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틀려도 괜찮아 ㅣ 토토의 그림책
마키타 신지 지음, 하세가와 토모코 그림, 유문조 옮김 / 토토북 / 2006년 2월
평점 :
우리 아이는 나를 닮아서 부끄러움을 잘 모르는 듯 하다.
나도 어려선 그저 손 번쩍 들고 친구들 앞에 나가서 춤추고 그런게 재미있었으니까, 지금 우리 아이의 마음도 십분 이해한달까.
그런데 제발 닮지 않았으면 하는 점을 닮아버리고 만 것이, 바로 완벽주의이다.
나에겐 그 완벽주의를 팍 깨어줄 오빠와 남동생이 있어서 균형을 잡을 수 있었지만,
지금 외동딸로 크고 있는 우리 아이는 그럴 사람도 없어서인지 그 완벽주의가 나날이 빛을 발하고 있을 뿐이다.
그래서인지 아이는 틀리는 것을 무척 싫어하며, 자존심도 세서 지적받는것을 못견뎌한다.
어렸을때는 내가 무언가를 지적하면 그자리에서 코피를 주르륵 흘릴만큼 순간적으로 열을 받기도 했으니까.
그런 아이에게 마구 그리는 것을 보여주거나, 뜻대로하게 하거나, 전문가의 조언대로 수채화를 그려봐도
좀처럼 도움은 되지 않았고 오히려 역효과를 눈 앞에서 확인하게 되었을 뿐이었다.
그래서 이 책을 보았을 땐 어느정도 도움이 되어주지 않을까 생각을 했고 구입을 했다.
우선 책 내용은 제목을 조금 길게 풀어놓았을 정도로 글도 별로 많지 않고 간단하다.
그리고(조금 억지스럽게도) 틀린답을 말해도 친구들이 웃지 않는다는 내용도 있어 현실감은 조금 떨어진다.
과연 교실에서 손 번쩍 자신있게 들고 틀린 답을 말하면 친구들이 웃지 않고 같이 생각해 줄까?
그건 선생님들의 재량이지 아이들의 도량은 그렇게 넓지 않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에 현실감이 떨어진다.
내용이 제목에 비해보았을때 독특한 점이나 특별한 것이 없기때문에 한 번 보더니 두번은 보지 않는 듯 하다.
아침 자습 시간에 갖고 가서 읽지 않겠느냐는 나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다른 책을 집어갔기 때문이다.
나는 한숨을 쉬며 "친구나 네가 틀린 답을 말하면 무엇이 틀렸는지 생각해보는 동안 머리가 자라서
똑똑해지는거야" 라고 덧붙이는 것이 고작이었을 뿐이다.
어쨌거나, 우리 아이는 재미있게 보았지만 이것을 '남의 경우'로 생각하는 듯 했다.
자신이 그런 경우를 당한다는 것은 생각하기도 싫은 모양이다.
이미 우리 아이는 '틀려도 괜찮다'는 것은 학습되어서 알고 있기는 하다.(학교나 유치원에서 가르치니까)
하지만 괜찮다 하더라도 틀리고 싶지 않으니 문제가 아니겠는가.
어쨌건, 틀려도 괜찮다는 것을 머리로만 아는지 마음으로 아는지 몰라도,
틀린 답을 말하는 그 순간에 이 책을 떠올리고 용기를 낼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