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사물을 대립하는 2가지 규정의 통일로서 파악하는 방법. 예컨대 <사랑은 충족과 결핍의 통일이다> 등이다. 동일물(同一物)이 대립한 규정을 갖는 것은 속담이나 전승문학(傳承文學)에 어떠한 것에든 일면적(一面的)인 견해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하는 훈계로서 이야기되고 있다. 여기에서 회의주의자(懷疑主義者)는 어떠한 일에도 일의적(一義的)인 규정을 부여할 수가 없다고 생각하고 <아무 말도 할 수 없다>라고 하는 결론을 도출한다.

어떤 사람에게는 단 것도 다른 사람에게는 쓰다. 그러나 하나의 행위가 한쪽 면에서는 선이고, 다른 한쪽면에서는 악이 된다면 행위를 하는 사람은 비극에 빠진다. 집안의 법도를 지켜서 오빠를 매장한 안티고네의 행위는 반역자의 매장을 금하는 국법에 비추어 보면 죄이다. 비극만이 아니다. 희극 예컨대, 《피가로의 결혼》에서도 자기 아내를 하녀로 잘못 알고 유혹하는 백작과 같이 동일물이 대립하는 규정을 가진다.

변증법의 원형은 속담·회의(懷疑)·비극·희극 등에서 볼 수 있다. 그 대립의 통일·모순을 실제와 필연으로 볼 것인가, 우연과 가상으로 볼 것인가. 운동의 존재를 주장하는 일에 내포되는 <아킬레스와 거북>과 같은 모순을 지적하여 운동·변화·다양의 존재를 부인한 제논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하여 변증법의 아버지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제논의 논리를 인정하고 또한 운동의 존재를 인정하는 사람은 <운동이 모순의 실재를 증명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만물은 유전(流轉)한다>고 말한 헤라클레이토스는 <사람은 같은 강에 2번 들어갈 수가 없다>고 말한다. 그에 의하면, 우주는 끊임없이 타서 스러져가는 불과 같은 것이다. 정지하여 존속하고 있는 물체도 실제로는 2개의 대립하는 힘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불안정한 상태이다. 근대에 와서도 G.W.F. 헤겔은 존재를 끊임없이 신진대사에 의하여 자기를 외계로 분해시키면서, 동시에 자기를 재생산함으로써 동일성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파악하고 있다. 대립하는 힘의 균형이라고 하는 본질이, 정지한 존속이라고 하는 현상을 지탱하고 있다.

변증법의 어원에 해당하는 그리스어의 디알렉티케(dialektike)란, 문답법이라는 뜻이다. 플라톤의 저술에서는, 소크라테스의 비판에 응답하면서 진리에 도달하는 방법, 부정(否定)을 통하여 정신이 진리에까지 도달하는 과정이 변증법이다. 부정을 통하여 고양하는 정신은 동일한 정신이다. 헤겔에 의하면, 정신뿐만 아니라 발전·성장·변화하는 것에는 <달라져 가면서 동일(同一)을 유지한다>고 하는 <대립의 통일>이 내포되어 있다. 발전·변화의 한계점에서는 다른 것이 같은 것이다. 이 한계의 모순성이 수학에서는 미분으로 표현되는 극한점에서 성립한다. 그래프 위의 접점으로 표시되는 극한점에서는 곡선이 직선과 같다. 미분의 변증법적인 해석에는 <점의 본질적인 규정으로서 인접점과의 관계가 포함된다>고 하는 원리가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원리를 확장하면, <어떤 것의 본성에는 다른 것과는 다르다고 하는 등의 관계가 내재한다>는 말이 된다. 이것은 <관계는 실체와 마찬가지로 실재한다>고 하여도 같은 말이다. 여기에서 다시 <내적인 본질이란 다양한 관계의 집약이다>라고 하는 규정을 도출하면, 문제는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과의 관계라고 하는 구조로 투영된다. 헤겔은 동일한 구조를 마음의 내성(內省) 속에서도 발견한다. 마음이 그 마음을 의식할 때 의식하는 마음과 의식되는 마음은 동일하면서 또한 동일하지 않다. 주관으로서의 마음과 객관으로서의 마음이 동일하기 때문에 외부의 매개를 거치지 않은 직접적인 지각이 성립된다. 예컨대 산을 보고 있는 나는 자기가 <산을 보고 있다>고 하는 사실을 알고 있으며 <본다>고 하는 의식활동을 의식하는 반성의식은 보는 의식과 동시에 작용하는 동일한 의식이다. 그러나 아는 주체와 알려지는 객체라고 하는 작용면에서의 구별이 있다. 따라서 내성·반성 속에는 <구별 없는 구별>이라고 하는 대립자의 동일이 포함된다.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 본질과 현상, 하나의 이데아와 많은 개체, 의미하는 것과 의미되는 것, 주관과 객관은 내성·<자기의식>이라는 구조를 매개로 하여 통일된다. 헤겔은 신플라톤파가 주장하는 <이데아의 유출>이나, 그리스도교적인 <성육신(成肉身)>이라는 개념을 이것을 통하여 합리화한다. 그 결과로 생겨나는 <사물에 대한 파악>, 즉 개념은 본질이라고 하는 보편, <이것>이라고 하는 개별 본질이 개별화되어 있다고 하는 매개관계 그 자체(특수)가 포함되어 있다. 이것을 요약하면 <사물이란 추론(보편·특수·개별의 종합)이다>가 된다. 헤겔은 <3요소의 일체>라고 하는 신플라톤파의 관념을 그리스도교의 <삼위일체>에 중합시켜 근대범신론의 토대 위에 재정립하였다. 종래 헤겔의 변증법은 정립(테제)·반정립(안티테제)·종합(진테제)의 3단계(줄여서 正·反·合)로 구성되는 논리라고 설명되어 왔으나 이 어법은 헤겔의 텍스트 속에는 없다. J.G. 피히테의 용어를 빌려서 헤겔변증법을 설명한 것이다. 헤겔의 변증법에서는 수(數)의 연속체에서 한계의 변증법, 등질성의 변증법과 안과 밖의 변증법, 비등질성의 변증법이 종합되어 있지만, S.A. 키에르케고르의 <질적 변증법>에서는 비등질성 속에 역설적인 것이 도입된다. 예컨대 <예수와 자기와의 2000년을 사이에 둔 동시성(同時性)>이라는 개념이 있다. K. 바르트의 <변증법신학>에는 신인(神人)의 절대적인 단절 속에서 존재의 동일이라고 하는 사상이 있다. 키에르케고르·바르트의 사상은 연속성·등질성을 거부한 단절에서 역설적인 매개가 변증법의 개념을 형성하고 있다. 마르크스주의에서는 인식 이전의 물질의 구조가 정신에 반영되어 변증법의 구조가 된다고 주장하였다. 자기의식의 내성구조의 변증법성을 부인하고, <관계의 실재성>이라는 존재론적인 규정으로서 변증법을 받아들이고 있다. → 문답법 → 헤겔 → 테제 → 정·반·합 → 변증법적 유물론

*출처 : 엥빠스 앙씨끌로뻬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