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의 문장 - 책 속의 한 문장이 여자의 삶을 일으켜 세운다
한귀은 지음 / 홍익 / 2016년 3월
평점 :
절판


 

 

여자의 인생에 숱한 장애물이 있지만, 그것을 뚫고 나갈 '자아'를 성장시키는 것. 바로 책 속의 한 문장을 통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여자의 문장>은 한귀은 교수의 성장일기와도 같아요. 그녀가 위로받은 책 속의 한 문장은 어떤 것이고 어떤 변화를 거쳤는지, 그 과정에서 사유하는 모습을 배울 수 있는 책입니다.

 

삶에서 피하려고 책 속으로만 묻혔었다는 고백. 제가 책에 몰입하게 된 이유와도 닮아있어 더 끌렸던 것일지도 모르겠어요. 하지만 삶의 결정적 순간은 고요히 시작되었고, 텍스트의 문장이 진실이 되는 때는 그것이 읽는 이의 삶과 만났을 때라는 말이 와 닿습니다.

 

 

 

<여자의 문장>은 행복, 관계, 분노, 사랑과 이별, 노화, 일상의 사물, 숙명에 관한 여성의 삶을 이야기합니다. 실제 삶 속으로 가져온 책 속의 한 문장으로 등장하는 책들은 철학, 에세이, 소설 등 다양한 분야의 책이에요. 읽어 본 책이 나오면 더 반갑기도 했는데, 그녀의 밑줄은 어느 부분에 그어졌는지 비교해보는 맛도 있었네요.

 

 

 

삶에도 실험이 필요하다는 말은 사랑과 일로 꽉꽉 채워 빈틈없는 생활을 하는 착한 여자 콤플렉스를 이야기하려고 꺼낸 말입니다. 성취감 자체도 삶을 즐기게 하는 데 한몫하지만 <파우스트>, <담론> 등 책 속의 한 문장을 소개하며 지나친 노력을 버릴 줄도 아는 삶의 태도를 누리는 것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100퍼센트를 모두 채우려고 허덕이는 사람은 중요한 진짜 가치를 잃어버리기 쉽다고 해요. 오히려 모자람 때문에 우리의 삶이 더 풍성해지는 것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문장을 통해 유희 정신을 발동시켜 내 삶에 작은 실험을 해보라고 권하기도 하고요. 생각외로 그 작은 실험은 지레짐작했던 불안의 수치에서 벗어나 '별것 아니네' 하며 긍정적인 결과를 낳기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행복이든, 관계든, 사랑이든... 자신의 아픈 역사와 상흔에 내재한 의미를 찾으면 훌륭한 피드백이 된다는 것. 두려워서 피할 게 아니라 그 속으로 들어가서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태도로 사는 것 (p93), 그런 피드백을 얻으려면 역시 사유와 성찰의 과정을 얼마나 잘 겪어내는지가 중요한 것 같습니다.

 

 

 

수전 손택은 페르소나와 그림자가 서로 어긋나지 않고 균형을 이룬 사람이라고 합니다. ​자신의 삶 속에서 온전히 자기 자신으로 산 인물들을 이야기하며 자기 자신이 스스로에게 가할 수 있는 에너지는 미미하지만, 자신의 삶을 바꾸는 매치포인트는 될 수 있다고 해요. 수많은 가면을 갖추고 다양한 역할을 하는 인간. 자신의 내면과 균형을 맞추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 되겠어요.

 

이것은 나이 든 여자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는 노화와 관련한 주제에서도 일맥상통하는데요. 글에 문체가 있듯 사람에게 내재된 문체는 외적인 것과 더불어 내적인 어떤 것이 겉으로 배어 나오는 것이기에... 아름다움의 영역은 방대하다는 것, 무엇이 아름다운 것인지에 대한 안목을 키우는 것도 삶에서 필요한 것 같아요. 성형으로 어색한 미소를 짓는 얼굴과 주름진 얼굴로도 멋진 아우라를 뿜었던 오드리 헵번 중 어느 쪽이 더 아름다운지는 말할 필요 없겠죠.

 

"삶의 결정적인 순간은 방향이 영원히 바뀔 때 항상 드라마틱하거나 크게 다가오지 않는다. 드라마틱한 삶의 순간들은 가끔씩 믿을 수 없을 만큼 이목을 끌지 않는다. 조용히 진행된다. 그리고 이 환상적인 침묵 안에 특별한 고결함이 있다." - <리스본행 야간열차>

 

책 외에 영화의 한 문장이 소개되기도 합니다. 내면의 진정한 변화는 겉으로 보이는 신체 나이도 바꿔버리는 것을 이야기  하는데요. 나이가 들어도 참 아름다운 사람이라는 말을 듣는 데 필요한 것은 내면의 변화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깨닫습니다.

 

 

 

일상의 사물이 마음에 들어오는 순간을 이야기한 파트도 신선했어요. 정신 상태를 나타내는 내면의 일기 대신 동물, 사람, 사물 같은 외적인 세계 쪽으로 눈을 돌린 일기를 써 보라는 미셸 투르니에의 <외면일기> 구절을 인용하는데요. 저자는 팬티, 베개, 머리핀 등을 통해 일상의 단상을 읊습니다. 고결한 무엇인가로부터만 깨달음이 나오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소중함을 깨닫는 과정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여자의 인생에서 엄마라는 이름으로 사는 시기에 겪는 다양한 문제도 언급하는데요. 나의 결핍을 채워주는 아이로서 바라보지 말아야 한다는 것. 알고는 있지만 실천하기 어려워 겪게 되는 이중적인 모습이 아닐까 싶습니다. 하임 기너트의 <부모와 십대 사이>를 인용하며 내 생각을 투사하지 않으려고 노력하고, 있는 그대로 긍정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어요.

 

​그저 책을 읽어내는 것에서 끝내지 않고 내 삶에 끌어들이는 것. 책을 읽고 사유, 성찰한다는 것이 막막한듯 어렵게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을 <여자의 문장> 으로 알 수 있습니다. 그 간접체험을 이제 직접 느껴보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네요.​ 삶이 문장과 만나는 순간을 느껴보는 것, 진정한 나를 발견하게 하는 문장을 만나려면 먼저 책부터 가까이 해야겠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