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총사 2
알렉상드르 뒤마 지음, 김석희 옮김 / 시공사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들은 다 천재가 아닐까..? 아.. 나처럼 느리고 머리 나쁜 인간은 절대 작가가 될 수 없을 거야...'
뒤마의 <삼총사>는 읽는 내내 글을 쓰고 싶다는 욕망과, 영원히 충족되지 않을 그 욕망에 대한 좌절을 동시에 안겨주었다. 
마침 알파고 때문에 인공지능이 인류의 미래를 암울하게 만들 것이라는 기사들을 읽었는데, 그래도 작가라는 직업은 인공지능이 절대 흉내낼 수 없는 인간 고유의 능력일 거라 생각한 참에, 그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 문학상 심사 1차를 통과했다는 기사를 읽고 나도 모르게 욕지거리가 나왔다(젠장, 인간은 미래에 뭘 해먹고 살란 말이냐? --+)
대충 이 책의 리뷰를 훑어보니 다들 어린시절에 한 번은 스치고 지나간 그런 작품인데, 난 책도 영화도 제대로 본 적이 없는 것 같다. 달타냥은 삼총사의 꼬붕 정도고, 포르토스는 장비 스타일, 아라미스는 이름이 정말 예쁘고, 아토스는 삼총사의 대장 격이며, 밀레디는 이름마저도 신비롭다 정도로 <삼총사>에 대한 인상이 남아 있었다. 그런데 뭐 구태여 주인공을 꼽자면, 스토리의 맥락을 끌고 가는 인물은 달타냥인데 왜 이 책의 제목은 '사총사'가 아니고 '삼총사'일까 하는 엉뚱한 생각도 좀 들었다. 어쨌든 생각보다 (매우) 어린 이 인물의 무모함과 어디든 무턱대고 덤벼드는 가스코뉴 사람 특유의 치기가 너무 재미있다. 이 시대 소설들이 다 그렇듯이 진짜 말도 안 되는 '우연'으로 사건이 연결되는 과정이나, 완전 유머러스하고 큭큭큭 웃음이 새어나오게 만드는 인물들의 성격과 행동들 모두 책장을 휘휘 넘어가게 만든다. 
<시그널>이 한참 방송될 때 금요일과 토요일을 몹시 기다렸던 것처럼, <삼총사>가 연재되는 날 만을 손꼽아 기다리는 뒤마 시대의 독자들을 생각하니 공감도 느껴지고 스릴도 느껴진다.
유럽에 갔을 때 아름다운 풍경을 보며, '어, 이건 책으로 보던 그림과 똑같잖아. 그림을 못 그릴래야 못 그릴 수가 없었겠군' 하며 감탄 아닌 감탄을 했었는데, 시대 자체가 소설적이라 할 만큼 파란만장 했던 소설 속의 역사를 보면서도 그런 생각이 들었다. 그런 요소들을 이렇게 재미나게 버무린 뒤마(와 집필공장의 이름 모를 수습생들)에게 진심 감사하며, 삼총사를 다 읽고 나면 이번에 우리 고전에도 많이 많이 관심을 기울여야겠다는 좀 부끄러운 생각을 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