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 인명사전
아멜리 노통브 지음, 김남주 옮김 / 문학세계사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원작 제목인 Robert des noms propres는 프랑스의 로베르 출판사에서 발간하는 사전의 한 종류이다. 사실 이 사전은 인물 뿐만이 아니라 문화, 역사, 지리, 예술 등 광범위한 분야에 걸친 고유명사들에 대한 사전인데, 아무래도 이 소설속에서는 특별한 '이름'을 갖게된 한 여자의 운명이 부각되었기 때문에 '로베르 인명사전'이라는 제목을 붙인 것 같다.

이 소설 속에는 로베르 인명사전이라는 제목에 걸맞게 이름들이 많이 등장한다. 주인공들의 이름들이나, 장차 아기에게 붙여질 이름들은 이름이 가지는 예외성에 주목하게 한다. 탕기Tanguy, 조엘Joëlle, 클레망스Clémence, 다비드David 같은 고전적인 이름들이나, 플렉트뤼드Plectrude, 엘뢰테르Eleuthère, 뤼트가르드Lutegarde, 아르시노에Arsinoé 같은 고딕풍 이름들이 그것이다.
장차 예외적인 존재가 될 한 아기의 엄마는 탕기나 조엘 같은 평범한 이름을 거부하고, '거친 운명을 예고하는 몽환적인 이름들' 가운데 하나인 플렉트뤼드라는 이름을 아이에게 지어준다. 엄마의 바램 혹은 예견대로 아기는 그 이름을 통해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를 예외적인 존재로 만드는 방법을 알게 된다. 이름이 그녀에게 부여한 특별한 운명 때문에 어쩌면 그 특별한 삶에서 실패를 겪게된 플렉트뤼드는 발레리나가 아닌 성악가로 살아가기로 용기를 내고, '자신이 겪은 백과사전적 범주의 고통과 어울리고 사전의 이름이기도 한 "로베르"라는' 이름으로 개명한다. 이름이 바뀌면서 또 한번 그녀의 운명도 바뀌는 것일까?
아마도 그렇다고 해야할 것이다. 아멜리는 로베르로 개명한 그녀에게 살의를 부추기며 이번엔 그녀의 운명을 살인자로 결정한다.

이름은 정말로 '특별한 운명을 약속하는' 것일 수도 있고, 어쩌면 플렉트뤼드라는 이름을 얻기 전부터 그녀의 운명이 기구했던 것처럼 우연적 결합의 소산일 수도 있다. 사람들은 누군가를 기억할 때 이름을 통해 그 사람을 총체적으로 떠올린다. 아무리 얼굴이나 습관이 기억나도 이름이 기억나지 않으면 뭔가 석연치 않음을 느낀다. 이름은 얼굴만큼이나 한 사람의 정체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일찍이 김춘수 시인이 '꽃'에서 말한 것처럼 이름은 한 사람에게 어떤 의미를 부여하여 완벽한 한 존재가 될 수 있게끔 한다. 굳이 로베르 인명사전이라는 제목과 이 책들에 나타난 수많은 이름들과의 관계를 나름대로 해명해 보자면 이렇다. 로베르 사전에 기록된 이름들이 물론 인류 전체로 봤을 때는 숭고한 업적 혹은 그 반대의 이유 때문에 사전에까지 기록되었겠지만, 그 화려한 혹은 악명 높은 업적의 이면에 간과된 개개인의 운명이 존재함을 돌아보고자함은 아니었을까.

아멜리 노통브의 책은 읽고나면 언제나 약간의 허탈감이 남는다. 그것을 낯설음이라 해야할지 어리둥절함이라 해야할지, 아니면 그 모든 것이라 해야할지는 모르겠으나 한 번의 독서로는 어쩐지 그녀의 의도가 명쾌하게 들어오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특히 짧으면서도 충격적인 결말을 지닌 이 책은 뭔가 중간에 뚝 잘린 듯한 느낌을 주며, 좋게 말하면 독자에게 무한한 상상력의 여지를 남겨주고, 나쁘게 말하면 주인공의 운명을 '작가 살해'라는 파격적 결론으로 유예시킨 듯한 느낌을 준다.

또 여기에는 지독한 나르시시즘, 자신이 이루지 못한 꿈을 자식을 통해 이루려는 부모의 이기주의, 집착과 완벽주의 등 여러가지 정신병리학적 현상들이 보여진다. 공주 혹은 신으로 표현되는 여자 아이의 시선은 그것이 억압된 혹은 그러한 것들을 꿈꾼 작가 자신의 시선에 다름 아니다. 그녀의 이번 책은 특히나 더 아멜리를 정신분석학적으로 해부해보고자 하는 욕망을 불러일으킨다.

어떻든 이제 아멜리 노통브는 죽었다. 그녀가 영영 다음 소설을 쓰지 않을거라고는 믿지 않는다. 다만 다음 소설에서 그녀가 어떻게 부활할지 기대해 볼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