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모든 경영의 답 - 베스트 경영이론 활용 89가지
제임스 맥그래스 & 밥 베이츠 지음, 이창섭 옮김 / 처음북스 / 2014년 3월
평점 :
절판
[모든 경영의 답] 바로 쓰는 경영학원론 워크북
베스트 경영이론 활용 89가지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없는 경영서는 필요 없다
경영학 기본기를 빠르게 잡고 싶은 이를 위한 똑똑한 교양서
매년 엄청난 양의 경영서가 쏟아져 나온다. 그만큼 긴요하다는 반증이다. 대졸 이상 학력의 사무직군 회사원들에게 경영학 지식은 필수다. 다른 학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역사가 짧지만 신이론이 계속 나오고 영역이 방대해서 그런 걸까, 의외로 시중 경영서의 면모를 보고 있노라면 경영학원론 정도 수준으로 경영학 전반을 살펴볼 수 있는 괜찮은 기초교양서가 거의 없다(있어도 너무 오래 되어 더 이상 읽을 가치가 없다). 그런 점에서 이달 번역·출간된 2013년 작 <모든 경영의 답>은 독서로 경영학 입문하려는 비전공자나 빠르게 경영학 지식을 정리하려는 직장인들이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신간이다.
제목부터 도발적이다. ‘베스트 경영이론 활용 89가지’라는 부제를 보면 책 두께를 감안했을 때 수박 겉핥기식 나열에 그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서기도 한다. 하지만 머리말을 읽는 순간부터 이런 불안은 눈 녹듯 사라진다. 집필 목적과 타깃 독자가 뚜렷하며, 한 치의 사족 없이 대단히 전략적으로 책을 썼다. 저자들은 경영 이론과 실무의 간극을 최소화시키고,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 경영(관리) 이론 89가지를 추려 책 한 권에 담았다. 그것도 한 이론에 대해 파악하고 이를 실무에 접목시키는 방법을 단 ‘5분’ 안에 익히도록 말이다. 저자들은 단언한다. ‘우리에겐 시간이 없다. 실무에서 바로 쓸 수 없는 경영이론은 상호 모순이다. 실무에서 가치가 입증된 이론만 빠르게 알아야 한다. 우리가 그럴 수 있도록 돕겠다.’
타깃 독자도 첫 장부터 분명히 명시해 두었다. ‘MBA를 취득할 기회가 없었고, 시간도 부족하지만, 유용한 경영관리 이론과 그 활용법을 배우고 싶어 하는 현업 경영자와 경영자 지망생’과 ‘경영과학을 전공했고 경영관리 이론에 정통하지만 그 이론을 실무에 적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 대상이다. 총 10장으로 구성된 <모든 경영의 답>은 1장부터 9장은 경영학의 주요 각론들(경영관리 이론, 리더십 이론, 동기부여 이론, 팀 이론, 조직문화 이론, 변화관리 이런. 전략경영 이론, 품질경영 이론, 권위권한영향력 이론)을 마지막 10장은 어느 영역에서나 끼워 쓸 수 있는 성격의 기타 이론들을 담았다. 89개의 이 주요 경영이론들은 20%는 업무 현장에 관한 것이고 80%는 경영자로서 업무능력 향상에 필요한 것들이다.
이 책의 ‘스마트함’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한 이론을 배울 때마다 어떤 이론과 함께 익히면 좋은지, 각 각론별로 가장 탁월한 이론과 89개 이론 중 왕중왕 이론이 무엇인지도 친절하게 명시한다. 다만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효율성 추구를 극대화한 책인 만큼, 각 이론을 더 이해하기 위해 어떤 책을 더 참고하면 좋은지, 기술한 문장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설명하는지가 없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경영관리이론의 왕을 피터 드러커로 꼽으며, 드러커는 기업의 목적과 경영자의 역할을 서른 단어 이하로 요약했다고 서술했는데 그 서른 단어가 뭔지는 본문 어디에도 없다. 그럼에도 이만큼 충실하고 명쾌한 경영학 기초교양서가 없기에 (자신이 저자가 명시한 타깃 독자라고 생각한다면 읽기를) 적극 추천한다.
<모든 경영의 답>을 읽는 방법은 여러 가지다. 석 달 정도 기간을 두고 하루에 한 이론씩 완벽하게 마스터해보는 것도 좋고, 목차를 보며 그때그때 필요한 이론부분만 골라 읽는 것도 좋고, 단숨에 책 전체를 읽으며 경영학의 얼개를 잡는 것도 좋다. 다만 어떤 방법으로 이 책을 읽든 반드시 실제 직장생활에서 활용할 때 가장 독서효과가 높고 그것이 저자의 주장이라는 것을 잊지 않길 바란다. 누구나 연공서열이 쌓이면 관리자에 이를 수 있지만 경영자가 되는 것은, 더 나아가 훌륭한 경영자가 되는 것은 극소수이다. 그래서 바쁜 시간 틈틈이 경영학 공부를 게을리 하지 않는 것은 당장의 업무를 위해서이긴 하지만 성공적인 미래 커리어를 위한 투자이다. 생각이 있다면 바로 이 책을 잡아라. 그리고 반드시 실행하라.
