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의 노래 (1.2권 합본) - 우리 소설로의 초대 4 (양장본)
김훈 지음 / 생각의나무 / 200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영웅의 이야기를 이렇게 색다르게 표현할 수 있는 작가의 탁월함에 감탄하면서...

영웅이기 이전에 한 인간으로서의 인간미가 물씬 풍기는 작품이었다. 서양의 영웅처럼 비 인간적이지 못한 영웅이 아니었고 역사 속에서 지나치게(?) 묘사되는 영웅도 아니었다. 그저 한 인간이기에 전쟁이 두렵고 적이기게 베어야 했던 한 명장의 심정이 담담히 그려져 있다.

한 사회인으로서, 조직내에서의 구성원으로서의 심적 갈등, 신하로서 임금에 대한 사랑과 임금에게 당할 것이란 두려움, 그리고 국가에 대한 충성심이 전편에 흘렀다. 명장은 고뇌한다. '자연인으로써 자연사'하고 싶으나 자연사할 수 없을 것이란 불안과 두려움이 한 영웅을 초라하게 만들기도 한다. 결국 자연사란 것이 적의 칼에 의해 죽는 것이라고 결론을 맺을 수밖에 없는 영웅의 모습이 안쓰럽기도 하였다.

'적이 나를 죽이면 적은 임금의 가슴에 칼을 꽂을 것이고, 임금이 나를 죽여도 적은 임금의 가슴에 칼을 꽂을 것이다.'란 말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있으며 임금과 그 주변에 대한 불신을 표출한다.

주인공의 고뇌를 멋지게 표현한 문구로 글을 맺는다.

적의 살기가 제풀에 흩어질때 나는 함대를 집중했다. 적이 항로를 오인해서 긴 물목으로 들어설때 나는 집중했다.
.....(중략)...
삶은 집중속에 있는 것도 아니었고 분산속에 있는 것도 아니었다.
모르기는하되, 삶은 그 전환 속에 있을 것이었다.

개별적인 살기들을, 눈보라처럼 휘날리며 달려드는 적앞에서 고착은 곧 죽음이었다. 달려드는 적 앞에서 나의 함대는 수없이 진을 바꾸어가며 펼치고  오므렸고 모이고 흩어졌다.(중략)
나를 이동시키면서 고정된 적을 조준하는 일은 어려웠고 나를 고정시키고 이동하는 적을 조준하기도 어려웠다. 나을 이동시키면서 이동하는 적을 조준하기는 더욱 어려웠으나, 모든 유효한 조준은 이동과 이동 사이에서만 이루어졌다.
내가 적을 조준하는 자리는 적이 나를 조준하는 표적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