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너도 하늘말나리야 - 아동용, 중학교 국어교과서 수록도서 ㅣ 책읽는 가족 1
이금이 글, 송진헌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작성 : 임혜민
'너도 하늘 말나리야'라는 제목에서 '하늘 말나리'는 꽃 이름인데 언제나 꿋꿋하고 아름다운 소희를 닮은 꽃이다.
이 책은 아빠와 엄마가 이혼을 하게 되어 진료소장인 엄마와 함께 월전리에 이사오게 되어서 진료소에서 사는 '미르', 어릴 때 아빠가 돌아가시고 엄마는 재혼하여서 할머니와 단 둘이서만 살고 있는 어른스러운 '소희', 엄마가 일곱 살 때 돌아가시고 그 충격으로 선택증 함구증이라는 병에 걸린 '바우'. 이 세 명이 주인공인 아주 감명깊은 책이다.
1. 강미르
이 책의 첫 번째 주인공 '미르'는 엄마랑 아빠가 헤어져서 월전리 진료소장이 된 엄마와 시골로 이사 와서 엄마와 시골에서 단 둘이 살게 된다. 월전리에서 미르는 온 몸에 날카로운 가시를 잔뜩 세우고는 아무와도 친해지려고 하지 않는다. 마음에 빗장을 걸어버린 미르는 여러 가지 사건으로 점점 소희와 바우와 친해지게 되며 마음의 빗장을 서서히 풀게 된다. 나는 처음에 미르의 성격이 내성적이며 다른 사람을 무시하고 깔보며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책의 끝부분에서 알 수 있는 미르의 성격은 겉은 날카롭게 가시를 세우고 있지만 속으로는 부드럽고 연약한 아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그리고 나중에 미르의 엄마가 자신을 엄마이기 전에 먼저 한 여성, 한 인간으로 생각해 달라고 할 때에는 나도 많은 것을 느꼈다. 나도 엄마를 한 여성으로, 한 인간으로 생각해보지는 않고 오직, ‘『엄마』니까’라고 당연하게 여겨 왔다. 내 친구들도 그랬을 것이다. 나도 미르가 바우에게 이야기해 준 것처럼 내 친구들에게 이야기해 줄 것이다.
2. 윤소희
이 책의 두 번째 주인공 '소희'는 소희가 태어나지도 않았을 때 아빠가 돌아가시고 엄마는 소희가 돌이 되었을 때 외가 식구들에게 강제로 끌려가게 되어서 할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지만 언제나 어른스럽고 어떤 일에도 꿋꿋한 모습이 정말 마음에 든다.
소희에게는 일기장이 두 개 있다고 한다. 하나는 학교 검사용 일기장이고, 다른 하나는 자신의 속마음을 적는 비밀 일기장 이라고 한다.
나도 소희처럼 비밀 일기장을 만들어서 나의 비밀과 속마음, 좋아하는 남자아이에 대한 나의 마음을 적어 나간 적이 있다. 그러나 나는 금방 포기하고 말았다. 그러나 소희는 나와 달랐다.
소희는 나와 달리 일기를 꾸준히 적었고, 일기장에 자신의 마음을 꾸밈 없이 적어 나갔다.
미르, 소희, 바우가 중학교에 올라 가게 되었을 때 소희의 할머니가 돌아가시게 된다. 소희는 할머니가 돌아가셔서 돌보아 줄 사람이 없기 때문에 작은집에 가게 되어서 미르, 바우와 헤어지게 된다. 헤어지게 되었을 때 소희는 자신의 비밀 일기장을 미르에게 주었다. 나는 처음엔 자신의 비밀이 담겨 있고, 많은 시간과 정성, 노력이 만들어 낸 자신의 비밀 일기장을 어떻게 친구에게 줄 수 있을까? 하고 생각도 하였다.
그러나 나는 내가 지금 이사를 가야 한다고 생각하여 보았다. 그리고 나와 정말 친하고, 나와 많은 사연들이 있고, 나를 이해하여 주는 친구라면 소희처럼 나의 비밀 일기장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정바우
이 책의 마지막 주인공 ‘바우’는 일곱 살 때 엄마를 잃고서 그 충격으로 ‘선택증 함구증’이라는 병에 갇혀 있다.
이 병은 자신이 말하고 싶은 사람에게만 말을 하고 말하고 싶지 않은 사람에게는 말을 하지 않는 병이다. 바우는 1학년 때부터 같은 반 친구들에게 말을 하지 않았다.
이 학교는 전교생이 적기 때문에 같은 반 친구들 그대로 학년이 올라간다. 그래서 이제는 모르는 사람이 바우에게 말을 걸면 친구들이 대신 대답해 준다.
바우는 미르를 처음 보았을 때의 첫인상이 좋았다. 그래서 미르에게 말을 걸 생각을 하며 즐거워하였다. 내가 바우라면 수줍음이 많아서 여자에게는 말을 걸기 힘들었을 것이다.
바우는 미르에게 말을 걸 날만을 꿈꿔 왔는데 정말 예상치도 못한 때에 순간적으로 말이 튀어나왔다. 바우는 아빠의 차에서 장미꽃 바구니를 보고는 엄마 산소에 갖다 드리는 것으로 생각 하였다. 그리고 어제가 소장님(미르엄마)의 생신이라고 하여서 미르 집에서 케이크를 먹기 위해서 진료소로 갔다. 그런데 피아노 위에 어제 차에서 본 장미꽃 바구니가 있었다.
미르는 그 꽃 바구니가 자신의 아빠가 보내 준 것이라고 생각하고 바우와 소희에게 이 꽃바구니는 아빠가 준 것이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바우에게서 “니네 아빠한테 물어 봤어?” 하고 순간적으로 말이 튀어나왔다. 그 때, 바우는 어떤 느낌이었을까? 바우는 미르에게 말을 하기 위하여 준비를 많이 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순간적으로, 그것도 상상하던 것처럼 멋진 말도 아닌 말이 튀어나오게 되면 누구든 당황할 텐데 바우는 당황하지 않았다. 오히려 마음 속으로 생각하던 것이라고 침착한 모습을 보였다. 내가 바우에게서 본받을 점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침착하고 당황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군락을 이룬 하늘말나리꽃들>
‘너도 하늘말나리야’는 6학년 2학기 교과서에 ‘소희의 일기장’이라는 이름으로 ‘소희 이야기’가 실렸다. 또, 중앙일보 좋은책 100선, 어린이 도서 연구회 권장도서에도 뽑혔다.
네이버 지식in에는 중학생 권장도서 목록에도 이 책이 실려 있다.
이 책은 내 또래 아이들인 사춘기 소년, 소녀들의 마음이 아주 자세하게 나와 있다.
나는 이 책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것이 바로 달밭의 ‘느티나무’와 언제나 하늘을 보고 피어 나는 ‘하늘 말나리’가 가장 마음에 들었다. 나는 이제부터 ‘느티나무’ 처럼 굳세게, ‘하늘말나리’ 처럼 하늘을 보면서 자기 자신을 사랑하면서 살기로 나 자신과 약속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