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보상자의 역습 - 대중문화가 어떻게 우리를 더 똑똑하게 만들었나?
스티븐 존슨 지음, 윤명지.김영상 옮김 / 비즈앤비즈 / 2006년 9월
평점 :
품절






(슬리브 커브의) 긍정적 세뇌의 이점을 제대로 보려면, 도덕성의 함정에서 빠져나와야만 한다.- 서문 중에서

 

코뿔소를 본 적도 없는 사람이 코뿔소를 봤다는 사람의 말을 듣고 코뿔소를 그렸다.

제대로 코뿔소가 그려졌을까?

이 책을 통해 나는 내가 알고 있던 '코뿔소'가 얼마나 엉터리고, 왜곡되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그것은 어떤 음식을 한번도 먹어보지 않고, 맛을 평가하는 거랑 다를바 없다.

(단지 생긴 게 맘에 안 들어서 먹지 않는 음식도 얼마나 많은가)

똥인지 된장인지 꼭 먹어야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된장을 가장한 똥인지, 똥을 가장한 된장인지는 먹어보기 전까지 알 수 없다.

 

평소 비디오 게임이나 미드(미국드라마)에 미쳐 있는 사람이라면,

그리고 평소 그 '미쳐 있는 사람들'때문에 불평불만이 많았던 사람이라면,

그리고 그 사람들이 도대체 왜 미치는가... 궁금한 사람이라면 꼭 한 번 일독해보길 권한다.

나는 앞으로 번역할 책의 참고서적으로 읽었는데, 그냥 지나치지 않고 읽게 된 것에 정말 감사하고 있다.

 

사람마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분명 또 다른 세계를, 인식의 지평을 넓혀 줄 멋진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가령, 우리 신랑은 비디오 게임을 하면서 더이상 내 눈치를 보지 않겠다고 좋아한다.

거참, 난 눈치 준 적 없다니까 ㅡㅡ;;

그나저나 우리 신랑도 더이상 미드보고 밤새는 나에게 혀를 차진 못하겠지)

 

이 책은 단순히 게임이나 미드에 대한 변명의 장이 아니다.

대중문화는 그가 이루어낸 경제적 문화적 효용과 가치를 떠나 늘 사회적 경시와 비난의 대상이 되었다.

우리는 누가 만들어 냈는지도 모르는 예전 화면을 아무 비판없이 들여다 보고 있는 건 아닐까?

이제 '새로고침'을 클릭하여 업데이트 된 내용을 확인할 때다.

 

독서는 이제 필요 없다거나 아이들에게 하루 종일 게임을 하게 해주자는 의미는 아니다. 단지 현대 사회에 대해 우리가 너무 쉽게 단정 지은 것들이 틀릴 수 있다는 걸 보여주고 싶은 것이다. 하향평준화되는 대중문화는 결국 지어낸 얘기에 불과하다. - 본문 188쪽에서

 

 

2007년 12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안녕하세요 김주하입니다 - 내가 뉴스를, 뉴스가 나를 말하다
김주하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많은 사람들의 주목과 사랑을 받고 있는 성공한(?) 직장 여성의 뒷 이야기(?)가 궁금했다.

여성앵커로, 여기자로, 또 한 남편의 아내이자 한 아이의 엄마로서

동분서주하는 그녀의 씩씩한 목소리가 나도 참 좋았기 때문이다.

나역시 저널리즘을 공부했었고, 한 때 언론고시에 도전했던 경험도 한 몫 했으리라.

깔끔하고 당찬 이미지로 '뉴스의 여성사'를 다시 써주는 그녀가 고맙기도 했다. 

 

 

 

 

사람에게는 하고 싶은 일이 있고, 할 수 있는 일이 있으며, 잘하는 일이 있다.

이 세 가지가 모두 일치하는 사람을 우리는 복 받은 사람이라고 부른다.

