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생 성적, 초등 4학년에 결정된다 ㅣ 평생성적 프로젝트 1
김강일.김명옥 지음 / 예담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교육에 관련된 책을 많이 읽어서일까? 거부감을 준 책이다. 요즈음 제목으로 승부하는 책들이 많은데 그중하나에 불과할 것이란 생각이었다. 애들 교육에 대해서 모르는 것이 있었나? 결국 실천가능한가의 문제일 뿐이지...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 책이 나에게 몇가지 다른 시각을 갖게 했다.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1. 공부저력 2. 부모의 관심과 체크 3. 4학년의 중요성
공부의 저력이란 초등 고학년 또는 중학교 이상이 되서 공부를 얼마나 쉽게 할 수 있는가의 문제일 것이다. 우리는 흔히 "저 애 저력있어"란 말에는 언젠가 엄청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고 믿는다는 뜻이다. 지금은 공부를 못하지만 언젠가는 잘할 것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사람들, 아이들의 부모, 즉 우리들이 아니던가. 그러나 우리는 그냥 단순하게 '지가 언젠가는 잘하겠지...'라고 기대만 하는 것은 아닐까?
저자가 말하는 '공부저력을 키워주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그런데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이 '공부저력을 어떻게 만들어 줄것인가?' '언제부터 시작할 것인가?'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이책에서 그 대안을 내 놓고 있다. 물론 그 [안]이라는 것은 부모와 아이의 끈질긴 싸움(?)일 뿐이다. 아이가 지치지 않고 부모는 조급해 하지 않는 그런 긴 여정을 하는 시점은 4학년 훨씬 이전이어야 한다는데 전적으로 동의한다.
(부모의 관심과 체크)는 결국 부모의 아이에 대한 사랑이다. 한글을 알기 시작하는 순간부터 시작해야 아이의 저력이 키워진다는 것이다. 무엇을 시작할 것인가? 책을 읽어주는 단계부터 시작하여 아이들 스스로 숙제하고 일기도 쓰고 학교생활에 적응할때까지 끊임없는 "전쟁"을 치루라는 것이다. 지식이 체화될때까지....그래서 학원의 무용론이 나오게 되는 것 같다. 공부의 저력은 학원선생의 지식 전달이 아닌 부모의 사랑에 의해서만 가능하다는 논리다. (일단 읽어봐야 그 의미 파악가능)
그리고 아이들이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것도 체크해줘야하고, 아이들이 책을 읽은 다음에도 체크해줘야 하고 아이들이 문제집을 풀고 나서도 체크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체크, 체크, 그리고 관심 그리고 또 격려와 칭찬, 그리고 아이에 대한 기대의 말을 아낌없이 해줘야 한다.
마지막으로 왜 하필이면 4학년인가? 그 대답은 이렇다. 4학년은 12살....1) 사춘기의 시작이다. 4학년이 지나면 아이들이 반항을 시작한다. 아이들 통제가 점점 더 힘들어진다. 그래서 4학년까지 공부저력을 키우라는 것이다. 2) 4학년은 논리적인 해석을 요구하는 교육과정의 시작이다. 사회도 새로운 개념들이 등장하고 수학도 논리력을 요구한다. 4학년때까지 이런 과정을 소화할 능력(특히 독서를 통한 이해력 등등)을 갖추지 못하고 고학년이 되면 [고학년과정+이전과정(이해력, 연산력 등)]을 동시에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아이들에게 과도한 공부시간을 요구하게 되고 아이들은 점점 힘들어하면서 지쳐가고 포기라는 단어를 떠올린다는 것이다. 3) 또한 뇌과학에서도 12살이 넘어가면서 고착화가 심해진다고 한다. ...이러저러한 이유들이 이책에 나와있다.
책을 사서 밑줄 그으면서 볼일이다.
(참고로 내 블로그에 여기서 못다한 이야기가 궁금하신분은 몇주후에 제 블로그로 오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