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알고있나요? 벌의 세계 ㅣ 알고있나요?
크리스티나 반피 지음, 기울리아 데 아마치스 그림, 김지연 옮김 / 엠베스코 / 2018년 4월
평점 :
품절
요즘 우리집 마당에는 벌들이 엄청 많아요.
제일 많은 벌은 호박벌이예요.
방울꽃 속에서 나왔다 들어갔다 하는데요.
벌에
쏘일까봐 아들에게 조심하라고 일러주었답니다.
벌에 대해 자세히 알면 많은 도움이 될거 같은데
때마침 [벌의 세계]가 출간이
되었네요.
책은 약간 두툼한 편인데요.
생각보다 엄청나게 자세하고
벌에 대한 주변 지식까지 확장해서 알려주니
정말 정말
괜찮은 책이었어요.

차례를 보면 이렇게 여러가지 소제목으로 분류되어 있는데요.
필요한 부분 위주로 찾아볼 수 있는 백과사전 형식이라 참
좋지요.
지금까지 제가 아들에게 읽어준 벌에 관련된 책은 동화같은 형식 또는 자연관찰책이었어요.
물론 그 책들도 장점이 엄청
많지요.
그런데 한권정도 백과사전이 보충되면
모르는 부분을 빨리 찾아볼 수 있고 깊게 쓰여져 있어서
공부하기 너무 좋은거
같아요.

"벌들은 어떻게 진화했을까요?"
정말 한번도 생각해본적 없는 질문인데요
사냥 말벌들이 육식에서 식성을 바꾸어
꽃의 꿀을 먹는 지금의 벌로 진화했다고 합니다.
또한 벌들이 백악기 공룡시대부터 살아왔다고 하니
벌들은 공룡시대부터 있는 엄청 오래된
곤충입니다.

벌의 종류도 아주 자세하게 알려주고 있어요
이런 점이 [벌의 세계]가 백과사전으로도 인정받을 수 있는 부분이지요
아들과 한번에
다 읽지 않고 부분 부분 읽어보고 있는데요
이렇게 나눠서 읽어주니 아들이 벌에 대해 자세히 알게 되네요

"벌꿀로 뭘 만들어 쓸까요?"
로열 젤리, 프로폴리스, 화장품과 크림, 의약품, 초, 윤활제, 광택제,
크레용
우와 ~~ 정말 다양하게 꿀이 사용되고 있네요
저는 벌꿀과 프로폴리스, 로열 젤리까지만 생각하고
있었는데
크레용까지 나온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어요
아이랑 책을 읽고 있긴한데 제 상식이 늘어나서 좋은데요 ㅎㅎ

꿀을 먹는 동물들은 무엇이 있을까?
아들은 곰을 이야기 하지요.
그럼 곰말고 또 어떤 동물이 있을까요?

침팬치는 긴 막대기로 꿀을 빼어 먹네요. 벌꿀오소리도 꿀을 즐겨 먹나봐요
책에서는 이 동물들 말고도 엄청 다양한 동물들이 꿀을 즐겨
먹어요.
다른 벌꿀 책에서는 한번도 본적 없었는데
배경지식 확장에 엄청 도움되는 책이예요

이것도 정말 기억에 남는 페이지예요
<역사 속의 꿀>
최초의 인류가 언제부터 꿀을 먹었을까요?
적어도
8,000년 전 신석기 시대에부터라고 합니다.
스페인의 벽화에 꿀 채집과 관련된 기록이 있다고 해요.
사진에 보이는 저
그림이예요
저는 양봉기술은 그렇게 오래된것이 아닌줄 알았는데
정말 정말 달콤한 자연의 선물을 조상들은 일찍 알았군요.

지금까지는 벌이 어떻게 태어났고, 어떻게 번식하고
누가 꿀을 먹는지, 꿀은 어떤 용도로 쓰이는지, 언제부터 조상들은 꿀을 먹었는지
알아봤어요
그럼 이렇게 오래된 역사의 꿀을 앞으로도 먹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렇죠.
소중하게 자연을
지켜야지요.
그래서 우리는 자연 서식지를 보존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런 부분은 아이들도 알아야하고 지켜야지요
그래서 이렇게 책에
자세히 적혀 있어요
참 좋은책이네요
한권안에 모든것이 들어있어요
그래서 벌로 시작해서 역사 그리고 환경까지 폭 넓게
상기시켜주네요.

<기후 변화>
이게 벌들에게 가장 위기이지요
오랜 가뭄이 생기면 꽃이 피지 못하니까 꽃가루를 모을수도 꿀을 모을수도
없어요
그럼 꿀벌은 자연사 하는거지요
벌을 위해 어린이 여러분도 할 수 있는 일이 있어요
고마운 곤충인 벌들을
위해
외부 베란다나 텃밭에 영양분이 풍부하고 향기가 좋은 꽃을 심는 거예요.
우리가 벌들에게 고마움을 느끼듯, 벌들도 어린이 여러분을
고마워할거예요.
여러분, 우리 모두 화분을 심어요
꿀벌이 와서 꿀을 먹을수 있도록 말이예요.


이건 뒷 표지예요
굵은 글씨, 벌에 대한 모든 것
정말 이 책 한권에 벌에 대한 모든 것이 들어있어요.
신기할
정도로 말이죠.
책장에 두고 여러번 반복해서 볼수 있는 아주 유용한 책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