단 두 가지만 일치하더라도 부러움의 대상이 된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는 내가 어떤 일을 가장 좋아하는지조차 잘 모르고 살 때가 많기 때문이다.

-본문 177쪽


 

 

 

 

책은 가볍고 술술 쉽게 읽힌다(처음엔 너무 가벼워서 실망했다. ㅡㅡ;)

그렇게 설렁설렁 읽고 나면 '잘 하는 일을 할 수 있고, 또 잘 하고 있는' 그녀를 더 응원하게 된다.

꼭 앵커나 기자가 되고 싶은 사람이 아니라도 이 책을 통해 그렇게

자신이 '잘 하는 일과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고민하고

또 '잘 하는 방법'을 찾고 싶은 사람들에게 귀감이 될 것 같다.

 

다만 이 책의 잘빠진 외관과 상업적 장치들이 끝까지 마음에 걸린다.

 

 

 

2007년 12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디지털 게임 스토리텔링 - 게임 은하계의 뉴 패러다임 살림지식총서 199
한혜원 지음 / 살림 / 200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리스토텔레스식의 서사모델로는 게임의 서사를 설명할 수 없다.

정태적이고 보수적인 틀로 현재와 미래의 게임을 담아내지 못할 것은 뻔하다.

그러나 그것이 20세기초까지 게임을 해석하고 분석해 온 비평적 시각의 일변도였다.

게임을 직접 해 보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아니, 게임에 빠져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조차

'게임은 나쁜 것이다'의 명제에서 시작하여 '그렇다면 게임은 왜 나쁜 것인가'만 회자되었다.

 

불과 얼마전까지 게임은 정말 '나쁜 것'인줄만 알았던 나도 

게임이 '나쁜 이유'가 모래성처럼 무너져내리며 새로운 세계로 빠져들고 있다.

(바보상자의 역습 http://blog.naver.com/jinirock78/45789598

게임의 역습 http://blog.naver.com/jinirock78/45785692)

 

이렇게 게임이 대중문화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의미, 그간의 누명과 오명을 벗겨낸 나는

이 책을 통해 게임의 이론적 세계에 입문하였다.

(이 책은 게임에 대한 변명이나 게임의 문화적 의미를 설파하지 않는다. 이 책에서 그러한 것들은 당위다)

90페이지도 안 되는 짧은 '논문형' 글이지만 탄탄하고 쉽게 쓰여 있어 술술 읽힌다.

(조금의 인문학적 상식이나 문화비평에 대한 조애가 있다면 더욱 쉽게 읽힐 것이다)

 

아쉬운 것은 나 스스로가 '게이머'가 아니기에 열혈 게이머로서 이 책을 경험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위에 소개한 책도 마찬가지의 아쉬움이 있었다)

사실 이 두 책을 읽게 된 경위는 앞으로 번역해야 할 책('팬과 블로거, 게이머'에 관한)때문이다.

나는 수많은 문화와 그 생산품의 열렬한 '팬'이고, 보다시피 블로그도 열심히(?)하지만

비디오 게임만큼은 문외한이기 때문이다.

(아, 나도 테트리스 정도에는 일가견이 있다 ㅎㅎ)

나에겐 게임의 세계를 훔쳐보는 것이 우선 급했다. 그 결과는 일단 고무적이다. 

 
 

2008년 1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9
장 폴 사르트르 지음, 정명환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47년 프랑스의 문학적 상황 속에서 '무엇이 문제인가'를 시작으로 '작품을 쓴다는 것은 무엇인가', '어째서 쓰는가', 그리고 '누구를 위하여 쓰는가'에 대해서 실존주의적으로 풀어가고 있다.

