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 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널 위해서라면
책만드는집 편집부 엮음 / 책만드는집 / 1998년 12월
평점 :
품절


흔히 '인간은 감정의 동물'이라는 말을 많이 한다. 이 말은, 지금까지 지구상에 존재했던 수많은 생명체 중에서 우리 인간 만큼 섬세하고, 다양한 느낌과 사고를 자유롭게 지각할 수 있는 개체는 없었다는 의미로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감정의 느낌을 칭하는 의미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 인간에게 있어 '사랑'이라고 하는 감정은 다른 여타 동물들이 느끼는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의미에서의 '사랑'과는 좀 다른 의미가 있지 않을까.

'사랑'에는 여러 종류가 존재한다.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 스승과 제자간의 사랑, 진정한 친구에게서 느끼는 우정보다도 한층 더 깊은 감정으로서의 사랑, 십 년이 넘도록 기르고 있는 자신의 애완견과의 사랑 등... 그 수는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고 다양할 것이다. 하지만 그 어떤 사랑보다도 우리의 마음을 설레이게 하고 가슴 저 깊은 곳을 '쿵땅쿵땅' 뛰게 만드는 사랑은 바로 이성간에 있어서의 사랑이 아닐까?

내가 최근에 읽은 <널 위해서라면>(책만드는집,2001)은 이러한 여러종류의 사랑 중에서도 자신이 좋아하는 연인과의 사랑을 떠오르게 하는 한 권의 책이었다. 만약 지금, 자신이 사랑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래서 사랑하는 연인에게 편지를 한 통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면 이 책은 '사랑'에 있어서는 성경과도 같은 '사랑의 바이블'로서 그 역할을 다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아름다운 여러 사랑의 말과 관련해 엑기스만을 뽑아 놓은 탓도 있겠지만 '사랑'이라는 단어 자체가 주는 아름다움과 편안한 감정 때문에, 지금 현재 좋아하는 연인이 없이 홀로 '솔로'생활을 하고 있는 나에게도 약간의 설레임과 함께 '사랑'의 의미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하는 책이었다.

이 책의 본문에 나와 있는 내용중 다음과 같은 말이 있다.

'사랑은 특정한 사람에게 매달리는 구속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랑은 한 인간과 그의 유일한 연인의 관계만이 아니라 세계 전체와의 관계까지도 규정하는 넓은 의미를 지닌다.'<널 위해서라면>(책만드는집,2001), 36쪽. 에리히 프롬이 한 말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 책은 굳이 사랑하는 연인을 둔 사람 뿐만이 아니라, 인류사적 보편성이라는 관점에서 모든 종류의 '사랑'과 관련해서도 누구나 그 의미를 느끼면서 읽어볼 수 있는 책일 거라는 생각을 해본다.

2001년 2월달인 요즘, '발렌타인 데이'다 뭐다 해서 자신의 사랑하는 연인에게 여러가지 선물을 많이 하는 모습을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목격할 수 있다. 대중소비사회에서 거대자본을 가진 기업들이 보다 많은 이윤창출을 위한 판매전략으로서의 '발렌타인 데이'라는 의미를 굳이 설명하지 않더라도 요즘 내 또래의 많은 젊은이들은 최근 사회에서 범람하는 현상으로서의 유행을 너무 쉽게 따르려는 경향을 많이 보인다.

지금 내 또래의 젊은이들은 자신의 사랑하는 연인에게 초콜렛을 전하는 천편일률적이고 획일화된 모습을 통해 비록 그러한 선물에 자기 나름대로의 '사랑'이라고 하는 메시지를 담아 전한다고는 할지 모르겠지만, 나에게 있어서는 마치 '사랑'이라고 하는 것도 대량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산업사회에서의 '대량복제된 사랑' 과도 같은 느낌이 드는것은 왜일까. 최근 '발렌타인 데이'를 맞아 너도 나도 초콜렛을 선물하는 내 주변의 젊은 연인들을 보며 느낀 이러한 생각은 비단 나만의 느낌일까. 그렇진 않을 것이라는 것에 대해선 많은 분들이 아마도 나의 의견에 동의하실 것이다.

그러한 천편일률적이고 획일적으로 전해지는 '사랑'이 아니라 진정한 사랑의 의미를 한 통의 편지에 담아서 자신의 사랑하는 연인에게 전하는 그런 사랑을 한번 해보는 것은 어떨까? '발렌타이 데이'날, 획일적이고 인스턴트화된 사랑이 아닌, 세상에서 하나 밖에 없는 자기 마음속에 묻어 둔 사랑의 의미를 담아 보내는 한 통의 편지속에 더 깊고 진한 향내가 묻어나는 진정한 '사랑'이 느껴지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광수생각 2
박광수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199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평소 <조선일보> 를 읽으시는 분들 중에서 <조선일보> 의 정치,경제면은 잘 안 읽더라도, <조선일보> 가 연재하는 만화인 '광수생각'은 꼭 찾아 읽으신 기억이 아마 한 두 번 쯤은 있을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 시민들의 '정치적 무관심'도 그 원인이 있겠지만, 그만큼 오늘날 신문 연재만화가 차지하는 중요성과 그 위상이 과거와는 달리 많이 상승되었고 또 일반 독자대중의 만화에 대한 관심이 그만큼 증가되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것이다.

