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의 복합 세이초 월드
마쓰모토 세이초 지음, 김경남 옮김 / 모비딕 / 2012년 2월
평점 :
품절


[D의 복합] 스토리텔러의 일덕

 

 

전설 찾아 떠난 두메 취재에서 만난 살인사건, 우연이 아닌 철저한 계획이다?

누가, 무엇을 위해 D의 복합으로 우릴 초대하고 조종하는 걸까 .

“선생님은 알고 계세요. 아무것도 모르시면서 거길 가실 리 없어요.”

 

 

무명작가인 이세는 월간지 「구사마쿠라」의 편집 차장인 하마나카의 원고 의뢰로 '전설을 찾아가는 벽지 여행'이라는 기행 에세이를 연재하기로 한다. 여행지를 정하고 하나마카와 함께 취재를 떠나는 이세, 첫 번째 목적지인 기쓰 온천에서 둘은 숙소 근처 산에서 사체 수색을 하는 것을 목격한다. 갑작스런 투고에 발생 1년 만에 수사가 재개된 살인사건은 이상하게 이세와 하마나카의 여정마다 계속 얽힌다. 의도치 않은 이 기묘한 경험을 이세는 흥밋거리 삼아 연재물에 쓰고 독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는다. 이세는 욕심을 부려 살인사건의 비밀을 풀어보려 하고, 때마침 열혈 독자를 자청하는 사카구치와 니노미야의 편지를 받는다. 다른 독자들과 달리 이세의 연재가 편집부의 기획인지 이세의 착상인지를 궁금해 하는 둘, 그런데 이세를 만나 이상한 얘기를 늘어놓던 사카구치는 살해당하고 니노미야는 이세와의 만남 후 실종된다. 진실을 알려할수록 사건은 미궁 속으로 빠져들고 또 다른 희생자가 발생한다. 도대체 무슨 사연일까, 이세는 안전할 수 있을까.

 

일본에서 추리와 여행을 결합한 '여행 미스터리(여정 미스터리, 온축 미스터리)' 장르는 1970년대 중반 이후 유행한다. 그리고 장르적 기원을 1968년 작인 마쓰모토 세이초의 <D의 복합>으로 삼는다. 하지만 '제대로 된 세이초 선집'을 표방하며 두 출판사가 합심해 내놓은 『세이초 월드』의 첫 작품이 왜 <D의 복합>인지 조금 의아하다. <D의 복합>은 일본 고대사와 민속학적 소재들을 엮으며 풀어가는 작품이기 때문이다. 일본엔 세이초 외에도 류노스케 등 자국의 역사와 전통문화에 깊이 파고든 유명 소설가들이 많다. 문제는 그런 배경지식이 없는 외국 독자들에게 다가오는 작품의 깊이와 재미가 다르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 <D의 복합> 초역본을 두고 어려워서 쉽게 작품에 빠져들지 못한다거나 읽어보려 엄두가 나지 않는다는 반응이 꽤 있다. 데뷔작이나 더 유명한 작품을 제치고 굳이 <D의 복합>을 선정한 것은 역사전문출판사의 정체성 표현의 의지일까(<D의 복합>을 낸 모비딕은 역사비평사에서 처음 만든 문학 임프린트다), 추리·역사·시사를 넘나드는 세이초의 문학세계 전반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 <D의 복합>이란 판단에서였을까.

 

결론부터 얘기하면 <D의 복합>이 매우 일본 독자 맞춤형 소설인 것은 맞지만. 배경지식이 없다고 겁먹을 필요는 전혀 없다. 단지 소설의 양념에 불과할 뿐이고 태생(대중소설)을 뛰어넘을 만큼 심오하지 않다. 박학하면 더 좋겠지만, 책 서두에 실은 지도를 참고하며 소설에서 작가가 서술하는 만큼만 읽고 넘어가면 그만이다. 집중해야할 것은 작품의 본질인 살인사건의 전말이다. 자신이 맞닥뜨린 사건이 단순히 재수 없이 겪은 우연이 아닌 것을 깨닫는 순간 단순한 호기심은 집요한 갈망이 되고 이세는 사설탐정처럼 행동하기 시작한다. 작가가 살인사건을 추적하는 점에서 세이초의 단편 <지방신문을 구독하는 여자>가 생각난다. 하지만 그 단편에 비하면 <D의 복합>의 이세의 동물적 감각과 행동력은 약하다. 이세와 같은 걸음을 걷는 독자, 사카구치가 알아챈 이세의 여정 속 35 숫자의 연속은 살인사건을 푸는 실마리고 온갖 방법의 중첩들은 게임의 끝을 가리킨다.

