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비즈니스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기업 경영 전략
노무라 나오유키 지음, 임해성 옮김, 김진호 감수 / 21세기북스 / 2017년 9월
평점 :
품절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57.jpg)
이세돌과의 바둑 대결에서 이긴 알파고를 통해 딥 러닝이니 인공지능이니 하는 것의 위력을 실감했으면서도 여전히 먼 산처럼 느껴집니다. 우리는 인공지능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요. 인공지능이 우리 사회를 어떻게 바꿀 것 같은가요.
추상적으로만 느껴지는 AI 시대를 조금 더 선명하게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비즈니스>. MIT 인공지능연구소에서 활동한 노무라 나오유키는 인공지능이란 무엇인지 기초부터 차근차근 소개하는 것으로 시작해 인공지능의 산업 활용에 이르는 경영 전략까지 파고들며 인공지능이 바꾸는 10년 후의 우리 사회를 조명해봅니다. 10년이면 금방이죠. 그래서인지 SF 소설에서나 나올법한 이야기가 아니라 무척 현실적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60.jpg)
인공지능이란 지적 행위를 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기계에 인간과 같은 어떤 지적인 작업을 시키는 일입니다. 영화에서나 봄직한 AI는 강한 인공지능이라 부르고, 알파고 같은 경우가 약한 인공지능의 성공 사례입니다.
현재는 제3차 인공지능 붐이 한창인 시점입니다. 이것의 주역이 바로 딥 러닝 기술이었고요. 빅 데이터와 딥 러닝 기술이 만나면서 상호의존 관계, 인과관계는 더욱 강력해졌습니다. 거기에 사물인터넷 시대까지. 우리는 이미 실시간화 대응에 슬슬 익숙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62.jpg)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비즈니스>에서는 인공지능을 투입해 재구축한 현장 사례를 소개합니다. 업무 과정을 변화시킨 인공지능. 무의식적으로 수작업 하던 것도 구체적으로 모델화하니 자동화가 되어버리더군요. 기업 경영을 변화시키는 데이터 분석인 애널리틱스 확장 과정에서 인간도 기계도 모두 능숙하지 않은 업무에서의 다양한 시행착오까지 예측하는 부분이 날카로웠습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63.jpg)
딥 러닝이 변화시키는 사회생활을 예측해보면 한계도 분명 있지만, 딥 러닝의 가능성은 그야말로 아이디어에 따라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보여준다는 걸 실감하게 되었습니다.
"빅 데이터를 장악한 기업은 기계학습계의 인공지능 응용에서 가장 우위에 서 있다." - 책 속에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65.jpg)
업무에 인공지능을 접목함으로써 생활양식, 사업 방식이 바뀌게 됩니다.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실제 인공지능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는 어떻게 탄생하는지 소개합니다.
스스로 운전하고 싶은 욕구가 큰 오토바이를 굳이 자율주행으로 하려고 들지는 않듯 인공지능의 도움을 빌려 새로운 서비스를 구상하고 개발하는 비즈니스 모델에는 어느 정도 요건이 충족되어야 하더라고요. 이 과정이 바로 사람과 인공지능의 협조에 의한 창조적인 문제 해결의 하나인 겁니다. 이쯤 되면 인간만의 일이다 싶어 안심할 뻔했죠.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인공지능을 이용한 서비스 기획인 '브레인 파트너' 기술을 소개합니다. 새로운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인공지능과 지식 정보처리 응용 서비스라니! 기획마저도 인공지능에게 내주게 되겠군요.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비즈니스>에서는 제조업, 광고와 마케팅, 농림 수산업 등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각각 소개합니다. 어떤 식으로 비즈니스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모색해보는 겁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67.jpg)
인공지능에게 내주는 분야가 늘어나면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할까요. 재미있는 건 디지털 시대에 익숙한 세대일수록 창조성은 물론 개성, 문화, 예술 감성으로 가치를 어필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는 겁니다. 아날로그적 삶의 열풍이 이해되는 부분입니다. 기계학습 엔진을 포함한 공통소프트웨어는 대개 무료로 돌아다니는 시대가 오면, 보다 상위 콘텐츠의 제작, 유통, 향수의 시스템이 커다란 가치를 낳을 거라고 저자는 말합니다.
그리고 인간이 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 또 있습니다. 산업에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창조, 양성하는 과정에서 인공지능 전문가, 데이터 분석 전문가의 눈으로 인간만이 가진 상식, 인과관계에 관한 지식을 통해 자동화 모델을 검토, 수정, 재구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거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7/0912/pimg_7960121631736469.jpg)
인공지능 개발의 미래는 어떨까요. 유럽, 미국, 일본, 중국의 인공지능 개발 현황을 비교하며 일본의 약세를 우려하는 저자의 목소리는 남 일 같지 않습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인 것 같아서요. 저자는 인공지능 붐이 거품처럼 터져버리지 않을까 우려합니다. 산업 응용으로 제대로 이어져야 하는데, 인공지능 탑재라는 마법 같은 주문을 남용하지는 않는지 지적합니다.
공공과 민간 기업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사례를 제안함과 동시에 무엇보다 교육과 인재 육성을 강조합니다. 일정한 작업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잘못된 교육은 이제 그만해야 한다고 말이죠. 학생이 이해하지 못한 개념은 무엇인지, 무엇을 잘하고 무엇을 못하는지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인공지능을 이용할 수 있는 사례도 들려줍니다.
비즈니스 전략을 많이 다루고 있는데다가 이과형 머리에 익숙한 용어가 많아 문과형 사고방식인 저로서는 무척 낯설게 읽힌 책입니다만. 10년 후 사회를 가늠해보며 실생활 이야기로 받아들일 수 있어 솔깃해지는 내용이 가득했습니다.
인공지능의 본질을 이해해 '자유롭게'라는 의미를 되새겨볼 수 있게 한 책 <인공지능이 바꾸는 미래 비즈니스>. 인공지능 기술 따로, 인간 따로가 아닌 협업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렇게 할 수 있는 사람이 바로 뉴칼라입니다. 당신은 뉴칼라가 될 준비가 되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