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테레즈 라캥
에밀 졸라 지음, 박이문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3월
평점 :
에밀 졸라의 테레즈 라캥은 자연주의 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졸라는 이 소설을 통해 인간의 기질을 과학적으로 분석하려 했다. 현대적 시선에서 보면 캐릭터도 이야기도 다소 단순할지 모르지만, 그것은 이 이야기가 나름의 원형성을 갖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1915년부터 2023년까지 TV와 영화로 14차례 각색됐다는 점(*위키피디아)은, 이 작품이 클리쉐가 아닌 클래식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졸라가 인간 기질에 대한 과학적 해석을 추구했으므로, 물리학의 기본 법칙에 근거해 그의 작품을 해석해보자.
관성의 법칙. 모든 물체는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으면 정지 상태 또는 등속 직선 운동을 유지한다. 테레즈는 병약하고 무기력한 카미유 곁에서 정지된 상태로 존재한다. 그녀의 삶은 변화 없이 흘러가며, 변화 없음은 곧 시간이 없음과 같은 의미다. 이와 같은 정지된 상태는 외부의 충격, 즉 로랑이라는 힘이 등장하면서 변화를 겪는다.
가속도의 법칙. 물체에 작용하는 힘(F)은 질량과(m)과 가속도(a)의 곱으로 정의된다. 테레즈와 로랑의 육체적 욕망이라는 힘은, 정신적, 심리적 질량에 작용해 가속도(a)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가속도는 단순한 정념을 넘어 살인이라는 폭력의 감행으로 이어진다.
작용반작용의 법칙. 모든 작용에는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반작용이 있다. 존재가 범한 어떠한 죄악은 그에 따른 정신적 반동을 야기한다. 테레즈와 로랑이 카미유를 살해한 뒤에 나타나는 불안과 환각, 고통은 다양한 형태의 반작용으로서 그들의 존재를 파괴에 이르게 한다.
테레즈와 로랑의 강렬한 화학 작용은 카미유라는 병약한 존재를 세상에서 지웠지만, 운명같은 역할을 다한 두 존재는 다시 이전처럼 결합될 수 없었다.