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달콤한 감각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282
배용제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1월
평점 :
절판
오래된 사진관
세상에 잘못 인화된 장면이 나뿐이겠는가
버려진 사진처럼 바람에 떠돌다 내려진
소읍의 정류장 골목에
내 나이만큼 오래된 사진관이 걸려 있다
내부로 들어서자 창에 반사된 흑백사진 속에서
주인인 듯한 노인이 돌아본다
느릿느릿 사진첩을 펼치며 어색한 복고풍의 미소를 짓는다
플래시를 터뜨리던 나날들,
초점을 맞추지 못해 망쳐버린 때도 많았지만
세울은 절망할 여유도 없이 섬광처럼 빠르게 지나가 버렸다
빛바랜 시간들이 버려지는 세월 속,
밤은 몇 개의 풍경을 보관하고 있는지
날마다 똑같은 태양만 떠올랐다
누추한 기억의 암실,
벌써 이생의 장면을 다 진열해버린 노인은
얼마나 빛나는 날들을 안고 後生(후생)으로 건너갈 것인가
또 내 전생은 얼마나 우스꽝스런 순간들을 인화하고 있는가
너무 많은 무덤을 짓는 지구의 평면 위,
젊은 그가 늙은 얼굴을 향해 웃음을 짓는
사진첩을 넘기며 나는
내게 남아 있는 장면을 뒤적거린다
이빨을 드러낸 광기의 포즈가
아직은 내 일생의 렌즈를 통해 발광하고 있다
더 이상 방문할 풍경이 없는 노인은
두꺼운 돋보기안경 너머
초점이 맞춰지지 않는 창밖을 힐끗거린다
희미하게 인화된 추억만 노인의 남은 액자에 끼워진다
세상의 저녁이 창에 걸린다
배용제, 『이 달콤한 감각』中
+) 시인은 말하는 "나와 관계된 것들"은 "나와 영혼 사이에 낀 모든 이야기"이며 "결국 나와 너 사이"에 존재하는 것들이다. 그것은 "우주의 풍경과 환각과 있음과 없음" 사이에서 "먼 너에게 이르는 그때까지" 접하게 되는 모든 것들이다.([시인의 말])
시인은 공감각적 이미지와 상징들을 접목하여 생의 무게를 관찰하고 있다. 그것이 사회적 상처이든, 개인적 시련이든 시인에게 있어서는 생성과 소멸의 궁극적 원인이 된다. 다시 생성하여 무거워진 생이 아니라, 애초부터 고정되어있던 무게감이 화자의 의식을 통해서 체화된 것이다. "어떤 땐 고통이나 불행조차 성급하게 집어삼"키며, "굶주린 무게를 흡수"한 화자는 "수십 년 부풀어왔던 거대한 살점의 무게가 순한 / 바탕이 되어" 자신을 비롯한 생의 무게를 떠받치고 있는 것이다.([그녀를 보기만 해도 알 수 있는 것])
온몸으로 느끼는 그 무게감을 털어내고자 그는 비워냄(空)의 진리를 기웃거린다. 하지만 "우주에서 사라지는 것은 없다, 고 믿는 / 보편적인 사람들의 종교를 나는 믿는다"며 "사라진 것이 아니"라 "환생의 사원에" 들어선 것이라 생각한다.([노을]) 그것은 소멸에 대한 부정이다. 다시 말해서 그가 '너'를 만나러 가는 사이, 그를 둘러싼 것들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기화(氣化)하는 것이다.
"쏟아지면 금세 증발해버리고 / 사소한 흔적도 남지 않는 울음,"을 "발효시킨 일생의 용도"([발효된 울음에 대하여])는 시인에게 "가장 편하고 고요한 무게가 된다."([물끄러미]) 그것은 이 시집에 종종 등장하는 "한 방울", "줄줄 쏟아진다", "흘러 다니다", "울음" 등의 액체 이미지를 떠올리게 하는데, 울음으로 상징되는 고통이 현실에 고착되는 것이 아니라 기화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시인은 '검은' 색감(어둠, 검은 빛, 검게 그을린, 검은 잿더미 등등)에 집착하는데 그것은 화자의 불안한 심리를 도출한다. "세상의 역사와는 너무도 무관하게" 살고 있는 화자, 그는 블랙홀에 빠져들어도, 응급실에 실려가도, 꼭대기에서 추락해도, 한줄기 '별빛'이 그에게 있다. 미래에 대한 의지이며, 삶에 대한 연민이고, 꿈에 대한 희망이기도 한 그 빛은 결국 "제 몫의 생애를 완벽하게 재생하는 일"을 한다. 그리고 세상과의 거리를 좁혀 어둠 속에서 끊임없이 또 다른 나를 복사해낸다.([저 별빛])
이처럼 기화의 법칙은 그로 하여금 생의 가벼움과 무거움 사이를 환생 혹은 윤회, 그러니까 결코 끝나지 않는 순환으로 만든다. 따라서 시인에게 '죽음'은 암울하고 슬픈 것만으로 나타나진 않는다. 죽음은 의식이 잠시 멈춘 상태이다. '잠', '꿈' 처럼 화자가 잠시 의식을 놓고, 무의식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은 상태와 같은 것이다. 그 무의식의 세계에서 그는 쾌락과 고통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시인이 제시한 많은 죽음의 상징은 "무수한 죽음을 안고 사는", "더 많은 죽음들이 들어찰수록 오래 사는", "완전한" 점치는 여자에게서 극대화된다.([점치는 여자 1]) 꿈 속에 애욕과 부패와 꿈과 희망이 한꺼번에 흘러 다니듯, 얽히고 설킨 관계의 혼란 속에서도 점치는 여자는 "온 힘을 다해 몸을 흔들"며 생의 "무게를 털어낸다." "태양이 끝없이 돌려대는 원형의 바퀴에 매달린 채 / 여러 생을 오락가락하며 정신을 놓는다." ([점치는 여자 4]) 즉, 죽음은 여러 목숨이자 꿈이고, 애욕이며 부패고, 쾌락이며 고통이다. 원형의 바퀴처럼 순환의 운명을 타고난 것이다.
시인의 "달콤한 감각"은 나와 너 사이, 죽음을 향한 길 위에서, 흘러가다 증발해버리고 다시 태어나는, 감각의 기화로 형상화된다. 순환의 운명을 받아들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