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라스무스 [Erasmus, Desiderius, 1469.10.27~1536.7.12]

 

로테르담 출생. 사생아로 태어나 9세경부터 수도원에서 양육되어, 20세경에 정식으로 수도사()로서의 서원()을 하였다. 1493년부터 캄브레의 주교 베르고프 존(Berg-op-Zoon)의 비서가 되고, 그의 원조를 받아 1495년부터 파리대학에서 신학을 연구하였으나, 이 시절부터 경화()된 가톨릭 교회 제도에 대하여 서서히 비판적인 경향을 띠었다. 주로 고전 라틴문예연구에 몰두하고, 생활을 위하여 영국 귀족의 아들에게 라틴어의 개인교수를 하며, 1499년에는 함께 영국으로 건너가 T.모어, J.콜렛 등의 인문학자와 알게 되었다.

특히 콜렛의 <바오로 서한> 연구에 자극을 받아 이듬해 파리로 돌아오자 그리스어 공부를 다시 시작하면서 성서연구에 몰두하였다. 그 성과는 《그리스도교 전사필휴()》에 제시되었다. 1506년에는 이탈리아의 각 도시를 역방()하였으며, 1509년에 이탈리아에서 영국으로 여행하던 중에 착상하였고, 런던의 모어의 집에서 단숨에 써낸 것이 유명한 희문() 《우신예찬() Encomium Moriae(Laus Stultitae)》(1511)이다. 이 내용은 ‘어리석음의 여신()’이 세상에는 얼마나 어리석은 짓이 많은가를 열거하며 자랑을 늘어놓는 형식을 취하여, 철학자 ·신학자의 공허한 논의, 성직자의 위선 등에 대한 날카로운 풍자가 서술되었다. 1461년 그리스도교 군주들 사이에서 그리스도교적인 평화가 체결되기를 간절하게 희망한 《그리스도교 군주의 교육》을 간행하였다. 또 그리스어 《신약성서》의 최초의 인쇄 교정본()을 간행하고, 《히에로니무스 저작집》을 간행하는 등 다채로운 활동을 하여 인문주의자의 왕으로 추앙받게 되었다. 만년은 고국에 돌아가서 바젤에서 살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그는 교회의 타락을 준열하게 비판하고, 성서의 복음 정신으로의 복귀를 역설하였으므로 제자들 중에서 많은 종교개혁자가 나왔다. 휴머니즘()이란 ‘보다 인간적인 학예’를 초래하려는 운동인데, 가톨릭 교회에 속하는 에라스무스가 ‘그리스도교의 복위·복원’을 원하여 가톨릭 교회 제도를 비판하고, 성서의 교정을 하고, 고대학예를 소개함으로써 경화된 사고방식 ·견해를 시정하려고 한 것은 바로 휴머니즘의 정도를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1417년부터 M.루터종교개혁운동이 격화하는데, 에라스무스는 가톨릭 교회에 대한 비판은 할지언정 이것에 반역하는 것은 좋아하지 않았다. 루터의 지나치게 정열적인 실천행동에는 동의할 수 없었으며 여러 차례 루터로부터의 유혹이 있었지만, 그와 행동을 같이하기를 거부하였다. 중년 이후부터 만년의 에라스무스는 그에게서 비판을 받은 가톨릭 교회 내의 광신자들과 그가 추파를 던지면서도 좀처럼 한편이 되어 주지 않는다고 분노하는 신교도 중의 광신도들 사이에 끼어 곤경에 처하였다.

에라스무스의 영향은 전유럽에 미쳤는데, 세계주의적 정신의 소유자로서 근대자유주의의 선구자이며, 특히 프랑스의 16세기의 문화사상사에 미친 영향은 뚜렷하다. 저서에는 주로 라틴어로 쓴 신학적인 것이 많으나 문학작품으로 현재까지도 유럽의 사려깊은 사람들의 마음의 양식이 되는 《격언집() Adagia》(1500) 《우신예찬》(1511) 《대화집() Colloquia》(1518) 등을 들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