 

글을 쓴다는 것은 '드러내는 것'이며, 드러낸다는 것은 '변혁하기 위한 것'이라고 서두에 밝히고 있는 샤르트르는 작가와 작품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무엇을 쓸 것인가'하는 문제는 결국 '누구를 위해 쓸것인가'와 직결하는 문제이므로 샤르트르는 17세기, 18세기, 19세기의 작가와 독자와의 변증적 관계를 분석하면서 문학 (또는 작가)가 걸어온 길을 실랄한 논조로 비판(동시에 조롱까지)하고 있다. 그와 함께 20세기 동시대 작가들에게 '누구를 위해, 무엇을 쓸 것인가'를 '자유롭게 호소'하고 있다.

 

만약 21세기의 현 문학 상황을 샤르트르가 목격했더라면 그의 논문은 더 없이 길어지고 실랄해졌을 것이다. 문학, 아니 '글'을 쓴다는 것 자체의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본 좋은 기회였다.

 

문예출판사에서 1972년에 초판되고, 1993년에3번째 개판 된 글을 부산 보수동 헌책방 골목에서 1000원 주고 샀다. 샤르트르의 '문학이란 무엇인가' 글 자체는 먼지 더미에서 찾아 낸 보물이었다. 그러나 적어도 문예출판사의 '김붕구' 번역의 본 책은 추천하지 않는 바이다.

나처럼 프랑스어에 문외한 자라면 어쩔 수 없지만, 다른 번역가와 출판사의 글도 몇 있으니 잘 살펴 고를일이다. (아래 정리한 부분을 대충이라도 읽어본다면 이해할 것이다)

 

2006년 1월

 

본문 내용을 더 보려면 http://blog.naver.com/jinirock78/45650190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Watchmen (Paperback)
Dave Gibbons 그림, Alan Moore 글 / DC Comics / 199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The wars to end wars, the weapons to end wars, these things have failed us.

- Dr. Manhattan.

 

전쟁을 끝내기 위한 전쟁, 전쟁을 끝내기 위한 무기들, 이런 것들이 전쟁을 끝낸 적은 한번도 없다. 

- 닥터 맨하탄

 



 

***

 

우선 네이버 검색 결과가 놀랍다.

혹시나 했다. 그런데  한국에 1995년 출간되어 있는 것이다! 기쁘다.

그러나 역시나 했다. 번역본이 아니라 원서만 출시 된 상태.

그나마 영어에 능하지 않으면 접근하기 힘들다는 것. 안타깝다.

 

<V for Vendetta> 라는 영화를 본 후, 그 신선한 영웅의 이미지, 새로운 혁명에 마음이 몹시 흔들렸다.

(이 원작 역시 2005년에 영어판으로 출시된 상태)

그러자 신랑이 이 책을 내민다. 바로 같은 원작자 Alan Moore의 스토리라고.

 

그는 늘 슈퍼히어로의 이야기를 쓰는데,

기존의 슈퍼히어로의 낡은 이미지와 고정관념을 뒤집고, 

굉장히 정치적이고 심오한 작품을 쓰는 것으로 유명했다.

물론 그의 시니컬한 유머와 반어적인 메시지, 지적인 풍자를 읽어낸다면 말이다.

 



 

소설과 만화책의 중간 형태를 취한 것도 내게는 새로웠다.

소설 아니면 만화책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새로운 글쓰기, 새로운 만화, 새로운 소설의 탄생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나는 지금 엄청 뒷북치는 것이다)

 

데이브 깁슨의 사실적인 드로잉과 파격적인 컬러링 역시 매우 돋보이는 분명한 만화작품이다.

얼마나 디테일에 충실하게 작업했는지 그림 자체가 거대한 텍스트다.

엄청난 대사와 나레이션을 소화하고 나서도 페이지를 쉬이 넘길 수 없다.

컷 하나 하나에 너무나 많은 메시지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런 반면 각 장 사이에 끼어 든 주요 인물들의 인터뷰, 자서전, 경찰 레포트, 신문 기사 등등은

단순히 이 책을 만화책이라 정의할 수 없게 만든다.

모든 사건과 인물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치밀하게 구성된 스토리.

스토리 속에 액자구조로 들어 있는 또 다른 스토리.

