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차이나

일반적으로 옛 프랑스령 식민지인 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 3개국을 가리킨다. 이들 세 나라는 예전에는 모두 독립왕국을 건설하고 있었으나 19세기 후반 이래 프랑스의 식민지로 있다가 제2차 세계대전 후 독립을 되찾았다.

인도차이나 독립

19세기 말 이후 인도차이나 3국(베트남·라오스·캄보디아)은 프랑스 지배하에 있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군의 진주로 1945년 3월 프랑스 세력은 무너지고 일본세력을 업은 베트남의 바오다이황제, 캄보디아의 시아누쿠왕(), 라오스의 시 사왕봉왕이 등장하였다. 그해 8월 일본의 패망으로 일본의 괴뢰()였던 안남()의 완조() 정부를 무너뜨린 베트남 독립동맹(베트민)은 9월 2일 호치민[]을 주석()으로 하는 베트남 민주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하였다. 한편 라오스에서는 반프랑스 조직인 자유라오스, 캄보디아에서는 총리 손곡탄(Son Nogoc Tanh) 등이 중심이 되어 지난 3월의 독립을 재확인하였다.

그러나 인도차이나 3국의 영유() 부활을 꾀하던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사이공에 상륙한 프랑스군은 베트남군과 군사충돌을 되풀이하였다. 평화교섭에 의한 독립을 희망하는 베트남측은, 1946년 3월 프랑스와의 사이에 프랑스군의 베트남 북부 진주()와 프랑스 연방의 테두리 안에서의 독립을 승인한다는 독립예비협약()을 체결했는데, 남부 문제를 협의한 그해 4월의 다라트(Darat) 회의 후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에서 남부의 분리를 기도하여, 사이공에다 코친차이나(Cochin China) 임시정부를 세웠다.

그래서 독립 본협정()을 토의하기 위하여 7월에 파리 남쪽의 퐁텐블로에서 열린 회의는 결렬되었고, 1946년 11월 북베트남 주둔 프랑스군의 전면공격개시를 계기로 하여 12월에 양국간에 전면 전쟁이 일어났다. 현대식 장비를 갖춘 프랑스군의 침공에 의하여, 년 2월 위에의 함락에 이어 하노이를 철수한 월맹군은 프랑스의 무조건 항복 요구를 거부하고 산악지대로 지휘본부를 옮겨, 철저한 항전태세를 취하였다. 1947년 가을 베트바크 지방에서 프랑스군의 진격을 저지시키고, 1948년부터는 반격으로 돌아섰다.

이 사이에 프랑스는 코친차이나 임시정부를 베트남 임시 중앙정부라 개칭한 뒤, 1949년 6월 해외에 망명 중인 완조()의 바오다이 황제를 주석으로 맞이하여 사이공에 친프랑스적인 베트남 정부를 세워, 그 군대를 프랑스군과 연합시켜서 월맹과의 전쟁을 계속함과 동시에 미국으로부터 원조를 받고, 또 미국으로 하여금 바오다이 정권을 승인시켜 이 전쟁에 개입시켰다. 그러나 1950년 이후, 월맹의 총반격에 직면하여 프랑스·바오다이군은 각지에서 전쟁의 주도권을 빼앗겼다.

한편 1945년 10월 캄보디아프놈펜에 진주한 프랑스군은 캄보디아의 독립 선언을 취소하고 자기 세력하에 두려 하자 손곡탄파는 프놈펜을 탈출, 자유 크메르를 결성하고 대프랑스 항쟁에 돌입하였으며, 라오스에서도 같은 해에 라오스 임시정부를 수립, 프랑스군에 대한 항전에 들어갔다. 이와 같은 상황하에서 국제여론의 준엄한 비판을 받게 되자, 프랑스는 결국 전쟁의 속행을 포기하였고, 1954년 4월 인도차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제네바 9개국 국제회의에 참석하였으나, 5월 디엔비엔푸의 싸움에서 결정적인 패배를 당하여 제네바 회의의 결과 7월에 체결된 휴전협정에 조인함으로써 인도차이나에서 전면적으로 철수하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