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친
요시모토 바나나 지음, 김난주 옮김 / 민음사 / 199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난히 인기가 많은 책은 오히려 구입이 망설여진다. 모두들 훌륭한 작품이라며 환호성을 지르는데 나 혼자만, 별룬데.. 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이다.

 

 요시모토 바나나를 그 동안 읽지 않았던 이유도 마찬가지다. 꽤 오랜 시간 그녀의 작품이 최고의 인기를 누렸는데, 그래도 그녀를 만나지 않았다. 인기가 많으면 많을수록 내 고개가 갸우뚱 기울어질 확률은 더 높으니 말이다.

 

 키친. 아쉽지만, 내 징크스는 이번에도 들어맞았다. 아쉽다. 또 한 명의 좋은 작가를 만날 수 있는 기회였는데.

 

 왜 자꾸 이런 징크스가 맞아 떨어질까. 그 이유를 단번에 알아내기는 어렵고... 이번 작품에 왜 내가 빠져들지 못했는지를 먼저 생각해 보았다.

 

 첫번째 이유는, 기대감. 바나나 효과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열광한 작품이라 나도 기대가 컸나 보다. 처음부터 담담한 마음으로 읽었으면 실망이 크지 않았을 텐데, 몇 년 동안 스테디 셀러에 올라와 있는 작품이라 머리에 퍽, 소리가 날 정도의 감동과 충격을 예상했었나 보다.

 

 두번째 이유는, 거부감. 일본 소설에 대한 막연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를 읽고, 그 때도 실망감이 컸다. 하루키에 대한 아쉬움을 일본 작가 전체로 확대시키면 안 되는데, 그 때부터 웬일인지 일본 소설에 대한 묘한 거부감을 갖게 되었다. 실제로 일본 작가들의 작품을 읽어 보면 잔잔하고 아기자기한 감동을 주는 경우들이 많은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의 단단한 오류를 아직도 깨지 못했다. <키친>이 일본이 아닌 다른 나라 작가의 글이었다면, 어땠을까.

 

 세번째 이유. 나의 협소함. 트렌스 젠더 이야기나, 죽음, 이런 것들에 대한 공감이 부족한 탓일 테다. 누군가가 절박한 심정으로 쓴 글에 공감을 하지 못한다면 그건 글쓴이의 부족함이 아니라, 읽는 이의 연륜이나, 경험, 내공이 부족한 것이 아닐까, 하는 게 요즘 생각이다. 나에게 익숙지 않은 주제여서, 내가 관심을 두지 않는 영역이라서, 내가 겪어보지 않은 일이어서, 라는 미숙한 이유들이 내 눈을 가려 좋은 글들을 스쳐 지나가게 만든다.

 

 사람도 그렇다. 한 때는, 상대방의 불완전함을 탓하던 때가 있었다. 너는 사랑하는 방법을 모르는구나. 이렇게 생각했던 때가 있었다.

 

 지금 생각해 보니, 사랑할 줄 몰랐던 쪽은 상대방이 아니라 내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좋은 사람들을 그저 스쳐 지나 보냈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나이를 한 살 더 먹고 새로운 계절인 봄이 시작 됐으니 나도 이 봄만큼 조금 자라났겠지. 자라난 키만큼 조금 더 많은 것을 볼 수 있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