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만근은 이렇게 말했다
성석제 지음 / 창비 / 200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집'이라는 사실을 또 잊고 있다가 책을 펼쳐본 후 '아! 맞다' 하곤 약간의 후회어린 탄성을 질렀다. 두 권 넘어가는 장편은 힘들어하고 한 권 속에 단편을 모아놓은 건 시시해하니 좀 해괴한 기호랄 수 있겠다.

어찌됐든. 여기저기 주워들어 내가 상상한 그런 유쾌함은 아니었다. 지독한 편견일지는 모르지만, 한 얼을 공유한 우리 작가들의 작품을 읽고 나면 웃겨도 종국엔 눈물을 보고야 마는 그런 아이러니가 있다. 그걸 우리들만의 '정서'라고 말해도 될지... 소위 시대를 통틀어 세계인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남의 나라 작가들의 '고전'이라는 것을 읽었을 때와는 분명 다른 느낌이다.

우선 황만근과 계철, 남가이는 바보든 미남이든 뭐라고 불리든 세상과 동떨어진 사람들의 순수함과, 그것이 잔잔한 듯 하면서도 오래 그리고 멀리까지 전달되는 호수의 파동을 보여주고 있다. 소위 돈과 권력으로는 죽었다 깨나도 부릴 수 없는 도인의 괴력이랄까. 더불어 우리의 옛 이야기에 등장하는 해학미 짙은 인물들이 성석제의 펜끝으로 되살아난 듯, 무의식의 원형을 슬그머니 깨워낸 듯 몽롱한 시차를 느끼게 된다.

그 와중에 '동환'과 '당숙'의 에피소드는 사실 무엇을 말해주는 사람들인지 잘 모르겠다. 그게 단편의 약점인지 헛점인지는 모르겠으나 중간과 결말의 사이에 놓여져야 할 해결의 과정이 생략되어있다고 해야할까. 연방 '문학'을 통해 전화를 해도될지를 물어오는, 자신의 인생을 그렇게 시종일관 폐허같은 변두리 술집 속에 처박아두는 동환에게 성질을 부리는 그와 함께, 나도 '동환'에게 성질이 났던 것만은 사실이다. 또 책을 좋아한다고 말하기엔 벌써 그 시작부터 약간 자폐적인 당숙의 책 이야기는, 그 당숙이 초점인지 아니면 책을 이사하는 과정의 소소한 번거로움이 초점인지는 모르겠지만 어떻든 그 '소소한 번거로움'의 황당함이 재미있게 묘사되어 있다.

모랄까 이 단편집의 재미는 몇 개는 인물과 스토리의, 또 몇 개는 성석제식 입담의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해주는 종합선물세트라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