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주를 만지다 - 삶이 물리학을 만나는 순간들
권재술 지음 / 특별한서재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밤하늘의 별들처럼 동떨어져 우리의 삶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한 물리학이, 우주가 바로 삶 속에 있음을 배우게 되었습니다.

[우주를 만지다], 우주를 지구 밖의 세상이라고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믿을 수 없는 말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사는 여기가 우주라는 말을 듣는 순간, 세상 어디라도 우주 아닌 곳이 없다는 시를 만나는 순간 내가 곧 우주였음을 알게 됩니다.

하늘과 별과 바람을 노래하는 시인의 삶에도 물리학은 존재합니다.

‘물리학자이며 시인이 들려주는 과학 에세이‘라는 문장을 따라 들어와 우주를 만나고, 춤을 추고, 방랑을 시작 합니다.

물리학을 아무리 쉽게 설명 하더라도 겉만 살짝 만져보고 도망치기를 반복하던 저와 같은 일반인에게 인문학을 겸비한 상냥한 시인의 언어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센타우리까지 빛의 속도로 4광년 떨어져 있어서 지금 그 별을 본다는 건 불가능하고, 다만 4년전에 출발한 별빛을 지금 보고 있다며 ‘과거를 본다‘의 의미를 설명합니다. 심지어 밤하늘의 달도 1.3초 전의 달이고, 태양은 8분 전의 태양, 북극성은 400년 전, 안드로메다 은하는 230만년 전 빛을 보고 있을 뿐이라며 현재는 사라지고 없는 별들도 많다는 이야기에 그저 입이 떡벌어질 뿐입니다.

광활한 우주를 지나 정반대의 물리학 원자의 세상 오히려 작아서 볼 수 없고, 물 한방울 속 원자의 갯수가 약 6× 1000000000000000000000000 라는 어마무시한 아보가드로의 수가 기다리는 미시세계로 초대 합니다. 과학 강연을 들으며 어디서 주워들은 ‘끈 이론‘에 대해 실마리를 얻었습니다. 그리고 자연계, 이과계열과 정말 1만큼도 친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이 엔트로피의 법칙, 암흑물질, 암흑에너지, 빅뱅, 소립자들, 중력, 인력, 척력의 기본 개념을 엮어 나가며 시 한 수에 물리학 정수를 여행 합니다.

이제 그 어렵다는 양자역학과 빛의 존재, 반은 죽었고 반은 살아 있는 슈뢰딩거의 고양이를 만나서 상자를 열기 전까진 두 가지 상태가 중첩 되는 이유를 알게 됩니다.

마지막은 299792458 입니다. 진공상태에서 빛이 1초에 가는 속력으로 규정한 숫자들과 만나 시간이라는 1차원과 결합한 3차원 공간을 동시에 시공간 4차원으로 묶은 천재 아인슈타인을 따라가 휘어진 공간 속에 블랙홀까지 만나고 나면 왜 이책이 우주를 배경으로 한 블랙버스터 영화처럼 막힘없이 읽혔는지 놀라게 됩니다. 마치 시공간을 뛰어넘는 시간여행자가 된 듯한 기분과 어렵던 물리학 이론들을 삶에서 직접 체험한 것 같은 착각에 빠지기도 합니다.

[우주를 만지다], 정말 특별한 책입니다. 어려운 이론들을 이만큼 쉽게 설명한다는 것은 저에겐 너무나 특별한 경험이었습니다.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개인적인 리뷰 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