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 1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지음, 황보석 옮김 / 문학동네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옆에 앉은 동료가 <베로니카 죽기로 결심하다>를 도서관에서 빌려와서 나도 그 책을 한번 읽어보려고 인터넷에 주문을 했는데, 배송료 시스템이 바뀌는 바람에, 배송료를 물지 않기 위해 다른 책을 두권 더 주문했다.그래서 고른 책이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라는 책이다. <베로니카...>는 브라질 작가, <나는...>은 페루작가의 소설이다.

주인공 마리토와 훌리아 아줌마의 이야기를 중심 축으로 중간 중간에 마리토가 일하는 라디오 방송국의 연속극 스토리가 삽입된다.처음에는 갑자기 색다른 주인공들의 이야기가 나오고 결말도 제대로 맺어지지 않은 채 끝이나서 어떻게 된건가 궁금했는데, 책 접지 부분에 개요문을 보니 의문이 풀렸다. 

액자 소설의 변형이라고 해야하나.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1권의 후반부터 계속적으로 발자크에 버금갈 만한 페드로 카마초의 필력이, 아니 그의 기억력이 그 힘을 잃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한꺼번에 4개의 라디오 연속극 극본을 쓰고 있는데, 그래서 마치 발자크처럼 공장의 기계처럼 글을 토해낸다. 교정은 커녕 다시 읽어보는 일도 없이, 그리고 자신의 문체를 해칠까봐 다른 작가들의 글을 읽어보는 일도 없이 그는 쉬지 않고 기계를 돌린다.

하지만 청취자들의 항의가 올 정도로 연속극의 등장인물들이 서로 섞인다. 즉, X시 연속극의 등장 인물이 Y시 연속극에 등장하고, 또 Y시 연속극의 등장인물이 Z시 연속극에 등장하는 식으로 서로 섞여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그것은 그의 능력이 소멸해가는게 아니라 페드로 카마초에 의해 창조된 인물들이 정말로 생명을 얻어 스스로 다른 시간대의 연속극에 등장하는 것이라고 그는 설명한다.

'내 머리는 물론 아이디어들로 화산처럼 들끓고 있어. ... 사기를 치는 건 내 기억이라고. 그러니까 내 말은, 그 이름들을 애기하는 거야. 나 이거 자네한테만 하는 얘긴데, 자네는 내 친구니까. 등장인물들을 뒤섞는 건 내가 아니라 그것들이 저절로 섞이는 거라구. '

역시 발자크는 모든 소설가들의 아버지이다. 도처에서 그의 기법을 모방(좋은 의미에서)하는 작가들이 보인다. 발자크 소설의 인물들은 하나의 작품 속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그가 창조한 소설들 속에서 자유롭게 활동한다. 경계를 잊은채. 혹시 이것이 마리오 바르가스의 발자크적 인물기법에 대한 경쾌한 추리라면, 페드로 카마초가 실은 저절로 인물들이 섞여드는 것이라고 주장하는 그것이 발자크의 작법에 대한 해답이 될 수 있을까.

어제밤에 책을 다 읽었다. 조금 실망스러운 결말이다. 해피엔드에 너무 길들여져 있는 탓일까. 자신의 능력을 너무 일시적으로 소진해버린 한 천재 작가의 놀라운 능력과, 훌리아 아줌마와의 결혼을 위해 노력한 모든 사람들의 땀에 비해 결말이 너무나 허무하다. 그렇다고 이러한 식의 결말이 마구잡이식이라거나 구성이 불안정하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이 소설의 중심축을 이루었던 우여곡절의 두 축이 너무도 쉽게 스러진 것에 대한 아쉬움이랄까. 어떻든 인생은 이렇게 흥망성쇄를 거듭하는 것이 그 법칙인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