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과 6펜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8
서머셋 몸 지음, 송무 옮김 / 민음사 / 200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친근하고 예쁜 제목인데, 책 내용은 좀 그로테스크하다.
이 작품에 대한 일반적인 해석으로 보아 '달'은 비물질적이고 자유로우며 이상적인 세계를, '6펜스'는 물질적이고 억압적이며 현실적인 굴레와 같은 세계를 가리킨다는데 어쩐지 그러기엔 6펜스가 너무 보잘것 없어 보인다.
민음사 책 표지에 투박한 고갱의 자화상이 그려있어, 찰스 스트릭랜드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고갱을 오버랩시키지 않을 수 없었다.

천재란 이 세상에 태어나지 말았어야 할 존재 중 1순위일 것이다. 어딘가 다른 가치관, 다른 질서가 존재하는 세계가 있다면 그곳으로 가야할, 마치 천상의 법을 어겨 지상으로 나락한 루시퍼같은 존재 말이다. 그들은 자신이 신과 같은 능력을 지녔고, 그래서 범인들을 내려다보며 야유하는 이질적 종이지만 그래서 고독하고 측은하다. 그들은 이 세상의 법칙을 무시하며 득의만만하게 홀로 살아갈 수 있을 것처럼 오기를 부리지만, 천재들의 능력을 부러워하며 그들의 독설을 받아주고 그 천재성을 읽는 건 역시 범인들이다.
스트릭랜드 또한 여타 천재들처럼 사후에서야 세간의 인정을 받게 된다. 그러나 그림을 그리는 동안 그는 호의든 생계의 이유든 간에 예술에 문외한인 사람들에게 자신의 그림을 준다. 그림을 받은 이들은 미사여구나 전문적 시각이 아닌,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마음 속 깊은 곳으로부터의 영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의 천재성을 알아본다.

천재란 무릇 그 능력 뿐만 아니라 기이한 습성이나 괴팍한 성격 등으로도 이목을 끈다. 스트릭랜드 또한 그런 면에서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데, 특히나 고집스런 이기주의와 세상에 대한 무심함이 타히티로 가기 전의 그를 파렴치한으로 판단하게 만든다. 자신의 예술적 욕구와, 어쩌면 부유하며 안주하지 못하는 본성 때문에 두 여자의 생을 내팽개친 그의 냉담함 앞에선 예술의 숭고함이 무슨 소용인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타히티라는 자유의 지대에 속했던 아타의 무조건적인 순종은 빠리라는 굴레의 지대에 속한 블란치의 광란의 사랑과는 비교할 수 없는 '순수성'을 지녔다. 처음엔 그 또한 이중성을 지닌 한 남자일 뿐이라고 생각했으나, 블란치의 죽음 앞에서 그토록 무책임했던 스트릭랜드가 아타의 가장 미천한 두 다리를 붙잡고 눈물을 흘렸을 때에야 비로소 문명 세계의 여인들은 그가 추구하는 세계에 속하지 않았음을 이해했다.

이 책의 '나'에게 스트릭랜드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등장인물은 그가 '순수한 아름다움'을 추구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그 '아름다움'도 이 보편세계의 평범한 것이 아니라 근원에 접근한 단순화되고 일그러진 형이상학적 아름다움이다. 그러한 지고의 아름다움을 체득하기 위해 스트릭랜드는 보통 사람이라면 견뎌내지 못할 무수한 상황들을 담담하게 이겨낸다.

아직은 인간이 살 수 없는 달의 세계를 꿈꾸며 고독한 행복을 갈구하는 천재와, 모든 것이 안정되고 함께 6펜스 만으로도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누군가가 곁에 있는 범인의 삶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무엇을 선택하겠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