 

북위 35도, 동경 135도를 영어로 하면 North Latitude 35 degrees, East Longitude 135 degrees다. 네 개의 D가 중복되어 있으니 ‘D의 복합’이다. 게다가 위도와 경도는 지구를 가로와 세로, 각각 둘로 나누고 있으니까 그 모양으로 봐도 D형태의 조합이 된다. - p.259

 

440여 쪽의 <D의 복합>은 D의 복합의 의미를 밝히는 259쪽을 기점으로 소설이 갈린다. 장르물의 공식대로, 온갖 정보들의 나열과 지지부진함에 슬슬 지루함을 느끼는 전반부와 달리 후반부에선 앞서 던진 단서와 복선들이 짜 맞춰지며 속사포처럼 전개된다. 누군가가 철저하게 만든 시나리오에 맞춰 전개되는 사건들, 이세를 비롯한 초대자들, 이 게임의 호스트는 누구며 이유는 무엇일까. '범인'을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소설 내내 신경 쓰이는 사람, 지금 당신이 혹시 하는 그자가 '범인'이다. 끊김이나 틈 없이 서두부터 결말까지 엮는 모양새, 치밀한 계산과 기획으로 썼겠지 싶은 <D의 복합>이 계속 퇴고해서 전체 작품으로 출판한 게 아니라 2년 반 동안 잡지에 연재했던 소설을 묶은 것이란 걸 알고 놀랐다. 물론 출판과정에서 전체 교열을 했겠지만, 전체그림을 모두 그려놓고 쓰지 않는다면 구현하기 힘든 내러티브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충격적으로 놀라운 작품까진 아니다. 반세기가 지난 지금 보기엔 결말 처리나 트릭이 눈에 익기 때문이다.

 

황순원은 등단 후 문학성을 지키기 위해 잡문이나 연재소설을 쓰지 않았다. 코난 도일은 억지로 죽은 주인공을 살려내야 했고 찰스 디킨스가 혹평과 평가절하에 시달렸던 것은 그들이 작품을 주로 신문이나 잡지 연재로 발표하는 대중소설가여서인 이유도 있다. 대중이나 연재란 단어는 '쉬운', '상업', '소모성', '돈 때문에 하는' 따위의 어감이 있다. 실제로 수많은 대중소설·연재소설들이 순수소설보다 완성도와 문학성이 낮아 선입관을 강화시킨다. 소설은 대개 학술·교양서보다 읽기 쉽고 그래서 많이 읽는다. 하지만 술술 읽히고 내용이 그럴듯한 한 편의 소설을 쓰기 위해 작가는 수없이 취재하고 경험하고 공부해야 한다. 하지만 고생한 만큼 티가 나지 않고 다작 욕심에 암묵지 쌓기를 소홀하고픈 유혹에 빠지기 쉽다. 비단 소설 뿐 아니라 영화, 드라마 등 모든 스토리텔링이 마찬가지다. <D의 복합>을 읽으면서, 세이초가 이 소설을 쓰기 위해 얼마나 많은 자료를 찾고 발로 뛰었을까 눈에 선했다. 누가 알아주지 않아도 애쓴 만큼 드러나지 않아도 자신이 쓸 이야기를 위해 쉼 없는 것, 재미도 재미였지만 <D의 복합>을 통해 스토리텔러의 일덕을 배웠다.

 

http://der_insel.blog.me/12017046375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