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新 소법전
이택규 지음 / 법률신문사 / 201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법전은 매년 사야 한다.  물론 기본법이 매년 바뀌는 경우는 드물지만, 부속법은 매년 개정되고, 비록 인터넷으로 법령내용을 검색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법전으로 확인하는 것에 비할 바가 아니다.  

사실, 법조계에서는 법전출판사에서 간행된 법전을 주로 사용하며, 법률신문사에서 간행된 법전은 선호도가 떨어진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다.  

매년 나도 습관적으로 법전출판사에서 간행되는 것을 구매해왔었다가, 작년에는 현암사에서 나온 것을, 올해는 법률신문사에서 나온 것을 구매해봤다.  



그러나 법전의 내용이 출판사마다 다를 리가 없기 때문에 법전은 거기서 거기다. 따라서 취향의 문제가 아닐까 싶은데, 법전출판사에서 나온 법전은 디자인 자체가 상당히 보수적이라 권위를 중요시하는 법조계의 취향에 부합하기 때문이 아닐까 하는 추측을 해본다. 

개인적 경험에 따르면 가독성은 현암사에서 출간되는 법전이 좋았다. 

법률신문사에서 간행된 소법전을 올해 처음 구매를 해 봤는데, 다른 법전과 몇 가지의 다른 점이 있다. 

우선, 법령CD는 제공되지 않는 대신 작년 판결뉴스 책자가 들어 있다.  

다른 출판사의 법전에는 모두 법령CD가 들어 있긴 하지만, 법령CD를 활용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지 않을까 싶다. 나 역시 법령CD는 리더기에 넣어 본 적도 없다. 그 만큼 법령CD는 거의 쓸모가 없다.  

이 점에서 차라리 구매자가 한번이라도 읽어 볼 가능성이 많은 판결뉴스 책자를 별책으로 넣은 것은 실용적이라 생각한다. 

 
 

두번째, 법률을 제개정 현황을 다른 법전들에서는 기호표시만 되어 있는데 반해, 이 법전에는 직관적으로 표시한 부분이 개인적으로 맘에 들었다. 

 

세번째, 기본육법과 다른 법과의 활자크기가 다른 점이 특이했다. 기본육법의 활자크기가 다른 법의 활자크기에 비해 30% 정도 컸다. 굳이 그럴 필요가 있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요즘은 엽서가 후납이 안되는 모양이다.  



마지막으로 늘 법전을 보면서 아쉬운 부분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소법전내에는 관련 판례가 정리되어 있다. 개인적으로는 관련 판례부분을 빼는 것이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하지만, 비법조인에게는 적지 않은 도움되긴 할 것이다.



아쉬운 점은 판례정리를 해 주려면 아예 실용적으로 해주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즉 판시사항을 긁어다가 갖다 붙이는 소극적인 편집보다, 표를 사용하여 요약식으로 적극적인 정리를 해주면 판례도 더 많이 실을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솔직히 우리나라의 소법전 너무 비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몸을 바로잡는 성준의 교정운동 - 디스크 질환 완전정복
이성준 지음 / 한솜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엉터리책을 샀다는게 정말 황당하다. 아래 리뷰어들은 출판사 알바생인듯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법리속의 인간 - 법학교양총서 31
장병학 / 교육과학사 / 1993년 1월
평점 :
절판


이 분이 법학계의 달필가라고 누가 그랬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 북스피어 / 2007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2009.9.22~2009.11.6.] 

소설의 작가 '엘리자베스 문'은 미국에서 꽤 유명한 SF소설 작가라고 하는데, 나는 전혀 접해본 적이 없었다.
SF소설로 유명하다길래 이 소설이 SF소설인 줄로만 알았다. 제목도 SF소설의 느낌이 난다. 어둠의 속도.
하지만, 첫장을 펴고 첫 줄을 읽는 순간 낚였다는 생각이 '어둠의 속도'보다 빠르게 뇌리를 스쳤다.
개인적으로 휴머니즘 소설을 싫어하는 편인데, 이런 류의 소설들은 리얼리티를 가장한 교조주의적 계몽소설이라는 느낌이 강하게 들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소설은 휴머니즘적 소설이라 하기에도 뭔가 아쉬운 점이 있다.
자폐인을 접해본 적이 없어서 자폐증세가 어떤 증상인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이 소설의 주인공 '루'는 단지 내성적인 사람에 불과한 것 같은데, 내성적인 성격이 자폐증은 아니지 않은가?
의학적으로 자폐증은 "외부와 소통을 거부하고 혼자만의 내면세계에 갇혀 현실감을 상실하게 되는 정신질환"이라고 하는데, '루'는 이 정의에 해당하는 증상이 없을 뿐더러, 오히려 평균적 일반인보다 천재적인 학습능력, 더 좋은 직장(프로그래머), 고상한 취미(펜싱, 고전음악)를 갖고 있으며,  단지 일정한 생활영역에 대한 반복성이 강할 뿐이고, 생각이 좀 많을 뿐이다.  일정생활영역에 대한 반복성이 강한 것은 오히려 현대인들의 일반적 생활패턴이 아닐까 싶다.
루와 같은 사람들을 자폐증이라 한다면 도대체 자폐증이 아닌 자들이 얼마나 될까?
심리학에서 떠오르는 자폐증 이론인 ‘마음이론{Theory of Mind : 자폐증은 마음의 특성에 대한 이해의 시스템인 주의공유기제(Shared Attention Mechanism)과  마음이론기제(Theory of Mind Mechanism)가 결여된 마음맹(Mindblindness) 상태라는 이론}’에 의한다 해도 '루'를 자폐인으로 단정짓기에는 무리다.
자폐인과의 경험적 접촉이 전무한터라, 솔직히 전체적으로 별로 공감되는 부분은 없었다. 몇 가지 관심이 증폭되는 2가지 사건이 있었지만, 싱겁게 종결되어 전반적으로 지루한 느낌의 소설이었다.
번역이 자연스러워 가독성 자체는 만족스러웠다. 소설을 읽으면서 번역자가 번역을 위해 관련 지식을 사전에 익힌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역시 역자는 사회복지학과 철학을 전공했을 뿐만 아니라 후기에 자폐증에 관한 사전 학습을 했다는 언급이 있었다. 장인정신이 있는 번역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인과 촌장
시인과 촌장 노래 / 동아기획 / 1986년 1월
평점 :
품절


요즘엔 이런 명반이 드물다. 이런 명반은 소장하는 것이 예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