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도서관 - 소설로 읽는 책의 역사
요슈타인 가아더.클라우스 하게루프 지음, 이용숙 옮김 / 현암사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처음 책을 펼쳐 몇구절 읽었을때 '어, 이거 책 잘못 산거 아냐, 좀 유치하기도 하고... 사촌 동생에게나 줘버려야겠군.'하는 오판을 했다. 약속 장소로 가는 지하철에서 재생지로 만들어진 이 가벼운 책을 읽으면서, 나의 성급한 판단을 후회했다. 오히려 내 유년시절에는 누락되어버린 이러한 지적 탐구의 기회를 가진 닐스와 베르테가 부러울 따름이었다.

초등학생때의 예의 그 '독후감'이라는 단어는 참으로 높고, 어렵고, 딱딱하기만 했다. 마음에서 우러나오지도 않는 단어들을 쥐어짜서 그것들을 원고지라는 감옥속에 감금시키는 기분.. 강압과 의무, 억지라는 단어들과 동일시되는 '숙제'였다.
그렇지만 닐스와 베르테는 모험을 둘러싼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전과 책을 보며 (나름대로) 철저히 사전조사를 하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엉뚱하리만치 기발하게 서로에게 전달한다. '편지책'이라는 형식을 통해 이들은 자연스런 '독후감(->소논문)쓰기'를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닐스와 베르테가 찾아나선 '비비 보켄의 마법의 도서관'은 누구나의 마음 속에 하나씩 들어있다. 그렇지만 다른 이의 책을 읽지 않고, 나의 생각을 표현해내지 않으면 그 마법의 도서관은 영원히 주문이 풀리지 않은채 지도에도 나와있지 않은 터널 속에 파묻혀 있을 것이다.

이들이 '편지책' 속에 인용하는 대단히 함축적인 시들 중 하나를 인용해 볼까 한다.

- 두 다리로 땅을 딛고 서 있는 사람은 말없이 조용히 서 있다.

'이 한마디가 글쓰기와 독서에 관해 많은 이야기를 해 주고 있다'는 닐스의 말에 전적으로 공감하며, 읽은 것을 마음 속으로만 간직하고 토해내어 자기 것으로 만들지 않는 사람은, 아름다운 산에 올라 '야호'도 하지 않고 밋밋하게 그냥 내려오는 사람과 같다는 생각을 해 본다.

그리고 내 '마법의 도서관'에 쌓여 있는 책들을 빨리 흑마술에서 풀어주어야 겠다는 생각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