본문에서 다루는 89개의 이론을 서로 연결되는 것들을 표시해 보았다. 대부분의 이론이 한 이론 당 연관 이론이 두세 개쯤인데, 전체적으로 보면 대부분의 이론이 연결되어 있다. 저자의 치열한 고민과 치밀한 의도의 결과겠지만, 비전공자도 쉽게 경영사상사의 흐름과 경영학의 큰 그림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니 참고해보길 바란다. ↓↓↓
1장. 경영관리 이론
1. 페이욜의 ‘경영관리의 14가지 원칙1: 구조와 통제 2. 페이욜의 ‘경영관리의 14가지 원칙2’: 직장 내 대인 관계 (3장) 3. 테일러의 과학적 관리법 4. 메이요의 호손 실험 5. 어윅의 경영관리 원칙 10가지 6. 드러커가 말하는 ‘경영관리의 목적’ (8장) 7. 맥그리거의 X-Y 이론 (5장) 8. 피터스와 워터맨의 경영관리 이론 (5장,8장) 9. 코비가 말하는 ‘성공하는 사람의 일곱 가지 습관' (4장) 10. 현장 중심의 경영(MBWA)
|
2장. 리더십 이론
11. 특성 이론 (5장) 12. 미시간과 오하이오 연구 ― 리더십 유형 이론 13. 블레이크와 머튼의 관리격자? 이론 14. 어데어의 ‘행동 중심의 리더십’ 15. 피들러의 상황 이론 16. 허시와 블랜차드의 상황적 리더십 이론 (3장,4장) 17. 번즈의 거래적 리더십 이론 (3장) 18. 댄서로, 그랜, 헤이가의 리더-부하 교환 이론(LMX) (4장) 19. 하우스의 카리스마 리더십 이론 20. 번즈의 변혁적 리더십(TL) 이론 21. 배스의 변혁적 리더십(TL) 이론 22. 베니스와 나누스의 변혁적 리더십(TL) 이론 |
3장 동기부여 이론 23. 매슬로의 욕구단계론 (4장) 24. 앨더퍼의 존재, 관계, 성장(ERG) 이론 25. 맥클래런드의 ‘성취와 욕구 충족 이론’ 26. 허츠버그의 ‘동기부여와 위생 이론’ 27. 애덤스의 ‘공정성 이론’ 28. 브룸의 기대 이론 29. 해크먼과 올드햄의 직무특성이론 30. 에른스트의 OK 목장 이론 31.에릭 번의 교류분석 이론 |
4장 팀 이론
32. 벨빈의 팀 역할론 33. 매코비의 게임스맨 이론 34. 리커트의 팀 관리 유형 이론 35. 드렉슬러-시벳의 팀 성과 모형 36. 호먼스의 집단 형성 이론 (5장) 37. 터크먼의 집단 발달 단계 모형 38. 윌란의 ‘집단 발달에 대한 통합 모형’ 39. 로크의 목표 설정 이론 |
5장. 조직문화 이론
40. 핸디의 조직문화 모형 (4장) 41. 딜과 케네디의 ‘모험과 피드백 모형’ 42. 모건의 조직 은유론 43. 그레이브스의 문화적 리더십 이론 44. 샤인이 말하는 조직문화의 세 단계 45. 존슨과 스콜스의 문화망 이론 (6장) 46. 호프스테더의 문화 차원 이론 47. 하그리브스의 ‘분열된 문화’ 이론 |
6장. 변화관리 이론
48. 퀴블러-로스의 변화 주기 이론 49. 슈와트의 계획-실행-점검-조치(PDCA) 모형 50. 레빈의 냉동, 해동 그리고 재냉동 모형 (7장) 51. 레빈의 장(場) 이론 52. 코터의 8단계 이론 53.모스 캔터와 ‘변화의 달인’ 54. 버크-리트윈의 ‘변화의 동인(動因) 이론 (3장,5장) 55. 이건의 음지(陰地) 이론 (9장) |
7장. 전략적 경영 이론
56. 존슨과 스콜스가 말하는 ‘전략적 계획의 7단계’ 57. 앤소프의 근대적인 전략적 계획법 58. 피터스와 워터맨의 탈근대적인 전략적 계획법 59. 퀸, 하멜, 프라할라드의 ‘새로운 근대적 계획법’ 60. 보스턴컨설팅그룹의 매트릭스 이론 61. 맥킨지의 7S 모형 62. 존슨, 스콜스 그리고 위팅엄의 이해관계자 지도 이론 63. 포터의 가치사슬 이론 64. 포터의 ‘다섯 가지 경쟁 요인’ 이론 65. SWOT 분석 66. PEST/PESTLE 분석 67. 시나리오 기법 |
8장. 품질경영 이론
68. 데밍이 말한 치명적 병폐 일곱 가지 (7장) 69. 주란이 말한 ‘품질관리의 3단계’ 70.크로스비의 성숙도 이론 71. 피터스, 워터맨 그리고 오스틴의 탁월성 모형 72. 이시카와의 생선 뼈 모형 73. 이마이의 카이젠 5S 집안 살림 이론 74. 벤치마킹 이론 (6장) 75. 탁월성 모형
|
9장. 권위·권한·영향력 이론
76. 베버가 말한 ‘권위의 유형 세 가지’ 77. 프렌치와 레이븐의 ‘권력의 원천 이론’ 78. 영향력의 원천 이론 79. 마키아벨리의 ‘생존의 법칙’ 80. 론슨의 사이코패스 테스트
|
10장. 기타 이론
81. 파레토 법칙 ★
82. 아이젠하워 원칙 (8장) 83. 토마스와 킬만의 ‘갈등 해소 모형’ 84. 그라인더와 밴들러의 신경언어프로그래밍(NLP) 여과 이론 85. 골먼의 감성지능 이론 86. 보이드의 OODA 사이클 이론 87. 루프트와 잉검의 ‘조하리의 창’ 88. SMART 목표 설정법 89. 맥나마라의 오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