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연주회가 시작되기 직전, 무대에 오른 오케스트라 단원들은 저마다 악기를 들고 조율을 하거나 음을 맞춰본다. 그 중에서 내 눈길을 끄는 것은 육중한 몸매의 콘트라베이스. 언제나 맨 뒤켠에서 오케스트라의 튼튼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악기이다. 그렇지만 스폿라이트는 항상 무대 중심을 비추고 자그마한 악기들이 바쁜 손놀림으로 연주회 내내 음색을 뽐낼 때에도, 콘트라베이스는 드문드문 '둥둥' 소리를 내지만 그마저도 배경 속으로 사라져 우리들의 귓가엔 있으나마나한 것으로 치부된다.

콘트라베이스 혹은 그 주자는 마치 연극무대에서 '지나가는 여인1'의 배역과도 같다. 주연도 조연도 아니지만 그가 없다면 연극의 맛이 살지 않는 것처럼, 있을 때는 그 존재감을 잘 느끼지 못하지만 그것이 빠져버리면 '연주음이 흩어져 버린다'. 콘트라베이스의 소리는 대규모 오케스트라보다는 소규모 재즈밴드에서 더욱 잘 느낄 수 있다. 콘트라베이스를 퉁길 때 나는 '둥둥거림'은 낮은 주파수 때문인지 귀로 듣는다기 보다는 가슴의 울림을 통해 느껴진다고 할 수 있다.

모랄까... 이 책은 자신의 가치를 잘 알아주지 못하는데서 오는 히스테릭한 변명들로 이루어진 독백같다. 고백하건데 이 책을 처음 접했을 때 왠 흰소리인가, 머리속에도 잘 들어오지 않고 해서 초반부 즈음에서 책을 덮어버렸더랬다. 그리고 아주 많이 시간이 흐른 뒤 연주회에 갔다가, 높은 음색의 악기들이 서로 잘 조화하도록 아랫부분을 채워주는 콘트라베이스 소리를 귀여겨 듣고 다시 책을 읽게 되었다. 그리고 그제서야 마음 편히 콘트라베이스 주자의 넋두리를 들을 수 있었다.

쥐스킨트는 사회 내에서 소외받고 적응하지 못하며, 우리의 이해와 관심의 시선에서 빗겨간 사람들을 즐겨 소설의 주인공으로 삼는듯 하다. 그의 손가락과 콧날만큼이나 섬세한 필치로 소외된 자들의 괴짜같은 표면 뒤에 숨겨진 아픔과 진실을 잔잔하게 그려낸다.

나와는 아무런 상관도 없던 한 권의 책이 이렇게 내 경험과 맞물려 마음 속으로 폭 내려 앉는 느낌이야말로 독서의 즐거움이 아닌가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