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함께 글을 작성할 수 있는 카테고리입니다. 이 카테고리에 글쓰기

마흔의 인문학 살롱 - 내가 누군지도 모른 채 살아온 나를 위한 진짜 공부
우재 지음 / 카시오페아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간이 이렇게나 흘렀습니다. 마흔이라는 나이를 지나 쉰의 나이로 조금씩 나아가고 있습니다.

학창시절엔 배움의 즐거움을 알기보다는 경쟁에서 이기는게 좋아서 공부를 했었고 그 덕분에 지금은 그 열정적인 시간 속으로 돌아가라고 하면 한번 가본 길이니 사양하겠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시간은 정말 빨리 지나가고 무엇인가를 소유해도 만족이 되지 않을 때 내가 진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을 해 봅니다. 그 길에서 만난 우재 작가님의 [마흔의 인문학 살롱]은 새벽을 여는 빛이었습니다. 그래! 하고 싶어서 설레이며 하는 나만의 공부! 생각만 해도 입가에 즐거움이 실룩이게 합니다.

1장에서 만난 ‘우재의 인문학 살롱‘은 공부의 향연의 시작 입니다. 플라톤의 [향연]에서 시작 되는 물줄기는 와인을 삼키며 어우러져 즐거운 대화의 장인 ‘살롱‘이 되어 문화, 문학, 그림, 예술 사이사이의 인간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그리스ㆍ로마 신화를 모르고 서양인들의 문화를 이해 하기는 불가능 한 것처럼 세상을 보는 시선의 업그레이드를 위해 필요한 인문학 지식에 대한 이야기가 시작 됩니다.

2장의 주제는 미술이지만 사람이 먼저 입니다. 특히 마르크 샤갈의 그림들 속에 있는 줄도 몰랐던 샤갈의 어린시절 단상들을 발견하는 즐거움과 애잔함은 왜 우리가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미술 등 예술작품을 만나야 하는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결국 형태와 색만 보는 관광객 같은 관람자가 아닌 화가를 알고 화가의 시대를 읽고 작품 속에 감춰놓은 비밀들을 찾는 진짜 작품 감상을 위해 알아야 하는 것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3장은 신화 입니다. 인문학의 시작은 인간과 문화, 예술에 대한 고찰이라고 봅니다. 누군가의 상상의 산물이 와전 되어 신화처럼 구전 될 수 있지만 신화의 은유적 표현을 파고들면 들 수록 그 시대에 발생했던 사건들과 긴 끈으로 연결 되어 있음을 알게 됩니다. 같은 자연현상에 조금씩 다른 신화를 만들어 다른 이야기처럼 보이지만 하나의 시작이었음을 발견하며 신기해 하는 시간이 즐거움이 되어 삶에 뿌리를 내립니다.

4장은 와인의 향연입니다. 구석기, 신석기 시대의 선사시대 인류의 모습을 상상하고 있다가 그들도 와인을 마셨다고 한다면 지금의 와인을 기준으로 보면 말도 안된다고 단언 할 것입니다. 하지만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의 유럽을 배경으로 석회질 물 때문에 그냥은 어떤 물도 마실 수 없는 환경에서 와인은 물과 동일하게 마실 음용수 였기에 생활속 그릇에도 신화같은 벽화에도 와인은 자리잡고 있었습니다. 단순한 술만 의미하는 것이 아닌 생명과 재생의 의미를 내포한 와인을 이해 하면서 하나의 벽이 또 조금 낮아진 듯합니다.

이제 [마흔의 인문학 살롱]이 알려주는 핵심을 지나왔습니다. 어디에서 시작할지는 본인의 의지 문제 입니다. 미술을 그 첫단추로 삼아도, 신화로 시작해도, 와인으로 시작해도 결국 우리는 인문학의 태두리 안에 있고 모든 것은 서로 연결 되어 있습니다.

하고 싶은 공부, 진짜 공부를 위해 그 방향에 대해 큰 그림은 그려졌습니다.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개인적 리뷰입니다.

#마흔의인문학살롱 #우재_지음 #카시오페아출판사 #나를위한진짜공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