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란 무엇인가
김영민 지음 / 어크로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에 한 챕터씩 천천히 읽었다. 중간중간 들어간 농담들이 내내 좀 아재개그처럼 썰렁하고 싱겁다 생각했는데, 에필로그를 읽다 빵 터졌다. 아무래도 저자의 끈질긴 개그코드에 세뇌가 된 것 같다. 학교를 졸업하고 40대가 된 마당에 무슨 공부를 해야 할까 늘 마음속으로만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객관식 사지선다의 정답 같은 명확한 답변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 방향성을 얻었고 내가 지금 하고 있는 대로만 해도 늙어서 꼰대 소리 들을 확률은 좀 낮아지겠구나 하는 생각에 마음이 가벼워졌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최근에 생긴 한 가지 두려움은, 내가 지금 우리 부모님과의 사이에서 느끼는 세대 간 소통의 장벽 같은 것을 우리 아이들이 나에게서 느끼면 어떡하나 하는 것이다. 부모님에게 나는 착한 딸이니까, 아니 착한 딸이어야 하니까 조금 의견이 달라도 그냥 ‘네네’ 하며 비위를 맞춰드리는 게 일상이 되었다. 가장 큰 문제는 애초에 다른 의견 제시 자체를 부모님이 용납하지 못하게 되신 것 같다는 점이다. 그야말로 ‘생각의 근육’이 굳어버려서 다른 쪽으로는 고개조차 돌릴 수 없는 경지에 이르렀다고나 할까. 
그런 면에서 내게 공부는 생각의 근육을 키우는 것뿐 아니라 항상 젊음의 상태로 유연하게 유지하는 행위이며, 그렇게 되기를 간절히 바란다. 공부란 늘 새로운 지식을 받아들일 자세가 되어 있어야 하며, 그렇다는 건 몸은 늙어도 마음은 늙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하나의 생각이 아니라 두 개의 생각, 즉 복수의 생각을 전제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 새로운 대상을 경험할 수 있는 여행이나 독서가 창의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은 바로 그 때문이다.
자기 관심 영역에서 경험이 일정 정도 쌓이고 나면, 경험 대상을 새로운 영역으로 확대해야 한다. [...] 한국을 공부하는 사람도 동유럽을 알아야 하고, 현대를 공부하는 사람도 중세를 알아야 하고, 경제학을 공부하는 사람도 시를 읽을 필요가 있다. 관습이라는 감옥에 갇히기 싫다면.
여러 경험과 생각이 쌓여서 하나의 성채를 이루고 나면, 그 성 내에는 일정한 온실효과가 발생하여, 이런저런 입체적인 잡생각이 추가로 생겨난다.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일견 별로 관계없어 보이는 생각과 경험들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용기라는 덕목이 필요하다. - P133

물론 갑자기 큰 용기를 내는 일은 누구에게나 어렵다. 그래서 아주 작은 일에서부터 용기를 낼 필요가 있다. 자신의 생각이 혹은 자신의 글이 원래 계획했던 결론으로 나아가지 않을 때 겁을 먹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어쩌면 자신의 글이 진짜 창의적이 되고 있다는 신호일 수 있다. 뭔가 엉뚱한 길로 간다는 것은 위험하지만 멋진 일이다. - P134

여유가 필요하다는 말이 곧 자신을 편한 상태에 두라는 뜻은 아니다. 어렵게 손에 쥔 여유를 가지고 과감하게 험지로 떠나야 한다. 너무 안온한 환경에 자신을 방치해두면, 새로운 생각을 할 역량 자체가 퇴화해버릴 것이다 - P137

미국의 작가 수전 손택은 말했다. "독서는 재게 유흥이고 휴식이고 위로고 내 작은 자살이에요. 세상이 못 견디겠으면 책을 들고 쪼그려 눕죠. 그건 내가 모든 걸 잊고 떠날 수 있게 해주는 작은 우주선이에요." - P139

아르헨티나의 소설가 보르헤스는 말했다. "가장 행복한 것은 책을 읽는 것이에요. 아, 책 읽기보다 훨씬 더 좋은 게 있어요. 읽은 책을 다시 읽는 것인데, 이미 읽었기 때문에 더 깊이 들어갈 수 있고, 더 풍요롭게 읽을 수 있습니다." - P142

그때 이후로 책에 대한 물욕을 상당히 버렸다. - P157

책을 사야 한다는 것은 그것을 간수할 공간까지 사야 한다는 의미다. - P160

예측 불가능한 미래를 향해 자신의 인생을 던지는 위엄이 기획자에게도 있다. - P196

취향을 넘어선 자기합리화가 일정 정도 타당성을 얻어, 마침내 상대를 설득하고자 할 때 비로소 견해라는 것이 확립되기 시작한다. - P2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