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즈의 탐정이야기 특목고를 향한 교과서 심화학습 3
NS교육연구소 지음 / 에듀조선(단행본) / 2009년 1월
평점 :
품절


요사이 추리 소설에 축 빠져 있는 아이가 이 책을 보자마자 달려들어 읽는다.

그리고 셜록 홈즈의 눈부신 추리력과 관찰력, 문제 해결 능력에 놀라운지 우리 나라에도 셜록 홈즈와 같은 유명한 탐정이 있는지 물어온다.

그리고 셜록 홈즈가 정말 있었던 인물인지 아이가 뒷 부분이 이야기를 읽기도 전에 물어와 우선 마지막까지 다 읽어보곤 이야기 하자곤 했더니 신이나 떠들어 댄다.

"엄마 셜록 홈즈는 실제 인물이 아닌데 진짜 실제 인물처럼 생각했던 사람들도 있대. 그리고 홈즈를 숭배하는 사람들의 모임도 있다는데 엄마 그거 알았어?"

아이의 말에 나도 궁금해져 아이랑 이야기를 나누기 위해 더욱 신경을 쓰면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셜로키언이란 하는 홈즈를 숭배하는 사람들이 모임이 홈즈의 탄생국이 아닌 미국이라니 놀라웠다.

그리고 우리 나라에도 조선시대에 벌써 과학 수사대와 같은 별순검이 있었다는 사실은 드라마를 통하여 알고 있었지만 사실적인 이야기로 읽고 보니 더욱 새롭게 다가온다.

그리고 셜록 홈즈의 작가 코난 도일의 살인범이란 이야기가 있다는 말은 나에게 놀라움으로 다가온다.

그리고 소설 속에서의 명탐정이 실제 사건을 해결할 실마리를 주었다는 에드가 엘런 포우의 <마리 로제의 수수께끼>의 이야기는 탐정들의 놀라운 능력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이야기라 그들의 능력이 어디까지인가 나에게 의문으로 다가왔다.

그리고 한때 나도 너무나 좋아했던 인물 괴도 루팡의 실제 주인공이 비도크의 이야기를 통하여 모든 범죄에는 일정한 패턴이 있고 그 패턴을 연구하여 사건을 해결할  수 있단 그의 말에서 모든 범죄에는 과학적인 조사와 접근이 필요함을 다시 한번 느끼게 된다.

경찰이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을 해결하여 당시의 범죄력을 줄이는데 큰 공헌을 했던 비도크의 수사형식이 많은 추리 작가들과 지금도 영국 미국등의 선진국에서도 수사 자료로 쓰인다니 놀라울 다름이다.

모든 것에는 증거가 있고 그 증거들을 토대로 과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탐정들의 이야기가 흥미로운 건 그들이 가진 독특한 능력과 더불어 인간적인 면, 사건을 바라보는 그들의 치밀한 추리력이 너무나 놀랍기 때문이아닐까 싶다.

특히 이 책은 아이에게 우리가 몰랐던 탐정들의 이야기만이 아닌 그들의 탄생과정, 역사적 사실을 토대로 한 뒷 배경, 이 책을 읽는 아이들의 문제 해결을 알아보고 한번 탐정이 되고 싶은 아이들에게 문제를 해결할 기회를 주고 있기 때문인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