이렇게 잘 쓰여진 글도 사실 보기 쉽지 않다.

 

마스크를 쓴 슈퍼히어로들이 전면 등장하지만, 사실 그들 중 누구도 '주인공'이 아니다.

그들 모두 혼자 또는 함께 범죄와 싸우며 시민들을 지켜주기도 하지만,

수 많은 단점과 상처로 얼룩진 어쩔 수 없는 평범한 인간인 것이다.

그들 중에는 파시스트, 공산주의자, 극단적 좌파나 보수적 메카시스트도 있는가 하면,

한편 그들 모두 사업가, 과학자, 연애인, 용병, 범죄자이며 누군가의 연인이자 어머니, 아들인 것이다.

 



 

시대적 배경은 1980년대가 주 무대고, 1930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시간 여행을 한다.

케네디나 닉슨, 냉전과 메카시즘, 베트남과 쿠바, 아프가니스탄과 팔레스타인, 이스라엘은 단골 메뉴로 언급된다.

한 때 가면을 쓴 영웅들이 세계를 구할 듯도 했지만,

누구도 세상의 혼돈과 갈등, 특히 제 3차 대전을 막을 만큼 강력하지는 않다.

그러는 와중 핵전쟁이 초 읽기에 들어가고, 사상 최대의 음모와 테러가 준비되고 잇다.

과연 인류는 살아 남을 것인가?

 



 

앞서 말했듯 이 책에 주인공은 따로 없다.

그럼에도 여기서 꼭 언급하고 싶은 인물이 있다면 바로 '닥터 맨하탄'이다.

그는 핵 연구소에 일하다가 사고로 핵분해가 되어 버린 후 다시 스스로를 재조립한 과학과 기적의 산물이다.

그가 돌아왔을 때 이미 예전의 그가 아니다.

그는 모든 것을 원자 단위로 바라보게 되고, 모든 원자 구조를 컨트롤 한다.

그야 말로 슈퍼히어로의 탄생. 그러나 그 절대적 존재도 모든 것을 해결할 순 없다.

특히 그에겐 지구를 구하는 것 자체가 '검은 개미'와 '붉은 개미' 중 어느 쪽을 구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같은 것.

미래를 내다보고, 공간 이동을 하는 그의 존재는 그 초현실적인 파워 때문이 아니라,

세상을, 인간과 사물, 시간과 공간을 바라보는 그 새로운 관점 때문에 더욱 흥미를 끄는 존재다.

(늘 벌거벗고 다니는 그 파란 몸매도 흥미롭긴 하지만 )

 

물론 '닥터 맨하탄'도 그저 등장인물 중 하나일 뿐이다.

누구도 그 보다 더 중요하거나 덜 중요하지 않다.

알란무어는 슈퍼히어로가 수없이 등장하면서도 아무도 '영웅'이 아닌 그런 '영웅이야기'를 만들어 낸 것이다.

 

세상을 어떻게 바라 볼 것인지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많은 것을 시사해준다.

여운이 크게 남는 작품이다.

 

***



 

 

The release of atom power has changed everything except our way of thinking.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lies in the heart of mankind.

If only I had known, I should have become a watchmaker.

-Albert Einstein.

 

핵 에너지의 발견은 인간의 생각하는 방식만 빼고는 모든 걸 변화시켰다.

이 문제를 해결할 방안은 오직 인간의 마음에 달렸다.

이렇게 될 줄 미리 알았더라면 나는 그냥 시계나 만들었을 것이다.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2007년 1월

 

구글에서 사진 검색하다가 발견한 포스터.

영화나 티비 드라마로 만들어진 듯... 어쩜 만화 케릭터들과 이미지가 똑 같다.

랄프 파인즈나 마이클 더글라스는 한 눈에 알아봤는데....

파인즈가 해리포터의 볼더모어로 출연한 것 만큼 신선하다. ㅎㅎ

한 번 찾아 봐야겠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