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렐리의 만돌린 - 할인행사
존 매든 감독, 니콜라스 케이지 (Nicolas Cage) 외 출연 / 유니버설픽쳐스 / 2004년 7월
평점 :
품절


 

 

땅이 울렁거렸다. 광활한 대지는 삼켰던 것들을 모조리 토해내고 있었다. 겨우 전쟁이 지나간 곳에 평화가 찾아오기 무섭게 다시 이 땅을 흔들어댔다. 마치 신의 목소리라도 들은냥 그렇게 모든 것들이 무너졌다. 그와 그녀가 만나기로 한 땅은 폐허로 남았다. 남아있던 여자는 뒤돌아섰다. 다시 일어서서 제 집을 지어야 했다. 그리움, 후회, 애틋함, 아쉬움 같은 감정은 멋모를 때의 것으로 치부하고 잊으려 했다, 아니 묻으려 했다. 묻었다고 믿었다. 그런데 어느날, 뒤돌아서니 그가 돌아왔다. 그가, 생사조차 알 수 없던 그가 돌아왔다. 코렐리는 거짓말처럼 펠라기아의 곁으로 돌아온 것이다. 그와 그녀는 전쟁도 지나가고 지진도 지나간 이 섬에서 오래오래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라고 끝맺으면 좋겠지만, 이미 내 손을 떠난 일이다. 

대체 섬은 어째서 이토록 아름다울까. 온종일 생각했다. 독일 연합군이 된 이탈리아군은 변방의 섬에서 적군의 명목 대신 보호국으로서 그리스를 지켜주길 원하지만 전쟁의 상황이란 녹록치 않은 현실 뿐이다. 처음에 펠라기아에게는 만데라스라는 정혼자가 있었다. 전쟁이 나면서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고 그가 없는 섬에서 다친 사람들을 돌보며 100통도 넘는 편지를 보내지만 답장을 받지 못한다. 사랑은 힘이 없고 현실은 힘이 세다. 만데라스가 없는 동안 만난 이탈리아 대위 코렐리는 전쟁통에 만돌린을 연주하거나 해변에서 병사들과 함께 여자를 끼고 즐긴다. 펠라기아의 눈에는 비정상적 상황 천지다. 전쟁의 상황에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서로에게 총과 칼을 겨누어야 할까. 코렐리는 옳았다. 펠라기아의 눈에 무모하게만 보이던 코렐리가 점점 남자로 느껴지기 시작한 것. 둘은 처음으로 서로의 몸을 껴안던 날 더없는 행복을 느낀다.  

전쟁이 잦아들고 승리의 소식을 안고서 펠라기아의 정혼자 만데라스가 돌아온다. 그녀가 보낸 편지를 한껏 안고 돌아와 그녀의 추궁에, 난 읽고 쓰는 법을 배우지 않았어, 라고 대답하는 그는 처음에는 펠라기아가 다시 돌아올 줄로 믿지만 나중에는 코렐리를 살리고 둘의 사랑을 이뤄주는데에 큰 공헌을 한다. 읽고 쓰는 법 대신 멋진 남자의 뒷모습으로 펠라기아에 대한 사랑을 보여준 만데라스는 섬의 모닥불과 함께 연주되던 만돌린의 음악보다 훨씬 시리고 멋졌다. 모두를 취하게 한 연주만큼이나 아름다운 사랑.

살기 위해 섬을 떠났지만 오랫동안 서로의 가슴에 남아있던 코렐리와 펠라기아의 사랑은 그가 보낸 만돌린의 음반 속 곡들처럼 아름답고 아련하게 울려퍼졌다. 전쟁 중의 사랑. 극한의 사랑 이야기는 이보다 훨씬 자극적이고 애틋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래도록 마음에 남는 훈훈함은 코렐리가 연주하는 만돌린의 은은한 선율에서 찾을 수 있는 건지도 모른다. 섬은 다시 섬이고, 그곳에서 다시 그들이 살아갈 것이다. 폐허를 딪고 일어선 희망처럼, 다시 찾아온 사랑처럼, 죽지 않고 살아남은 축복처럼 그렇게. 모든 것에 이유가 있듯, 그들이 살아남은 데에도 분명 이유가 있을 것이다.   

 


댓글(1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1-11-27 15:3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1-11-27 17: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이진 2011-11-27 21: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야... 줄거리와 느낌이 아주 절묘하게 섞인 멋진 리뷰입니다 ㅠㅠㅠ
저는 언제쯤 이런 리뷰를 써볼수가 있을까요... 부럽습니다 ㅋㅋㅋ

아이리시스 2011-11-28 00:56   좋아요 0 | URL
소이진님이 열 살 더 먹으면 이것보다 100만배 훌륭한 리뷰를 쓸 수 있을 거예요. 게다가 이 리뷰는 칭찬받을 만한 리뷰가 아니라고 저는 생각.. 소이진님은 역시 귀염둥이!@.@ 근데 사진.. 소이진님 아닌거죠? 저는 첨에 저게 우타노 쇼고인 줄 알았다는..( '') 미안..ㅜㅜ

노이에자이트 2011-11-27 2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궁금합니다.이 영화에서 독일군이 이탈리아군을 학살하는 장면은 어떻게 나옵니까?

