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그밖의 것들
버트런드 러셀 지음, 송은경 옮김 / 오늘의책 / 2005년 1월
평점 :
절판


 동료철학자 조지 산타야나가 한 말을 들었다면 러셀도 분명 공감을 표했을 것이다. : "과거를 기억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 과거를 반복하는 벌을 받게 되어 있다."

                                                                                     p.8

 

 통제할 수 없는 분노는 일종의 심리적 탈선이기 때문에 정신과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것은 사악함의 징후가 아니라 질병의 징후이다.

                                                                             pp.57~58

 

 청년들이 품을 수 있는 최선의 희망은, 모든 개개인의 위대한 업적을 남길 능력이 있다고 믿어주는 분위기, 따라서 그들의 자부심이 질투에서 비롯되는 조롱을 불러일으키지 않는 분위기에서 사는 것이다.

 청년에게 그가 할 수 있는 최선의 것을 기대하라. 그러면 얻게 될 것이다. 이것이 교훈이다. 더 적게 기대하면, 정말 당신이 기대하는정도만 얻게 되기 쉽다.

                                                                                    p.91

 

 불행 가운데 진정으로 보람된 불행이 딱 하나 있으니, 좋은 것을 상상만 하고 실현하지 못하는 데서 오는 불행이 바로 그것이다.

                                                                                  p.169

 

 우리 시대가 앞선 시대들보다 나은 것이 있다면, 어린 세대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거짓에 대한 혐오감이다.

                                                                                  p.176

 

 불유쾌한 진실들을 알지 못하도록 차단시켜주는 습관은 아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어른들은 생각하지만 사실은 어른들 자신이 솔직한 것을 괴로운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채택되는 것뿐이다.

  현대교육의 가장 나쁜 결점 중 하나는 현실에 무관심하다는 것이다.

                                                                                  p.212

 

 급속하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그저 전통만 고수하는 것이 지혜는 아니라는 것을 결국에는 모든 사람이 다 알게 될 것이다. 열정 대신에 지성이 경제를 이끌도록 만들어주면 그 즉시 우리 모두가 부유해질 것이다. 대다수 사람들은 지성보다 열정을 따르는 것이 더 즐겁다고 생각하지만 거기에 대한 벌이 굶주림이라면 결국에는 그들도 합리적인 방향을 따르게 될 것이다.

                                                                                  p.275

 

 

버트런드 러셀, 『인간과 그 밖의 것들』 中

 

 

+) 비트겐슈타인의 저서를 읽으면서 그가 스승으로 만난 사람이 '러셀'이라는 것을 알았다. 친구가 권해준 러셀의 책을 처음 보았을 때, 위트와 풍자에 강한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이 책에서는 그것 뿐만 아니라 고집까지 발견할 수 있다.

 

    읽다보면 풋,하고 웃음이 터지기도 하는데, 괴짜같은 그의 발상이 전혀 억지스럽지 않다. 현실을 메마르게 바라보는 그의 시선에서 씁쓸함을 느꼈지만, 그만큼 객관적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하지만 그는 적어도 '인간'에 중심을 두어 모든 것을 판단하는 관점이 필요하다. 그것은 감성에 좌우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 책을 보면서 로맹가리의 소설을 떠올렸다면 무리일까. 어쩐지 로맹가리와 러셀은 세상이나 인간에 대한 시선이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다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