람세스 - 전5권
크리스티앙 자크 지음, 김정란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07.  7.  29. ~ 2007.  8.  31.

법조계에 발들여 놓은지 어느덧 5년째가 되어 간다.

누군들 그러하지 않았겠느냐만... 나 역시 열정과 순수함으로 뭉쳐 있던 법대생 시절이 있었다. 법과 정의....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이 그렇듯이... 나 역시 젊음의 열정, 순수함은 나도 모르게 점차 소시민적 속물성으로 변태되고 있다.

사람들을 그러한 과정을 '어른이 되어 간다'고 표현하면서 자기 자신을 합리화하며 위안하는 것 같다. 그러면서 자신들과는 다르게 열정과 순수함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외골수'라고도 하며, 혹은 '독불장군'이라고도 하며, 심지어는 '꼴통'이라고도 하는 것 같다. 하지만 이런 말들을 쏟아냄으로써 그렇게 살지 못하는 자신을 책망하는 것은 아닐까?

람세스 열풍이 10여년 전쯤에 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너도나도 람세스를 읽었던 것 같으며, 신문지상에서도 상당히 서평이 많았으며 내 기억으로는 '지혜'라는 단어가 유난히 강조되었던 것 같다.

너도나도 읽는 책들은 조금 미루었다가 읽는 습성이 있어서 그 유명한 '람세스'를 이제야 읽게된 연유다.

사실, 람세스 소설에 대해서 상당히 기대가 많았다. 당시 상당한 베스트셀러였었고, 언론에서도 좋은 평을 했었던 것으로 기억했기 때문이다.

파라오 람세스는 너무 완벽하다. 제임스본드이며, 맥가이버이자 터미네이터이며 정의의 화신이다. 저자의 람세스에 대한 지나친 애정이 오히려 람세스에게 걸림돌이 아닌가 싶다.

'람세스'는 내 취향의 소설은 아니지만, 많은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소설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람세스나 네페르타리와 같은 이상형의 리더를 갖고 싶다는 열망 때문이 아닐까?

불의에 감히 대항하지 않는 소시민으로 살고 있고, 살아 남기 위해서 간에 붙었다 쓸개에 붙었다 하지만, 그렇게 사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밤이면 밤마다 소주잔을 기울이는 것이 아니겠는가? 그래서 우리는 람세스와 같은 정의와 불굴의 영웅을 비록 소설에서나마 원하는 것이 아닐까?

모세의 기적은 자연현상을 사기친 것이며, 터미네이터 람세스의 일당 천 싸움과 기적은 진짜인 것처럼 묘사한 부분은 매우 의아하다.

작가가 모세에 관한 프로이트의 이론을 빌려와서 소설에 삽입한 것이라면 이 소설의 정체성(판타지소설인가 역사소설인가)을 작가 스스로 모호하게 만든 의도하지 않은 실수가 아닐까?

한편 '소설 람세스'를 김홍신 또는 이문열이 썼다면 어땠을까 하는 엉뚱한 생각을 해봤는데, 이 분들이 더 잘 썼을 것 같다는 생각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신의 유전자 2 - 뫼비우스 서재
마이클 코디 지음, 오현수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4월
평점 :
절판


* 2007.  7.  25~ 2007.  7.  28.

천주교와 기독교의 공통분모인 '神', 즉 '예수'를 소재로 하는 글들은 그 내용과 장르가 무엇이 되었던 간에 논란을 불러일으키게 마련이나 결국 '拙作'이냐 '凡作'이냐 '秀作'이냐에 귀결될 수 있지 않을까...

이 소설을 읽은 후의 느낌은 헐리우드의 영화 시나리오를 읽은 것 같다는 점이다. 어쩌면 작가는 이 소설이 영화화되기를 은근히 바라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지극히 영화적인 소설이다. 직설적으로 표현하자면 '凡作'에 가깝다는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재미는 있으나 머리에 남지는 않는다는 의미이다.

유전자 복제와 복제를 이용한 치료술에 관하여 무비판적인 추종이 느껴진다(그것이 비록 신의 유전자라 할지라도). 이 주제에 관하여 심도깊은 철학이 녹아 있었다면 더 좋은 평가를 받지 않을까?

굳이 두 권으로 나누어 출간할 필요가 있는지 도대체  이해가지 않는다. 종이낭비다. 출판사는 반성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열세 번째 이야기
다이안 세터필드 지음, 이진 옮김 / 비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 2007.  7.  12 ~ 2007.  7.  24.

120페이지 정도의 얄팍한 소설책을 읽는 것에 맛들린 적이 언제였냐는 듯 어느때인가부터 두꺼운 책에 우선 손이 간다. 내가 왜 그러한 독서행태를 보이는지 도통 그 이유를 모르겠지만 아마도 지적 허영심이 아닐까 싶으며 두꺼운 책은 그래도 뭔가 더 있지 않을까 하는 막연한 기대감도 한 몫 하는지도 모를 일이다.