아이리시스 2011-11-28 01:00   좋아요 0 | URL
네, 반갑습니다. 이 영화에서 그 부분이 하이라이트라고 저는 생각을.. 좀 뜬금없이 놀라서요. 이전에 전쟁이 끝났다는 여러 명분으로 무기들을 압수합니다. 코렐리 대위가 반발하는데도요. 윗선에서 타협이 끝나고 모두 무기를 빼앗긴 상태에서 공지사항이 있다는 이유로 한데 모읍니다. 그리고는 다 넋빼놓고 있을 때에 곳곳에 숨어있던 독일군이 갈긴 총에 모두 즉사해요. 다행히 다른 병사와 함께 엎어져있던 코렐리만 살아남아서 여기 나오는 만데라스가 숨쉬며 살아남은 그를 발견하고는 펠라기에에게 데려다줍니다.^^

노이에자이트 2011-11-28 22:15   좋아요 0 | URL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탈리아에서는 전쟁 말기에 독일군에 맞싸운 이탈리아 저항운동을 부각시키는 편이라 독일의 잔학성을 강조하는 측면이 있다고 합니다.

아이리시스 2011-11-29 14:34   좋아요 0 | URL
맞아요, 이탈리아 영화도 아닌데 독일을 잔학하게 그렸구나.. 저도 그런 생각을 했어요. 이것만 보면 노이에자이트님은 이 영화의 핵심을 완전 훅 찌르신 거.. (이 영화가 좀 뻔하긴 해도)

노이에자이트 2011-11-29 15:55   좋아요 0 | URL
우리나라는 아무래도 2차대전 때 독일군의 침략을 직접 받은 나라가 아니라서 독일에 대해 관대한 것 같아요.직접 독일군의 점령을 받았거나 교전했던 나라들은 아직도 독일에 대한 원한이 남아있는 것 같아요.요즘 그리스에서 독일을 나치라고 욕하는 정서가 다시 터져나오는 것도 그런 이유 때문일 거에요.

아이리시스 2011-11-29 19:31   좋아요 0 | URL
요즘 그리스에서 그러고 있군요. 저는 그래서 이모저모 독일이 싫어가지고 여행루트에서 빼는 실수를 저질렀었어요. 프랑크푸르트에 내렸지만 그냥 통과만.. 하이델부르크에는 꼭 한 번 가보고 싶은데.. 아직도 독일에 대한 인상은 호기심이나 궁금증보다는 이상하게 벽,답답.. 이런 것들만 생각이 나요. 그게 가해자의 국가라는 인식이 제게도 있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어요. 그래도 괴테가 있는데..( '')

노이에자이트 2011-11-30 16:10   좋아요 0 | URL
독일의 자연은 아름답습니다.남부의 알프스 지대는 호수도 이쁘고요...프랑크푸르트 가까이 슈바르츠발트가 있죠? 산림녹화의 상징으로 유명하더군요.

아이리시스 2011-11-30 21:26   좋아요 0 | URL
슈바르츠발트는 산맥이네요. 도시인 줄 알았다는.. 말만 들어도 예쁘네요. 한국작가들이 소설쓸 때 독일배경으로 쓴 것들이 몇몇(그래도 꽤) 있는데 다른 곳이 아니라 독일인 것도 모두 이유가 있을 듯 해요. 공지영의 <별들의 들판>은 독일 배경으로 한 연작소설이었고, 김영하의 <여행자>에도 하이델베르크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 실려있고, 아까는 신경숙 신작 <모르는 여인들> 읽는데 또 독일이 나왔어요. 프랑크푸르트가 나와서.. 아.. 이게 노이에자이트님과 인연인가.. 뭐 그런 생각을 했었어요.^^

노이에자이트 2011-12-01 16:10   좋아요 0 | URL
슈바르츠발트는 검은 숲이란 뜻의 독일어입니다.드넓은 삼림지대지요.그다지 높지 않은 산악지대에 펼쳐져 있습니다.우리나라 관광객들도 많이 간다고 하네요.

지난 달 KBS '영상앨범 산'에서 독일 남부의 바이에른 알프스를 보여주는데 호수와 산이 조화를 이루어 멋있더라고요.

배수아 씨도 독일 배경의 소설이 있을 거에요.좀 나이든 분으로 강유일 씨 소설이 있고요...공지영 씨는 수도원 순례라는 책이 있던데 아무래도 독일에 수도원이 많다 보니 독일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 같아요.

아이리시스 2011-12-01 17:14   좋아요 0 | URL
검은숲. 우와, 어디든 한국사람 없는 곳 없다는ㅋㅋㅋ 영상앨범 산은 우리나라만 다루는 줄 알았는데, 이렇게 이것저것 힌트 주시니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독일에 수도원이 많은 줄은 몰랐네요. 수도하는 나라가 예전에는 왜.. 그랬는지..( '') 반성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