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제 귀신을 이긴 아이 움직이는 학교 창작동화 1
노경실.강석호 지음, 김영곤 그림 / 명진출판사 / 2010년 5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생각나는 부분이 우주가 마음 속으로 기도하는 부분이다.
<하지만 나의 속마음은 다른 기도를 하고 있었습니다. 숙제가 없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게 천국일거야. 하늘나라까지 안가도 학교가 천국인거지. 어른들은 아이들을 위해 그렇게 해 주면 안되나? 돈도 말고 빵도 말고, 게임기도 말고 그냥 숙제만 없애주면 안될까? 그러면 우리는 정말, 정말 착한 어린이가 될텐데. 어른들한테도 어린 시절이 있었으니까 우리 마음을 잘 알텐데....!>
아마 우주처럼 이런 마음을 지닌 아이들이 많지 않을 까 싶다.
우리 아이만 보아도 숙제를 해 가지 않으면 큰일이 나는 것처럼 아주 조바심을 낸다.
가끔 그림 숙제를 낼 때가 있는데 그럴때마다 손이 느린데 완벽한 걸 원하는 아이가 조바심을 내면서 밤 늦게 까지 하고 있는 것을 볼땐 가끔은 선생님에게 차라리 숙젤 포기하라고 하고 싶은 그런 마음이 드는 때도 있다.
하긴 요즈음 아이들 보면 참 많이 가엾다는 생각이 든다.
학교 숙제에 학원 숙제에 학습지까지...
아이들은 학교에서 학원으로 다시 집에서 공부에 쫓기듯 살아간다.
우리가 어릴 적 뛰어 놀던 그 추억들을 요즈음의 아이들은 만들 시간이 없는 것 같다.
이 책 속의 우주도 뛰어 놀 시간도 없이 매일을 숙제에 쫓기듯 살아가고 있었다.
그런 우주에게 숙제귀신이 나타난다.
그리고 숙제 귀신이 되면 숙제를 하지 않고 마음껏 뛰어 놀 수 있단 말에 우주도 잠깐 숙제 귀신의 유혹에 흔들리지만 결국 숙제를 하지 않으면 안되는 이유를 깨닫게 되고 숙제 귀신의 유혹을 이겨낸다는 내용이다.
특히 이 책의 재미있는 점은 이야기와 극본의 두 가지 형식으로 쓰여져 있단 점이다.
 같은 주제를 이야기에서는 어떻게, 극본에서는 어떻게 풀어나가는지 이 책을 읽으면서 자연스레 아이가 접할 수 있게 되어있어 하나의 주제를 여러가지 장르의 글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을 알게 한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 아닌가 싶다.
또한 우리 아이들이 연극을 하기 위해선 어떤 형식을 어떤 단계를 밟아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코너가 있어 더욱 반갑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