 만들어 피지배인을 착취하고 이용하기도 한다.다만 살아가는 과정에 달력과 시간은 없어서는 안될 다양한 인간의 도구가 되기도 하지만 달력과 시간에 쫓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나만의 자유 공간을 만들고 달력과 시간이 없는 시공간에서 유유하게 살아보는 것도 의미와 가치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