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딴생각이 데굴데굴 ㅣ 우리는 모두 특별해 3
바바라 에샴 지음, 마이크 고든 그림, 김수민 옮김 / 아주좋은날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딴 생각이 데굴데굴] 이 책은 요즘 아이들을 향한 책입니다.
언제나 집중해야 하고 토 달지 말아야
하고 자신이 가진 모든 능력을 하나의 잣대로 평가하는 시험도 잘 치워야 합니다.
이런 많은 심리학 연구를 해 온
연구원들은 일방적인 훈육들이 창의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이 책을 쓴 작가는 오랜 심리학 연구를 통해 학습과 창의력을 끌어내는 방법을 알고
있습니다.
작가가 아이들 개개인의 차이점을 인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상상력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재미있게 알려주는
책이에요.
여러분도 아이가 잘하기만을 기다리면서 예전
방식으로 키우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이 책을 통해서 아이들과 눈높이를 한번 맞춰 보시는 것이
어떨까요?

주인공 애밀리는 과학을 정말 좋아하는 소녀라고 합니다.
하지만 에밀리는 과학 시간에 항상 딴 생각을
하고 있어요.
보드 서핑을 타고 있다던지 아니면 아인슈타인 할아버지랑 노는 생각 같은
거죠.
그러면 여김없이 선생님이 조용히 다가 오시고
"에밀리, 수업에 집중 안 할
거니? 다음 주 월요일이 시험인데 네가 늘 딴 생각만 하니 걱정이구나 ."
그러고서는
교과서를 펼쳐 주십니다.
이런 일상 너무 당연하죠.
수업
시간에 책에 집중 안하고 선생님 말씀에 집중 안하고 멍하니 딴 생각을 한다면 교실에서 쫓겨나 들어올수 없거나, 선생님한테 창피할 정도로 혼나는
것이죠.
어쩌면 지금 우리 교육현실과 너무 똑같아서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이 뭔지 혼돈 될 수도
있어요.
자~ 그러면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걸 생각해
볼까요?

에밀리는 과학을 정말 좋아한대요. 하지만 에밀리는 상상하고 실험하는 걸 정말 좋아하는 거지 과학 시간 책에서 정보만 몽땅
외우는 건 좋아하지 않는데요.
"에밀리, 오늘 점심 시간 전에 선생님과 얘기 좀
하자꾸나."
선생님께서 얘기를
하시네요.
" 에밀리 너는 정말 똑똑한 아니란다. 하지만 요즘 수업에 집중을 못 하는
것 같다 .걱정스럽구나. "
이러면서 하나의 공책을
주셨어요.
" 여기에 내 생각을 적어
보렴."
선생님은 에밀리가 왜 수업에 집중 못 하는지 공책에 딴 생각이 나는 것을
적으라고 하셨어요.
그리고 하루는 에밀리가 수업 시간에 공책에 많은 필기를 하는 걸 보고 수업이 끝난 다음에 그
내용을 같이 보게 됩니다.
에밀리는 낙서 같은 것들만 가득한 노트를 보고 선생님이 화를 낼 거라고 생각을
했어요.
하지만 다음날 선생님은 기분이 너무
좋으셨어요.
" 여러분! 우리 반에서 날아다니는 새들과 펭귄의 차이점을 연구한
친구가 있어요.
이 친구는 펭귄이 더 따뜻해진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필요한 목록까지 만들었답니다.
"
이렇게 친구들 앞에서 에밀리를 엄청나게 칭찬해
줬어요.
선생님께서 말씀하셨죠.
" 과학 공책을 만들어
머릿속에 상상력을 마음껏 펼치세요. 상상력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보는 거예요. 이것이 진정한 과학
이랍니다."
[딴생각이 데굴데굴] 책에서 알려 주고자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너무 도시화된 방식의 과학은 진정한 과학의 아니겠죠? 그런 수업 방식이면 아인슈타인도 탄생하지
못했을거예요.
아인슈타인 = 어머니의 홈스쿨로 아이를 키워졌던 것을 기억하지요.
이
시대를 대표하는 아인슈타인이 현명한 어머니 때문에 그릇된 방식의 교육에서 벗어나 인류를 구원하신 과학자가 되었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지만 막상
내 아이가 학교에서 선생님께 지적을 당한다면 내 아이를 위로하고 다른 방식의 케어 보다는 혼내는 것을 선택하지는
않으세요?
이 책을 읽고 아이와 대화를 나눠
보세요.
아이도 이런 생각을 하고 있을 때가 있는지 수업 시간에 집중 안 하고 딴 생각만 하라고 가르치는 것이
아니고 가끔 너도 그런 생각이 들 때 생각에만 먹지 말고 노트에 자기만의 생각들을 정리해 주시면 훨씬 좋을 것
같아요.
정말 책 재미있게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