얼핏 <<광수생각 2>> 를 읽다 보면, 박광수 특유의 칼라감각이 넘치는 만화의 편집과 함께 <광수생각>이 전하는 따뜻하고 아름다운 메시지에 정신이 팔려 <조선일보>가 진정 전하고자하는 메시지를 놓칠 우려가 있다. 즉, 우리는 <조선일보>가 <광수생각> 을 내세워 문화면을 통한 정치면의 '정치적 물타기'수법을 자행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 텍스트'의 실체를 파악하는 훈련을 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

내가 위에서 말한 '커뮤니케이션 텍스트' 의 실체란 과연 무엇인가? 간단한 예를들어 한번 살펴보기로 하자. 이 책의 107쪽을 보면 실직해서 집에 들어오지 않는 아버지, 그리고 그러한 아버지를 찾으러 집을 나갔다가 집에 들어오지 않은 어머니, 돈번다고 집을 나간 누나를 기다리는 어린이를 그린 만화를 비롯해 이 책의 118쪽에 있는 선생님의 '사랑의 매'에 대한 얘기라든지 그외에도 이 책에서는 잔잔한 감동과 함께 우리의 감성을 자극하는 내용의 만화들이 많이 있다.

내가 '광수생각'이라는 만화를 경계 내지 위에서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듯한 발언을 한 이유를 설명드리자면 대충 이렇다. 즉, 한쪽에서는 <광수생각> 이라는 만화를 통해 어린이들에 대한 끔찍할 정도의 사랑과 관심을 가지는 듯한 모습을 보이며 그리고 사회와 인류의 진정한 평화를 기원하는 듯한 메시지를 역설하면서, 다른 한쪽에서는 <조선일보>가 정치면이나 사설을 통해, 햇볕정책이 대북 안보의식을 흐리게 하며 이것이 곧 북한에 기회를 줄 수 있다는 식의 논조를 역설하면서 북한 어린이들에 대한 식량지원조차도 북한 군인들의 군량미로 비축된다는 논조를 펼치는 위선과 기만을 제대로 보고 인식하자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광수생각> 을 읽을때, <조선일보>의 사회면 연성화에 앞장서고 있는 미담코너인 <작은 이야기>와 함께 <광수생각> 을 주의 깊게 그리고 경계를 늦추지 말고 읽는 습관을 가질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 하는 말이다.

그래서 우리는 항상 글을 읽을때 나무만 바라보지 말고 숲 전체를 바라보는 즉, 텍스트에 대한 이해도 좋지만 컨텍스트를 제대로 읽는 습관을 가져야 하는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코리아닷컴 1
김진명 지음 / 해냄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에서는 인터넷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의 메시지를 우리에게 전해주는데,이는 최근 여러 언론매체가 전하는 맹목적인‘인터넷 신화’와 연관지어서도 아주 시의적절하다는 생각이 든다.즉,인터넷이‘열린 공간’으로 여겨질 만큼 그 스스로 민주적 커뮤니케이션의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는 하나 데이터뱅크나 전송망의 현저한 격차로 인해 결국은 다국적 거대자본이 최종 승리자가 될 수 밖에 없다는 조심스런 전망 같은 것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 책에서 나타난 논의와 관련, 오늘날 인터넷 정보의 90%이상이 영어로 이루어져 있는 현실 또한 인터넷이 점차 상업화되어 가면서 정보의 집중화,독점화의 문제를 낳을 수 있다는 진단과 함께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이와 더불어 정보의 홍수로 말미암아 사회구성원들이 점차 갈피를 잡아 나갈 수 없게 될 가능성과 그에 따른 정보의 통제 및 조절에 있어 특정 세력에의 의존도가 높아질 것이라는 비판적 견해도‘인터넷은 정보의 바다’라는 즉흥적인 전망에 내재해 있는 위험적 요소라는 관점에서 한 번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이러한 논의와 관련, <코리아 닷컴>이라는 책이 오늘날 인터넷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들에게 전해주는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우린 결코 쉽게 간과해서는 안 될 듯 싶다.오늘날 현대인들이 인터넷이라는 신기술이 가져다 줄 낙관적인 미래에 아주 쉽게 빠져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신기술이 과연 우리의 장래와 미래를 과연 보장해 줄 수 있을 것인지를 다시 한번 돌이켜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그리고 이러한 조심스런 비평적 전망을 통해 인터넷의 진정한 사용가치에 대한 반성과 성찰의 계기 또한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인터넷이 진정한 대안 매체로서 일반 시민 모두에게 유용하게 작용할 지,아니면 거대자본(힘있는 집단)에 의해 또 하나의 패권주의적 전략에 의한 부속물로서 기능할지는 우리가‘인터넷’이라는 신종 매체를 어떻게 인식하고,사용하고,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가꾸어 나가느냐에 따라 결정되어질 것임을 우리는 명심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51 | 52 | 53 | 54 | 55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