쿤둔
메리 크레이그 지음, 김충현 옮김 / 인북스 / 2001년 2월
평점 :
절판


이제까지 내가 읽은 몇 안 되는 달라이라마의 책은 달라이라마의 생활과 신념, 신앙 등에 관한 것이었다. 사실, 처음 이 책을 읽어야 겠다고 마음 먹은 것은 이 책을 바탕으로 한 영화가 있다는 말을 듣고 영화를 보기 전에 책을 읽으려고 한 것이다. 영화는 상상력을 너무 많이 앗아가기에 가능하면 책을 먼저 읽는다. 영화를 먼저 보면 책 읽는 내내 영화의 장면들이 떠오를테니까. 또 달라이라마는 가족들과 어떤 관계를 유지했으며, 가족들을 어떻게 대해야 할지 잘 알고 있었는지 궁금했다. 그는 나의 스승이므로 나는 그에게서 어떤 배울 점을 찾을 수 있으리라...

하지만 읽고보니 달라이라마가 주인공인 그런 책은 아니다. 그의 가족사로, 그의 부모와 형제가 주인공이며, 그는 조연이다. 이 선택받은 가문에서는 쿤둔 외에도 세 명의 형제가 린포체의 환생으로 인정받았지만 모두 환속했다. 그들의 삶은 치열했고, 나름대로 최선을 다한 것이었다. 누구도 그들을 비난할 수 없을 것만 같지만 황폐해진 티벳이, 절규만이 남은 티벳이 그들을 비난과 우울, 병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했다. 왜냐하면 티벳의 고통을 함께 나눌 수밖에 없는 그런 사람들이었으므로.

책을 읽은 의도와는 상관없이 책을 읽은 후 이전엔 내게는 링린포체나 달라이라마밖에 안 보였는데 이제 티벳이 보인다. 내 눈에는 절망적으로 보이는 티벳이 달라이라마에게는 왜 희망적으로 보이는 것일까? 그에게 있는 그 낙관의 힘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일까? 쿤둔은 자신이 티벳의 한 사원에서 생을 마칠 것이라고 확신한다. 내가 늘 그가 미소짓는 사진을 보며 따라 웃듯이 그의 낙관을 나도 믿고 싶어진다.

그의 비폭력이 정말로 성공했으면 좋겠다. 영화 [미션]이나 [로베로](제목이 맞나? 남미에서 순교한 신부님 이름)에서처럼 비폭력으로 대항한 신부님들이 현실적으로는 실패한 듯이 보였다. 부처님도 그랬다. 자기 나라를 침략하는 적 앞에서 길을 막고 세 번이나 앉아 계셨다. 그러나 네 번은 그렇게 하지 않으셨고, 적들은 부처님이 태어나신 곳에 무차별 공격을 가했다. 그래서 부처님의 말씀대로 폭력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 사람들이 죽었다. 그 나라는 사라졌다. 그렇다고 해도 사실, 누가 승리했는지는 모른다.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니라면 말이다. 그러나 내 눈은 얉아서 울부짖는 티벳인의 고통이 보인다. 고통. 혼돈스럽고, 답답한 현실 속에서 번민하고 절망하고, 병들었던(지금은 극복했지만) 쿤둔의 형제들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나 영적으로나 바른 견해, 지혜와 자비심, 그것을 실천할 수 있는 힘이 내게 있었으면 좋겠다. 그런 것들이 두려움과 혼란을 걷어내리라. 그런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달라이라마는 수행에서 온다고 단언한다. 그는 바쁜 일정중에도 네 다섯 시간을 수행에 보낸다. 다짐만 하고, 실천이 없는 이런 생활을 끝장낼 수 있을 것인가, 나는. 생이 언제나 계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먼저 간 내 가족이 말해주고 있다. 내 가족 중 두 명이나 생명을 마친 뒤에도 내게 가르침을 전한다. 가족. 출생과 함께 하게 되는 그들은  어떤 형태이든 우리의 스승임에 틀림이 없다. 쿤둔에게도 그러리라. 아마도.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05-07-11 16: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오지 않는 생..잘 살고 싶은데..에효~ 요즘 정말이지 정신의 힘, 이란 것이 얼마나 강한 것인지 절절히 느끼게 해 주는 나날입니다. 이누아님, 실천 없는 다짐, 이젠 끝장냅시다! (전 빼주시고..이누아님만, 흐..^^a)

2005-07-11 16:5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