사실 '열세번째 이야기'는 동네 서점에서 오로지 두꺼운 분량에 점 찍었을 뿐이다. 단지 그 이유다. 작가도 모르고, 그 흔한 언론의 서평도 읽어본 적이 없었다.

'열 세번째 이야기'라... 첫 장을 열었을 때 뭔가 스펙타클하고 환타지적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들었다. 그리고 전혀 예상하지 못할 반전이 있을 것 같다는 흥분감도 일었다.

아.. 그러나 한장 한장 읽어가면서 기대감은 약간의 실망감으로 바뀌기 시작하고, 간결하고 읽기 쉽고 직관적인 글을 좋아하는 나로서는 이 소설의 장황하고도 지루하고도 관념적인 서술에 당혹감이 밀려왔다. 이 소설을 계속 읽어야 하나 여기서 중단을 해야 하나....

독서기간동안 이런 갈등으로 책갈피가 꽂혀 있는 페이지에서 책갈피를 빼곤 했다.

하지만 나는 지루함을 이겨냈다. 승리의 대가는 이 소설을 완독했다는 것이며, 또 하나는 이 소설의 '이야기'가 꽤 재밌다는 것을 느꼈다는 점이다.

이야기의 전개와 서술을 간결하게 해서 상황전달이 잘 되었더라면, 그리고 내가 제일 싫어하는 관념적인 묘사들을 조금만 줄였더라면 좋았을 것을 하는 아쉬움이 들었다. 전개의 지루함이 이 소설의 장애물이 아니었나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로마인 이야기 3 - 승자의 혼미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3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199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2007.  7.  1.~ 2007.  7.  12.

저자의 로마에 대한 편애는 과연...

로마인의 어떠한 행위도 대의명분이 있고, 로마인은 공명심과 의리의 화신이다라는 식의 저자의 평에 읽는 내내 좀 어이가 없었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고도 하던데, 저자는 1권부터 내내 로마 이외의 다른 나라는 무시해도 좋다는 뉘앙스가 있더니 3권부터는 좀 노골적이다.

그런데, 저자의 코멘터리에서 "로마"를 빼고 "일본"을 대입하면, 일본제국주의 대동아공영론자들, 식민사관론자들의 주장과 매우 유사하다.

사실, 위와 같은 제국주의적 사고방식의 코멘터리는 이 시리즈의 여러 장점을  상당히 상쇄시키는 요인이 아닐까 싶다.

한편, 저자는 술라를 매우 좋아하는 듯한데, 술라와 폼페이우스에 대한 저자의 지나친 개입(평가)은 책의 흐름을 좀 모호하게 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EEMS 2007-09-27 00: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제 2권까지 읽었지만서도 "일본"이라는 국가를 염두하고 논리를 몰아가는게 아닐까 라는 의구심이 드는게 사실이었습니다. 다음편 사러왔다 비슷한 생각을 하시는 것 같아 댓글 남깁니다.
 
요즘 무슨 책 읽고 계세요?
고양이 전사들 - 전6권 세트 고양이 전사들
에린 헌터 지음, 김이선 옮김 / 김영사 / 2007년 1월
평점 :
절판


2007.  6.  11. ~ 2007.  6.  30.

올해 읽은 소설 중에서 가장 재밌었던 소설을 꼽으라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고양이 전사들"을 가장 먼저 생각하게 될 것 같다.

제1권 프롤로그를 읽는 순간부터 제6권 옮긴이의 말을 읽을 때까지 도저히 이 시리즈의 책장을 덮을 수 없게 만드는 묘한 매력이 있다. 시리즈의 각 분량이 만만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3주일만에 6권을 다 읽었다는 것이 그 증거이다.

소설의 전개방식과 번역문체기술 등이 약간 유치한 듯하기도 하지만, 작가들이 이 소설에 공을 상당히 많이 들었구나 하는 감탄이 절로 난다.

어쩌면 이렇게도 고양이들의 집단 생활을 드라마틱하게 그려낼 수 있었을까... 이 소설의 작가들은 정말 천부적인 이야기꾼일 것이다.

개개 고양이들의 이름 또한 여느 소설과는 다르게 직관적으로 작명한 까닭에 매우 또렷하게 머리게 남는다. 파이어하트, 블루스타, 화이트스톰, 레드테일, 클라우드퍼....

이 소설은 긴박한 사건이 쉬지 않고 일어나고, 읽어가면서 긴장을 하지 않을 수밖에 없다. 순간순간 인간의 역사적 행태를 살짝 차용한 장면은 아주 탁월하다.

주연은 파이어하트이지만, 개인적으로는 화이트스톰이 가장 맘에 드는 캐릭터였다. 농구도 치자면 포인트가드라고나 할까...

주위 사람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몇 안되는 소설....

제7권도 나온다고 하는데, 무척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